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권태 - 그 창조적인 역사
피터 투이 지음, 이은경 옮김 / 미다스북스 / 2011년 10월
평점 :
품절
사람은 누구나 지루한 상황이나 일이 계속되면, 권태를 느낀다. 그러면서도 자신의 감정을 숨긴다. 권태를 표현하면, 게으르거나 참을성이 없는 사람으로 혹은 사명감이 없는 사람으로 낙인찍힐까 염려가 되기 때문이다. 이 책의 저자 피터 투이는 이런 권태를 “상황적 권태” 혹은 “과잉에 의한 권태”라고 부른다(pp. 22~23). 그리고 이 둘을 묶어 “단순한 권태”라고 한다(p. 28). 그의 이러한 구분은 권태를 단순한 권태와 실존적 권태로 나눈 독일의 철학자 하이데거의 분류법에 따른 것이다(p. 175). 한편, 저자는 수많은 미술이나 문학 작품을 열거하면서, 소위 “실존적 혹은 정신적 권태”에 대해 언급한다. 그 중에서도 프랑스 사람들이 멜랑콜리 내지는 실존적 권태에 집착하고 있음을 플로베르의 <보바리 부인, Madame Bovary>, 사르트르의 <구토, Nausea>, 카뮈의 <이방인, The Outsider>를 예로 든다. 그러면서 저자는 반문한다. 정말로 실존적 권태라는 감정이 존재하는가? 그는 “실존적 권태란 권태, 만성적 권태, 우울, 과잉, 좌절감, 잉여, 혐오감, 무관심, 무감정, 속박감이 합쳐진 데서 생겨난 하나의 개념”(p. 189)이지 감정은 아니라고 단정한다.
이 책의 저자 피터 투이는 자신이 오랫동안 권태의 본질과 역사를 연구했다. 삼천년이 넘는 역사를 넘나들고, 다양한 미술작품과 문학작품들을 통해 권태를 설명한다. 또 심리학과 신경학의 연구결과까지 소개하며 권태를 말하고 있다. 그의 박학다식함으로, 이 책은 권태에 대해 전혀 권태롭지 않게 전개해 나간다. 독자의 예상을 뒤엎고, 실존적 권태가 아니라 단순한 권태가 더 보편적인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인간 심리학에 더 근본적인 바탕을 두고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권태는 특히 후기 근대사회에 접어들면서 더 깊이 인식되었는데, 그것은 여가 생활이 늘어나고 행복의 권리가 부각되고, 개인의 권리와 내적 경험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또한 관료화로 시간과 공간의 표준화와 조직화되었기 때문이다(p. 205). 한마디로 먹고 살기 편해졌을 때, 권태가 더 잘 인식된다는 것이다. 지당한 말씀이다. 먹고 살기 바쁘면 권태라는 감정을 느낄 여유가 없는 것이다. 따라서 권태를 느낀다는 것은 좋은 것이며, 어쩌면 사치스러운 감정이지 않을까?
저자는 결론적으로 “권태는 인간이 겪는 정상적이고 유익하고 아주 흔한 경험”(p. 233)이라고 단언한다. 그러니 권태를 치료해야 할 질병으로 생각하거나 부끄러워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권태가 들려주는 충고를 받아들이고, 권태가 일으키는 상황으로부터 하루빨리 벗어나는 것”(p. 238)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음악, 에어로빅과 같은 운동, 사람들과의 대화를 하는 공동체 생활, 등 신체 정신적 활동을 해야 한다고 충고한다.
저자가 제시하는 권태의 유익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권태는 무엇보다도 창조성을 북돋을 수 있다. 권태라는 정서를 통해 세상을 알고 자기 스스로를 이해할 수 있다. 결국 권태는 자아 인식을 강화시켜주므로, 권태를 발판으로 진정한 자기 자신이 될 수 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권태는 훨씬 더 쉬우면서도 따분한 감정이다. 이 책을 읽으니 안심이 된다. 권태라는 정서, 그 감정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은 나를 더욱 나답게 만드는 것이니까! 권태로워 하품을 하게 되면, 그 하품을 즐기자. 하품은 뇌를 식혀주고 혈관에 피를 활발하게 움직이게 하므로 유익한 것이라고 생각하자. 권태로움이 몰려올 때, 그것을 발판삼아 나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어떻게 하면 행복할 수 있을지 정직하게 들여다보자. 권태로울 수 있음을 감사하자. 하지만 권태의 감정이 만성적이 되지 않도록 해야겠다. 이 책, 재미있게 읽으며 많은 것을 배웠다. 전혀 권태롭지 않은, 권태에 관한 책이다.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