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간다는 것에서 '행복'을 느끼는 사람은 시인이 될 수 없다. 인간과 세계를 향해 뻗은 촉수에 슬픔이 묻어나오지 않는 이들을 '시인'이라 칭했던 역사는 없다. 인류가 지구에서 그 삶을 영위해온 첫 시작부터 지금까지. 어떠한 노력으로도 결코 가닿을 수 없는 미지의 그리움이 시인을 존재케 했다. 허연은 그걸 아는 사람이다. 허니, 시인인 그가 차안(此岸)에서 행복할 수 있다는 건 불가능한 일.

- 허언 시인 -

 

사람들은
옆집으로 이사 가듯 죽었다
해가 길어졌고
깨어진 기왓장 틈새로
마지막 햇살이 잔인하게 빛났다
구원을 위해 몰려왔던 자들은
짐을 벗지 못한 채
다시 산을 내려간다
- 위의 책 중 '사십구재' 중 일부

 

'죽은 이의 이름을 휴대폰 주소록에서 읽는다.

나는 그를 알 수가 없다.

죽음은 아무에게도 없는 어떤 것이니까.

신전의 묘비를 읽도록 허락된 자는 아무도 없으므로.'
- 위의 책 중 'Nile 407' 중 일부

 

--------------------------

 

아직도 나는 휴대폰이 지우지 못한 이세상 사람이 아닌 분의 번호가 있다.

 

분명, 그 번호는 통신사에게 회수되었을 것이고 아마도 아무도 모르는 누군가가 전 주인의 번호로 다시 쓰고 있을 것이다.

 

번호가 이동되었듯이, 사람도 이생과 저생으로 이사를 간다는 시인의 시가 마치 신전의 묘비의 문구를 읽는 기분이 든다.

 

한편으론, 이 세상에서 저 피안으로 떠남은 서러운듯해도 결과론적으로는 서럽지 않는 약간의 부러움도 뒤섞여 있는 것은 아닐까?

 

아침에 떠지지 않는 눈을 뜨고 간밤에 더위로 내내 뒤척이다 잠이 어떻게 든지도 모르게 든 것과 같은 죽음이 다시 아침에 환생되어 지난 밤의 편했던 자신도 모르게 빠져 버린 잠처럼 기억도 나지 않는데 아침에야 몸은 또 움직이라고 살아가라고 일어나라고 지시를 받는 명령서에 산다는 시간의 계약서에 묵시적 계약같다.

 

지루하고 식상하고 남발되고 우울한 것들. 그런데 내키지 않는 시간의 스펙타클함은 짜릿짜릿하고 지치며 게으르고 싶은 욕구조차 망가지게 한다.

 

아무래도 이 시집을 보면 우리들의 삶이 오십 보 백보인 것과 같이, 오십 미터 앞에서 백 미터 앞에 있는 그들을 바라 보고 있는 거 같았다.

 

아 역시..시인이 말하는 시인의 자격증이 무엇인지 말해 준다.

신춘문예 당선으로 등단한다고 시인이 아니라, "살아간다는 것에서 '행복'을 느끼는 사람은 시인이 될 수 없다."라고 설명했다.


댓글(22)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08-02 11: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8-02 11: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8-02 11:5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8-02 12: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8-02 20: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yureka01 2016-08-02 23:48   좋아요 1 | URL
ㅎㅎㅎ 그만큼 사유의 코드가 퍼즐 맞추듯이 딱딱 맞아서 좋습니다.
공유감 연대감..그리고 비슷하게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이 좋은 거니까요.
아시죠.일상 상활에서는 전혀 이야기 할 수없는 주제를 논의 할 수 있어서 오히려 제가 더 반갑습니다....늘 감사드리고요..ㅋㅋㅋ

강옥 2016-08-02 11:0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배 부른 사람은 좋은 글을 못 쓴다, 그 말이겄지예?
안온한 현실에 만족하는 사람이 우예 좋은 글을 쓰겄어예?
더븐데 휴가도 안 가시고 책메 파묻혀 지내시는갑다요.
유레카님도 현대판 간서치???

yureka01 2016-08-02 11:07   좋아요 0 | URL
글은 밥이죠...
허기져야 밥을 먹거든요..글도 마찬가지겠지요..
허기진 삶의 시간을 채우려 드는 것...글쓰기 아닌가 싶습니다.

먹기와 쓰기..관계^^..


ㅎㅎㅎ 간서치로 살믄 얼마나 좋겠습니까...
이 정도로는 간서치 자격없죠.ㅋㅋㅋ

우끼 2016-08-02 11:1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살아간다는 것에서 행복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이 시인이 될 수 있다는 말은, 시인을 설명하기에 조금 덜 정확하다 생각합니다.. 시인이 골라서 내보인 언어를 읽고 그를 시인이라 인정하는 것은 독자라고 볼때, 독자는 왜 그를 시인으로 인정할까 생각해보았습니다. 독자도 일상에서 행복을 느끼고 싶지만 슬픔에 밀려 때때로 그 마음을 어루만지고 싶은데 어찌할 바를 모르는 순간. 사람들과 대화를 해도 서로 정확한 점을 지적하기 어려운 순간이 시를 더 잘 느낄 수 있는 순간이라고 생각해요. 시인의 도움을 받고서 시인에게 감사하는 거라고 하면, 결국 시인은 독자에게 필요한 어떤 감각을 정확하게 짚어주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요. 입에 바른 , 이상화된 말보다도 나를 정확하게 알아주는 사람을 사랑하게 되듯, 시인을 독자가 사랑하는 까닭은 독자의 삶을 정확하게 짚어내는 그의 언어를 동경하기 때문이라고.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그러므로 시인은 끊임없이 슬픔을 느끼면서도 슬픔에서 다른 행복을 느끼려고 발버둥치는 존재였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절망 속에 파묻혀버린 사람이 아니라. 어떤 감각을 총체적으로 바라보고, 삶 자체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시인이라면, 단지 슬픔만이 아니라 거기서도 적확한 행복을 찾아내기를 바라요..저는 조에부스케와 릴케를, 그런 차원에서 좋아합니다.

yureka01 2016-08-02 11:27   좋아요 1 | URL
아고..좋은 지적입니다..ㅎㅎㅎㅎ
말씀하신 그게 시인이 쓴 시가 역할을 하고 있는 거니까요...

그런 시인의 슬품에서 동질감..공유감..연대감을 느끼는 힘....

그런거 있죠..

행복하니 슬프고..슬퍼서 행복한 인생이라고..ㅎㅎㅎ

댓글 아주 잘봤습니다.~~^^.

2016-08-02 12: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8-02 12:3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8-02 19: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8-02 23: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8-02 19: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8-02 23: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8-02 22: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6-08-03 01: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transient-guest 2016-08-03 01:4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시는 제가 유일하게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 영역입니다. 요새 겨우 박인환이나 백석 같은 분들의 평전을 읽고 조금씩 알아가고 있습니다. 뭔가 가슴이 타는 듯 먹먹하네요.

yureka01 2016-08-03 08:50   좋아요 1 | URL
문장의 아름다움,,,정수는 시가 아닐까 싶어서 저도 시를 재대로 모르지만 읽으려 합니다.ㅎㅎㅎ^.^...

나와같다면 2016-08-03 21: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차마 휴대폰 번호를 지우지 못하는 그 마음을 알것같습니다

yureka01 2016-08-03 21:46   좋아요 0 | URL
번호를 지워 버리면 영영 기억마져 사라질 거 같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