스무 살엔 몰랐던 내한민국
이숲 지음 / 예옥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학을 공부하면서.. 일본인의 기질, 사회, 경제, 기업문화등등을 연구하고 거기에 관련된 책 또한 많이 봤었다. [스무살에 몰랐던 내한민국]을 읽으면서.. 문득 아쉬웠던 것은.. '한국학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의문과 함께 '한국인은 누구인가..'이런 질문에 대한 연구를 그다지 접해본 기억이 없다는 것이다. 내가 무심했던 것인지.. 아니면 실제로 그러한 연구가 부족한것인지는 아직 모르겠지만.. 앞으로 여기에 대한 공부를 좀 해보고 싶어진다.
이 책은 이숲님이 한국의 가장 비극적이였던 시대.. 구한말과 일제강점기에 외국인들에 눈에 비친 한국의 긍정성을 논하고, 왜 그러한 긍정성이 잊혀졌는지에 대한 연구를 담은 책이다. 스웨덴 웁살라 대학에서 발표했던 논문을 기초하여 집필되었는데.. 그때 학회의 평가가 '새롭고도 풍부한 연구'였다는데 나의 인상도 그러하다. 한국과 한국인과 깊은 교류를 나눈 많은 외국인들의 사료를 읽다보면.. 그 시대에 대해 우리가 대부분 갖고 있는 부정적인 느낌들이.. 패권주의자들이 한국이라는 나라를 식민지화하기 위해 고의적으로 비틀어놓은 우울한 표상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심지어 오래된 중국의 사료에까지 한국인이 갖고 있는 선천적인 기질을 '선함'과 '강인함'으로 표현되곤 한다. 평소에는 온순하고 사리분별이 밝으나, 몽둥이로 호랑이를 때려잡을 정도의 모습을 보였던 한국인들. 단편적으로 갖고 있는 이미지들을 생각해보면 사실 그런 기억들이 많다. 김홍도의 민화를 봐도 어린 아이들이 공부에 열중하는 모습을 볼 수 있고, 나라에 일이 생길때마다 불같이 들고 일어났던 의병을 떠올려도 그러하다. 하지만 이상하게 그런 단편적인 기억들은 국권을 빼앗겼던 그 시절로 달려가며 점점 더 부정적인 색으로 덮어지곤 하는게 아쉽다. 특히.. 한국인의 그러한 기질을 가장 잘 드러내는 것이 여성이 아닐까? ㅎ

'한국의 부인은 남편이 식사하는 동안 서서 시중을 들어주며 그가 담배를 피우고 있을 동안에 일을 하지만, 가정 문제가 어떤 위기에 처하게 되었을 때는 그가 손에 키(상투)를 잡고 배의 방향을 바꾼다'
한국에서 33년을 보낸 의사이자 선교사인 릴리아스 홀튼 언더우드 여사의 기록인데.. 지극히 온순하던 한국여인들이 남자의 상투를 잡고 끌고가는 모습을 보며 이런 기록을 남겼다고 한다.
나의 부정적인 인식을 바뀌준 이 책에서.. 기억에 남는 것은 한국인들의 '자연스러움'이다. 일본인의 이상주의와 중국인의 실리주의를 겸비하고 있어 감정과 이성이 잘 조화되어 있다는데.. 그런 모습이 자연스럽게 행동하고 솔직하게 감정을 표현하는 모습으로 지금까지 드러난다고 한다. 아마.. 이런 모습을 가장 잘 느낄 수 있던 것이 바로 2002년 월드컵의 열기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어느 민족이 일방적으로 우월하다고 하는 것은 상당히 위험하다. 하지만 이와 마찬가지로 어느 민족이 일방적으로 열등하다는 생각은 더더욱 위험하다. 특히 자신의 선조에 대해 그런 인식을 갖고 있는 것은 어쩌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부정이 될 수도 있다. 그래서일까? 이 책을 통해 한국에 대한 여러가지 기록들을 읽으며 왠지 한국인이라는 것이 자랑스럽게 느껴지기도 했다. 물론.. 그때나 지금이나.. 이러한 한국인의 좋은 모습들을 막고 있는 것은 사대주의와 관료제도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