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걸리를 탐하다 - 한국 막걸리의 맛과 멋을 찾아서
이종호 지음 / 북카라반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막 걸렀다라는 말에서 막걸리라는 이름이 나왔다는 소리를 들은 적이 있어서, 나름 심리적 저항감이 좀 있었다고 할까요? 거기다 술을 본격적으로 접하는 시기에, 막걸리란 제가 다니는 대학과 라이벌이었던 대학의 상징과 같은 것이어서 접할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었던 거 같기도 하고요. 그러다 딱히 어떤 계기가 있었던 것은 아닌데, 워낙 술을 다양하게 즐기는 편이라, 어느새 막걸리의 매력에 조금씩 빠져들고 있었어요. 아무래도 지역의 특색을 살린 막걸리가 많다 보니, 더욱 그런 거 같네요. 제주도에서 마셨던 우도 땅콩 막걸리의 맛은 친구들과 쌓았던 즐거운 추억과 함께 아직도 생각나고 말이죠.

그러다 <막걸리를 탐하다>라는 책을 읽게 되었는데요. 선조들이 잘 활용해온 막걸리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입증해나가는 것도 재미있었고요. 결과로만 보자면, 심지어 다이어트 효과까지 있으니, ‘신의 물방울이라고 하는 와인에 견주어도 전혀 밀리지 않겠다 싶더군요. 거기다 재미있는 것은 저에게 처음에 저항감을 주었던 막 걸렀다라는 것 역시 막걸리의 장점이라고 합니다. 거친 체로 거르기 때문에 원료성분과 발효과정에서 증식한 효모균체가 그대로 막걸리 속으로 들어올 수 있는 것이라고 하네요. 막걸리를 흔들지 말고 위에 맑은 부분만 마시는 친구도 있었는데, 그러면 상당히 손해를 볼 수 도 있겠더군요. 이런 막걸리의 효과도 그러하지만, 역사도 잘 짚어주었는데요. 고구려 건국설화에서부터, 송나라 사신이 남긴 글에서도 고려 서민들이 마시던 탁한 술에 대한 언급이 있었고요. 또 가뭄이나 기근이 오면 내려졌던 조선시대 금주령에서도, 농부들이 마시는 막걸리는 예외로 인정해주었다고 하니, 참 오랫동안 사랑 받아온 술임에 분명하네요.

일제강점기부터 절곡의 근현대사 역시 막걸리에 큰 영향을 주었는데요. 이는 한국의 양조장 24곳을 소개하는 이야기에 더 잘 드러나더군요. 상대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기에 더욱 조명하고 싶은 막걸리 명소 24곳인데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양조장이며, 근대문화유산으로 등록된 지평주조의 지평생막걸리나 송명섭 막걸리, 소성 막걸리는 저 역시 알고 마셔 본 적도 있어서 더욱 반갑더군요. 그 중에 오랜 역사를 이어온 진천덕산양조(옛 덕산양조장)에 대한 이야기가 기억에 남아요. 한국전쟁때 한국군의 진지로 사용되기도 했던 양조장인데, 퇴각하면서 인민군이 진지로 사용할까봐 소각하려는 것을 막아낸 것도 그러하고요. 또한 새마을사업 때 도로포장사업으로 훼손될뻔한 것을 지켜낸 것도 그러하죠. 심지어 막걸리산업이 후퇴할 때 역시 후손들의 노력으로 다시 문을 열기도 했고요. 다행히 이제는 문화재청 등록문화제로 지정되어서 그러한 수고를 덜 수 있겠네요.

또한 생강냉이술이라는 이름이 특이해서 유심히 봤던 대강양조장과 오메기술이라는 것을 알려준 제주도의 이야기도 있네요. 다양한 누룩과 재료에 따라서 풍부한 확장성을 가진 것이 막걸리이던데, 개인적으로는 인절미를 좋아해서인지, 인절미를 이용한 막걸리를 마셔보고 싶어지더군요. 물론 그 방식이 복잡하고 어렵다지만, 언젠가는 그 방식을 살려낸 술이 나오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가져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