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삶을 내 것으로 만드는 것들 - 공자와 그의 열 제자에게 배우는 10가지 변화 수업
푸페이룽 지음, 정세경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16년 2월
평점 :
절판
고전에서 찾는 지혜는 정말 깊은 무언가를 던져준다. 그러하기에 우리들은 고전에서 잃어버렸던 지혜들을 찾으려고 하는 듯하다. 하지만, 고전들은 너무나 어렵게 느껴지는 것은 비단 나만의 이야기는 아닐 것이다. 그러하기에 논어, 맹자, 중용, 대학 등의 책들 중에 어떠한 것을 읽어도 그 깊이를 다 이해하기란 어려운 듯 하다. 사실 우리들은 고전을 너무나 어렵게 여기고 있는 듯하다.
그런데, 최근에 만난 푸페이룽이라는 저자의 책은
논어를 보는 시각을 다르게 보여주고 있어서 신선했다. 우선 저자는
논어의 어려운 한문 경구를 예기하면서, 우리들에게 공자의 핵심학설
일이관지를 이야기 하지 않는다. 공자의 열 제자들의 다양한 성품과
그들과 관련된 에피소드들을 통해서 오늘날 우리들이 가져야 할 지혜를 말하고자 한다. 그러하기에 신선하고 쉽게 읽을 수 있었다. 아마
다른 책들과 마찬가지로 논어의 학이편을 살펴보면, 어떤 구절이
나오고, 그러하기에 배움을 중요시한 공자의 사상이 이러니 저러니
했다면, 너무나 진부하고 어려웠으리라.
공자가 천하를 주유하면서 힘든 삶을 살았음은 이미 아는 바이며, 그가 저술 하나 남기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그의
철학이 중국의 핵심 사상이 되었는지에 대해서 생각해보면, 당연히
그의 제자들이 떠 오른다. 그런데, 나에게는 안회, 자로 및 자하와 같이 익숙한 제자들이 있는 반면, 증삼, 염유, 재아 등과 같이 전혀 처음 보는 제자들도 있었다. 그간 번역된 논어를 읽긴 했으나, 너무나 겉만 읽은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이 책은 논어의 핵심을 안회의 즐거움, 자로의 솔직함, 자하의 가르침, 증삼의 부지런함, 염유의 바른 관리 노릇, 염웅의 덕행, 자공의 언변, 자유의 도량, 재아의 변론, 자장의 뜻 세우기를 통해서 들려준다. 그러하기에. 독자 중의 한 사람인 나를 지루함 없이 책의 마지막 장까지 이끌어 준다. 한 제자, 한 제자의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논어의 핵심이
무엇인지, 공자가 예기하고자 한 유가 사상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이해하게 된다.
오늘날을 살아가면서 고전에서 지혜를 얻고자 하는 이들에게, 이 책의 열 제자들은 각각의 모습으로 서로 다른 이미지를 만들어서 우리들이 스스로 지혜를 깨우치게 해 준다. 그러하기에 고전의 깊이가 무엇인지를 알게 된다.
무언가를 결정할 때 지혜가 필요하다면 이 책의 열 제자 중에 한 분으로부터 그 해답을 얻을 수 있을 듯 하다. 또는 세상의 무게에 짓눌려 힘들다고 생각될 때, 또 다른 제자의 이야기를 통해서 힘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배움이 힘들다고 생각될 때, 이 책 속의 증삼의 부지런함이나 우직함을 통해서 천천히 배워 나가는 것의 이치를 깨닫게 될 것이다.
참으로 오래간만에 사이다 같은 책을 읽을 것 같다. 논어의 어려움에 막힘을 느낀 분들이라면 이 책을 통해서 사이다를 느낄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