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놓아버려라
한장쉐 지음, 고예지 옮김 / 오늘의책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자유로운 삶을 갈망했던 사람, 삶과 죽음을 같은 것으로 생각한 사람, 명예도 공적도 이익에도 연연하지 않은 채 무위(無爲)의 태도로 살았던 사람, 장자! 범인들은 그의 가르침에 감탄하지만, 그의 가르침대로 살아낼 수 있을까요? 하루하루 먹고 사는 일에 아등바등 힘겹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누구나 장자의 가르침에 묘한 매력을 느낄 것입니다. 이 책, 제목부터 관심을 끕니다. 「다 놓아버려라」! 텅빈 그릇 하나 표지에 실려 있네요. ‘허심(虛心)’이란 단어가 떠오릅니다. 비어있는 그릇처럼, 비어있는 마음만이 참된 삶의 지혜를 담을 수 있겠지요. 어떻게 해야 우리 마음을 비우고 열어 놓을 수 있을까요? 세상의 욕망을 버리고 마음을 비우려는 것, 그것 또한 욕망이 아닐까요?

  이런 생각을 하면서 이 책의 ‘1부. 망원경으로 보는 세상’을 펼쳐 봅니다. 세속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니 돋보기로 보듯 모든 것이 차이가 두드러지게 납니다. 하지만 세속을 초월하여 높은 차원에서 세상을 보면 모든 사물의 차이는 사라지고 삶과 죽음도 차이가 없을 것입니다. 바로 이것이 장자의 가르침의 핵심이라 생각되는군요. 이런 관점에서 모든 것을 바라보면 ‘쓸모있음’과 ‘쓸모없음’이 서로 대립되는 개념이 아니라고 주장할 수 있고, 변화하는 세상살이에 유연하게 대처하면 살 수 있게 됩니다. 오히려 “쓸모없음의 쓸모있음(無用之用)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직장에서 쓸모 있는 자, 쓸모 없는 자로 부하직원을 마음으로 평가할 때가 있습니다. 그런데 업무의 효율성의 관점이 아니라, 부서의 공동체성의 관점에서 보면 쓸모없어 보이는 직원의 쓸모 있음을 발견하게 됩니다. ‘무용지용(無用之用)’을 생각하면서 사람을 너무 실용과 기능의 관점에서만 평가하지 말자고 다짐해 봅니다.

  ‘2부. 세상이 괴롭히지 못하는 사람’에서는 장자의 물아일체(物我一體)의 정신세계를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장자는 꿈에서 자신이 나비가 되어 하늘을 훨훨 나는 꿈을 꾸었다지요. 장자가 나비가 되는 꿈을 꾼 것인지, 나비가 장자가 된 꿈을 꾼 것인지요? 장자는 재물이나 지위에 연연하지 않고, 자신만의 정신세계에서 ‘지금 이 순간’을 느끼며 자기다운 삶을 살았습니다. ‘3부. 외발로 살면 또 어떤가’에서는 타인과 비교하고 성공과 실패에 일희일비하는 삶의 태도가 아니라, 자연의 순리에 따라 만물과 하나 되어 자유롭게 살아가는 삶의 방식을 보여줍니다. 장자와 해골과의 대화가 인상적이군요. 세상을 달관한 태도로 당당하게 삶과 죽음을 마주했던 인물, 장자를 잘 보여줍니다.

  이 책의 미덕 중 하나는 심오한 노자와 장자의 사상을 구체적인 예까지 들어가며 현대인의 구미에 맞게 쉽고 재미있게 가르쳐준다는 점입니다. 책을 읽으며 자유롭게 사유하는 즐거움을 누렸습니다. 마음의 여유가 생기는군요. 조금은 달관했다고 할까, 초연해졌다고 할까 그런 느낌, 말입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 여자집 2012-05-26 20: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평 잘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