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 대형 서점에서 고객이 편하게 앉아서 책을 읽을 수 있도록 책상과 의자를 놨단다.

 

보고 싶은 책 마음껏 보는 거야 나무랄 수는 없겠지만, 책 읽기만 읽고 판매가 안 되면 재고는 도대체 어디로 가야 할까?

 

책이 어려 사람의 손때를 타고 남은 빈자리는 어떻게 매꾸어야 할 것인가? 혹여나 출판사로 반품된다면, 작가는 인세도 못 받고 출판사는 재고 않고 패기? 해야 하는 것은 아닌가 싶다.

 

북풀, 알라딘 블로그를 보고 있으면 상당한 착시현상을 불러일으킨다.

 

 

책이 대단히 많이 팔리고 있는 거 같은 착시현상 말이다.

 

 

이 우물 내에서야 책의 독서 바람이 활발히 불지만 일반으로는 책 구입은 전혀 없는 가정이 상당히 많다.

 

있는 집은 책 볼 시간이 없을 것이고 없는 집은 돈이 없어 책볼 시간이 없을 테고, 한해 평균 도서구입비가 소주값 아니 대형 프랜차이즈 커피값 몇 잔에 불과하다고 한다면 믿겠는가? 사실이다. 통계가 말해주기에 …….

 

나도 올해 도서구입비를 계산해 봤다.

 

알라딘에서 구입한 책값이 얼추 백만 원을 훨씬 상회 하였다.

 

 

안 그래도 주머니 사정에 이를 바득바득 갈리는데 이제 더 이상, 당분간은 책값이 무리임에도 불구하고 보고 싶은 책, 또는 사진가들의 책은 도저히 외면할 수가 없어서 구입한 것들이다.

 

카메라는 수백만 원을 질러도, 고작 1,2만원하는 사진 책은 카메라 판매 금액 반에 반도 안 된다.

 

불균형적 현상은 결국 멍청하고 무식한 이미지들을 양산하고, 기초가 부실한 무덤덤한 사진이 남발되며 그런 사진들이야 박약한 카메라의 이미지에 꽂혀서 그러다 마는 게 대부분의 수순일 뿐이다.

 

그나마 사진에 대한 저술가들이 있었기에 사진이 이만큼 발전하는 이유일 텐데 아쉽기는 매한가지다.

 

그런데 또 사진 에세이집 주문했다.

 

대부분이 판매지수가 현저히 낮은 사진 책들이다.

 

글이 적고 사진이 많아서 읽기가 수월하다.

 

그런데 글 한 줄이 명언처럼 파고드는 초고감도의 농밀어를 막상 사진 좋아한다며 사진을 주구장창 찍어 대는 사람은 정작 찾지를 않는다.

 

사진 찍는 놈 백이면 백 놈 붙잡고 물어 봐라.

 

사진이 다들 하나같이 이구동성으로 어렵다고 내지른다.

 

 

그런데 "사진적인 행동"은 어찌 그리도 쉬워 보이는 건가 말이지.

 

 

어려운 척하는 거지. 그래야 있어 보이는 허영 끼로 포장할 수 있거든.

 

그러나 정작 행동으로는 전혀 어려워 보이지가 않아서다.

 

풀풀 날리는 봄바람 같은 사진들이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5-11-18 17:4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이번 교보문고의 마케팅은 바닥에 죽 치고 앉아서 책 읽는 손님들을 줄일 수 있어서 좋은 것 같아요, 그런데 이렇게 하면 책 읽는 사람이 늘어날 뿐이지, 책 사는 사람은 늘어나지 않을 겁니다. 요즘 책 한 권 안 사고도 서점 그 자리에서 읽는 손님들이 있으니까요.

yureka01 2015-11-18 17:54   좋아요 1 | URL
사진책은 사진만 주루룩 보고 가버릴듯 ㄷㄷㄷㄷ
서점은 도서관이 아닌데 말입니다.....


예를들자면,
마트에서 시식은 할 수 있지만
마트에서 아예 식사를 하게 만들어 버렸어요 ㄷㄷㄷ

stella.K 2015-11-18 18:4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래도 저는 장기적인 안목에선 미비하게라도 책판매로 이어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그건 서비스를 위해서 설치해 놔야하는 거거든요.
어떻게 사람이 자기 살 책만 달랑 사 가지고 나올 수가 있겠습니까?
어떤 땐 무슨 책을 딱히 사야겠다는 목적없이 가기도 하잖아요. 드물긴 하겠지만...
좀 여유를 가지고 이 책 저 책 둘러보는 맛도 누려야죠.
기본적으로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스피드를 좋아하는 사람은 아닐 거라고 생각합니다.
적어도 의자를 설치해 놨다고 재고가 더 늘어날 거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서점이 고객을 위해 그만한 서비스와 여유를 갖지 못한다면 글쎄요 페스트푸드업으로
바꾸는 게 낫지 않을까요?
글쎄요, 제가 오래 서 있지 못해서 그런지
저는 알라딘 중고서점이 의자와 큰 탁자를 놓고 영업을 하는 건 꽤 잘한 일이라고 봐요.ㅋㅋ

yureka01 2015-11-18 20:12   좋아요 1 | URL
물론입니다.이게 독자들이 좀더 편안하게 책을 읽고 구매로 연결되어만
진다면야 더없이 좋은 일이니까요.
출판사와 작가들이 이미 한계점을 넘어가는 싯점에서
중소서점은 점점 문을 닫고 대형 서점 몇군데만 살아 독점하게 되지나 않을까 싶어서요,.
작가들이 밥이라도 먹어야 더 좋은 글이 나올텐데.....
정답은 없으니까요..^^.

fledgling 2015-11-19 10:5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서점에서 보는건 그렇다치고 새책->중고책 처럼 때가 뭍거나 찢어진 페이지가 몰래 속출되면서 중고책으로 바뀌죠. 결국 그 책은 헌책방으로 가고..? 너덜너덜해진 책도 봤는데 안타깝더군요.

yureka01 2015-11-19 11:17   좋아요 1 | URL
책을구입하고 새책의 잉크냄새.새로운 기분이 사라진다면?
구입한 책이 중고책처럼 너덜너덜하다면?
전 기분이 썩 좋지는 않을 거 같습니다.

깨끗하게 본다는 담보가 없고,
혹시나 서점에서는 헌책같은 새책이 책품질때문에
자칫 출판사로 반품되는 경우는 또 어떻할런지...

당연히 책을 많이 읽어야 하는 건데
책도 분명한 하나의 상품이라서 말이죠.

통상, 서점에서 출판사로 판매가 되지 않아서 판품되는 책은
손실처리가 되는 현싯점에서 출판사 영세성으로
이게 작가의 인세가 없게 되는 거라더군요....

독자의 편리성은 백번 찬성하지만...

그래서 요즘 사진책은 대부분이 비닐로 전부 포장하는 비용이 발생하나 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