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때도.. 철학이 어려워서 정치철학수업 버리고 경제학 전공선택수업들었던 나인데..11월 12월달 여성주의 책 읽기 선정도서가 미셸 푸코의 책『성의 역사』시리즈었다. 어엉? 푸코..? 이름은 들어봤는데..프랑스 철학자.. 아 그래 앞에서 말한 그 버렸다는 정치철학 수업의 교수님도 프랑스에서 공부하신분이였다. 부르디외 전공자였던걸로 기억이 난다.
뭐.. 사전같은 책도 읽어왔던 나인데 『성의 역사』 쯤이야.. 하고 1권을 뒤 늦게 읽기 시작했는데 같이 읽는 분들의 상태가 심상치 않다..
처음 받아든 『성의 역사』 1권의 느낌은 '어.. 뭐 두껍지도 않고. 할 수 있겠네.'
그렇게 약 일주일만에 1권은 읽을 수 있었다. 그런데... 책 내용이 뭐였지? 읽었는데 도저히 모르겠다. 이 책을..
앞서 읽었던 『'장판'에서 푸코 읽기』는 괜찮았는데 푸코의 책으로 넘어오니 역시 만만치 않다. 도저히 안되겠다 싶어 푸코에 대한 해설이나 글들을 찾아보면서 조금이나마 이해하는 중이다.
다행히 먼저 읽으신 분들의 말에 따르면 2권부터는 해볼만 하다고 들었다. 그래! 2권부터는 다르다. 2권.3권을 택배로 받고나서 보니 1권보다 두껍네.. 시작부터 몸이 움츠러든다. 에이 겁부터 먹지 말자..우울했던 2020년.. 푸코와 보내도 따뜻하게 보낼 수 있겠지?
원래 성의 역사는 6권을 계획하고 있었으나 1권을 76년에 발간후 80년 초 푸코의 건강의 악화로 인해 서둘러 2, 3권을 그가 사망하던 해에 내었고 사후에 4권이 18년에 발간되어(한국엔 19년) 4권짜리가 되었다.
푸코는 왜 성에 대해 쓴 것일까?
내가 제기하려고 하는 물음은 '왜 우리가 억압받는가'가 아니라, '왜 우리가 우리의 가까운 과거와 현재 그리고 우리 자신에 대해 그토록 커다란 열정과 강렬한 원한을 품고서 스스로 억압받고 있다고 말하는가'이다.
(…)
왜 그토록 오랜 세월 동안 성과 죄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었는가 하고 자문하는 것은 확실히 정당하다. 이 연결이 어떻게 성립되었는가도 또한 살펴보아야 할 것이고, 성이 "단죄되었다"고 일괄적으로 성급하게 말하지 않도록 삼가야 할 것이며, 왜 우리가 예전에는 성을 죄악시했다가 오늘날에는 이에 대해 매우 강한 죄의식을 느끼고 있는가도 자문해야 할 것이다.
(P.16~17)
푸코는 절대적이거나 보편적인 진리가 있다는 생각에 반대해왔던 철학자였다. 그 보편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진리는 어떻게 이해되었는지 끊임없이 질문을 던져왔다.
'성'에 대해서도 그러한 질문을 던지기 위해 이 책을 썼던 것이다. 그리고 푸코 본인이 동성애자로서 이 분야에 대해 더 의문을 가졌을 거라고도 생각이 든다.
일반적으로 '성'이 억압되어 왔다는 것이 통념이었지만 푸코가 역사(여기서의 역사는 서양의 역사)를 통해 살펴본 바 통념과 달리 근대로 넘어오면서 오히려 성에 대한 담론들을 끊임없이 형성해왔다는 것이다.(이 말이 전혀 억압된 적이 없다라는 주장과는 다르다고 하였다)
사제권력의 고백에서 비롯된 내밀한 욕망의 공개 방식은 성에 대해 모든 것을 공개하게 만들었지만 어린이의 성이라던지 성도착자들의 성등의 '주변부적인 성적 욕망'에 대해서는 철저히 통제와 감시의 대상이 되었고 비정상적인 것으로 분류되었다. 이후 이런 것들은 교육이나 성 과학, 의학 권력(정신의학등)에 의해 통제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즉 이러한 주변부적인 성적 욕망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해서는 지식과 권력의 출현이 필요하다.
이렇듯, 『성의 역사』 1권은 1년 전에 나온『감시와 처벌』(1975)의 연장선 상에서 동일한 문제의식(권력-지식관계)을 섹슈얼리티의 영역으로 확장시킨 책이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