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징비록 - 지옥의 전쟁, 그리고 반성의 기록, 개정증보판 ㅣ 서해문집 오래된책방 2
유성룡 지음, 김흥식 옮김 / 서해문집 / 2014년 11월
평점 :

유성룡. 이분에 관한 책을 두권 정도 읽은 것 같다. 이 분의 이름을 들으면 빼놓을 수 없는 사람이 있는데, 그는 이순신이다. 이순신하면 빼놓을수 없는 분도 마찬가지로 유성룡일 것이다. 한국 사람 누구나 다 그럴지도 모르겠지만, 나는 역사속에서 한 획을 지은 분들에 대한 글을 읽으면 가슴이 아리다. 그것이 민족적 감정일지도 모르겠지만, 아마도 '나'의 이익을 포기하고 나라를 위해 모든 것을 바친 분들의 삶이 위대해 보여서 그런 것이 아닐까....? 나는 감히 생각해 볼수 없었던 그 시대 속으로 들어가본다.
<징비록>이라는 책을 남기셨던 유성룡. 그분이 없었더라면, 임진왜란의 전반적인 사건에 대해 이렇듯 자세하게 알수 없었을지도 모른다. 그 분이 그 당시에 힘겹게 써내려간 글들이 후손들에게 이렇게 소중한 자료로 남는다는 걸. 나는 그 분이 그것을 알았을 거라 생각한다. 그리고 다시는 이런 일이 있어선 안되노라고. 너희는 나라를 잘 지켜내야 된다고 말이다. 자신이 겪은 환란을 교훈 삼아 후일 닥쳐올지 모를 우환을 경계하기 위해 쓴 글이라고 서문에 그분의 글이 있으니, 분명 알고 계셨을 것이다.
이 책은 또한 국보로 지정된 아주 소중한 책이다. 책은 진정 소설이 아니다. 읽는 동안 어느 부분에서는 이 이야기가 실제인 걸까? 이런 끔찍한 일들을 정말로 겪어냈단 말인가? 라는 의문이 생길만큼 현실적이지 않았다. 그러나 이것은 실제의 기록이다. 우리나라를 거처간 역사의 한 획이었고 말이다.
1592년. 임진왜란이 발발한다. 어이없게도 일본은 전쟁을 시작했고, 조선은 그것을 감당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 그래서 초반에는 일본에게 무지막지하게 당했고, 장수들은 도망치기 급급했다. 태반의 장수들이 도망 먼저 갔다. 말그대로 아비규환이었다. 전쟁은 생각도 해보지 않은 사건이었을 테니까. 나라의 방비는 전혀 되어 있질 않았고, 심지어 왕조차도 믿질 않았으니.. 장수들은 자신의 임무를 버리고 도망가기에 바빴다. 그 와중에서도 이순신의 행보는 빛이 난다. 그리고 그를 천거한 유성룡. 그는 전쟁의 중심에서 모든 것을 지켜보고 있었다.
임진왜란이 끝나고 난 뒤 조선은 차마 눈뜨고 못볼처지였다. 백성들은 배고픔에 굶주렸고, 우리의 문화유산은 불타버리고 소실되었으며, 나라의 질서는 무너진지 애시당초 였다. 정치인으로서, 그 시대의 선비로서 유성룡은 나라를 이렇게 만든데 대한 잘못을 참회하고 반성하고 있었다. 그의 마음이 어떠했을지, 글 속에 다 담겨있었다. 하지만, 조선은 어찌됐든 남아 있었다. 만약 그때 일본에 넘어갔더라면 어찌 되었을까.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그래서 감사하고 또 감사했다. 이 책은 이번에 나온 신간은 아니고, 기존의 책에 <종군의 기록>을 추가 수록해 다시 나온 개정증보판이다. 임진왜란. 그것은 너무도 끔찍한 사건이지만, 이 책을 통해 많은 실재한 인물들을 만날 수 있었고, 또 대한민국이 있어서 행복했다.
<시경>에 '내가 지난 일의 잘못을 징계해서 후에 환란이 없도록 조심한다.'라는 말이 있으니, 이야말로 <징비록>을 저술한 까닭이다. 나와 같이 보잘것없는 자가 흩어지고 무너져 내린 때를 맞아 나라를 지키는 무거운 임무를 맡아 위기를 극복하지도 못하고 쓰러지는 나라를 지키지도 못했으니, 그 죄는 죽음으로도 씻을 수 없다. 그럼에도 산골 전답 사이에서 쉬며 구차하게 목숨을 연명하고 있으니 이 어찌 두려움을 씻어주시는 임금의 은혜가 아니겠는가. 그때 일을 생각할 때마다 두렵고 부끄러워 몸을 지탱할 수조차 없다. (p.16)
게다가 조선 전역이 굶주림에 허덕이고 있었으며, 군량 운반에 지친 노인과 어린아이들이 곳곳에 쓰러져 있었다. 힘이 있는 자들은 모두 도적이 되었으며 전염병이 창궐해 살아남은 사람도 별로 없었다. 심지어 아버지와 아들이 서로 잡아먹고 남편과 아내가 서로 죽이는 지경에 이르러 길가에는 죽은 사람들의 뼈가 잡초처럼 흩어져 있었다. (p.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