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이 절대로 답할 수 없는 몇 가지 - 악의 시대, 도덕을 말하다
샘 해리스 지음, 강명신 옮김 / 시공사 / 201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유의지는 없다]를 통해 만난 샘 해리스.. 신경과학자인 그는 자신의 전문분야로 즉 과학적인 측면으로 세상을 바라보길 원한다. 그리고 가치판단을 함에 있어 늘 뒷걸음 쳤던 과학을 전면으로 끌어내려고 한다. 자유의지라는 명제에 이어 도덕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그는 이번에는 없다가 아니라 많다라고 말한다. 심지어 정말 많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말 많다는 것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다시 없다라는 명제를 받아들여야 한다. 바로 도덕적 진리나 절대적인 기준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심지어 종교나 철학적인 기준조차 다양할 수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
[신이 절대로 답할 수 없는 몇가지]에서는 도덕에 대해 수많은 의문을 제시하고 그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라, 전작보다는 조금 더 쉽게 읽을 수 있었다. 특히.. 도덕의 가치.. 지극히 추상적인 관념을 실증적이고 경험분석적인 과학으로 접근하는 것이 흥미로웠다. 사실 도덕은 그 사회 구성원으로 태어나는 순간부터 학습되는 것이라 당위론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그렇게 사회적 규범으로 작동하는 도덕에 대해 논의를 할 것을 제안한다는 자체가 놀랍기도 했다. 그는 사람들이 당연하다라고 생각하는 것들에 대해서 물음표를 찍는다. 물론 유신론자들이 읽기에는 조금은 불편한 면이 있을지도 모르나, 내 입장에서는 종교에 대해서도 다각도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또한 문화상대주의와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 공공선과 개인의 행복에 대한 논쟁 등.. 평소에 관심있던 분야에 대해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갖을 수 있어서 매우 유익한 시간이였다.   
이 책의 원제는 'The Moral Landscape'이다. 그는 도덕적인 풍경에는 봉우리가 여러개 존재하고 자신이 어디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그 풍경은 달라질 수 있다는 설명을 들었을때 그가 이야기하는 도덕이 무엇인지 내 머리속에 그려지기 시작했기 때문에 원제의 느낌을 살려 출판되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그리고 예전에 인상깊게 봤던 일월오봉도(日月五峰圖)라는 그림이 떠올랐다. 주로 조선시대 왕 뒤에 있던 병풍에 그려져있던 그림이라고 하는데.. 일월오봉도는 왕이 앉음으로써 완성된다고 한다. 도덕적 풍경 역시, 사람이 어디에 존재하느냐에 따라 여러가지 의미가 생긴다. 이를 도덕적 상대론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일월오봉도와 달리 도덕의 풍경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존재하고 있음을.. 그 다양성을 포용할때 비로서 도덕의 가치가 제대로 점검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