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리랑 청년, 세계를 달리다 - 무일푼 대학생, 1억 원 후원받아 전 세계 17개국, 33개 도시를 가다!
문현우 지음 / 넥서스BOOKS / 2014년 11월
평점 :

이렇게나 기특한 청년이 있다니! 지금 바로 내 옆에
있다면 그의 엉덩이를 토닥토닥 해 주고 싶었다. 아이고~ 장해라~ 장하기도 하지~ 라고 말이다. 나는 그가 단순히 세계 여행을 하기 위해
기업으로부터 1억원을 기부받아 여행을 떠났다고 생각했었다. 그리고 그 홍보의 일환으로 아리랑 청년이 되었다고 말이다. 하지만 이 책을 다 읽고
나서 내가 했던 얕은 생각은 잘못된 것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청년이 너무 기특한 나머지 장하다~ 장하구나. 라고 몇번이나 생각했는지
모르겠다. 청년의 기특한 생각이 너무나도 자랑스러웠고 이뻤다. 기업들이 너도나도 나서서 많은 후원을 해주었으면 좋겠다.
17개국, 33개 도시를 돌며 '이라랑'을 소개하며
한국문화를 알리는 청년. 처음에는 그도 아리랑 세계일주를 위해 1억원을 모으는 꿈을 단순히 꾸었는데서 그쳤던 일이었지만, 여행을 다녀온 후 그의
꿈은 바뀌게 되었다. 한국문화기획꾼 이라는 직업을 만들고 한국문화헤 한 보탬이 되겠다고 꿈을 변화시킨 것이다. 아무것도 없는 기반에서도 무언가를
이루기 위한 꿈을 가지고 그것을 바로 행동으로 옮긴 그의 그 행동이 중요하다. 그리고 대한민국을 사랑하는, 아리랑에 대한 그의 마음또한 말이다.
기특했다.
그리고 그 여행에 참여했던 우리나라
학생들은 또 어떠했는가. 너무도 이뻐서 대한민국이라는 것이 자랑스러웠다. 아니, 이런 아이들을 둔 우리나라가 자랑스럽기까지 했다. 대학생시절에
얼마나 많은 고민들과 취업에 대한 고민으로 학생들은 좌절하고 나아가질 못하는가? 그런 그들에게 이들은 모범을 보여주었다. 그래서 나는 대학생이
될 고3생들에게 이 책은 선배로서 좋은 조언이 될 책이라고 생각된다. 세계속에 울려퍼지는 아리랑을 보면서, 아니 글로 읽으면서 나는 뿌듯해했다.
세계속의 각국에서 우리나라 한복을 입고 아리랑을 부르는 아이들의 모습에 가슴이 찡해져 왔다.
이 책은 문현우 청년의 여행서이자,
자서전이자, 자기계발서이다. 나는 그의 꿈이 계속 되었으면 좋겠다. 그래서 그가 이루고자 했던 것들이 모두 이뤄지길 말이다. 아니, 이 청년은
잘해낼 것이라고. 지금껏 그래왔던 것처럼 잘 해갈 것이고, 설사 실패하더라도 그냥 멈추진 않을 것이라고 감히 기대해본다. 그리고 그의 글은
나에게 영향을 주었고 이 책을 읽는 이들에게도 또한 영향을 줄 것이다. 우리의 것이 사라지기보다 점점 더 진해지기를 바래본다.
세계일주를 하며 만난 많은
재외동포분이 내게 건 기대는 상상 이상이었다. 내가 하고 있는 이 일이 자신들에게 얼마나 큰 힘이 되는지 모른다며 다시금 아리랑 유랑단과 함께
그곳을 찾아주기를 바랐다. 또한 세계 곳곳에서 재외동포들이 지켜 내고 있는 한국문화의 실상을 제대로 보고 느껴서 그 연결고리가 되어 실질적인
한국문화의 힘을 조여 주는 사람이 되어 달라고 말씀하셨다. 귀국 후 학업을 마치고 취업 준비나 하자고 마음먹었던 내가 너무 부끄러워지는
순간이었다. (p.17)
만일 내가 세계를 누비지 않았다면 언제까지나
고립된 생각으로 '우물 안 개구리'가 되었을 것이다. 흔히들 여행은 견문을 넓힌다는 말이 있듯이 세계를 누비며 우리의 역사와 문화, 나아가
공공외교의 차원에서 견문을 넓힐 수 있었고, 세계 곳곳의 역사의 장면들을 바라보며 이 분야에서 힘이 되는 사람이 되기 위해 더욱 공부하고 싶다는
꿈을 가지게 되었다. 독일은 자국의 역사 교육에 대해 '청소년을 대인으로 키우기 위한 길'이라고까지 말했다. 역사를 아는 자는 미래를 만들고
꿈을 얻는다. 이것이 아리랑 유랑단을 통해 내가 얻은 교훈이다. (p.198)
이처럼 세계를 누비며 나는 다양한 문화와 마주하고
그들도 먼 동방예의지국에서 날아온 우리들의 모습이 이상하면서도 서로 이해하려고 노력했다. 서로가 마음의 창을 열고 서로의 문화를 받아들이고
교류를 하는 순간, 우리는 어느덧 친구가 된다. 문화는 결국 다를 뿐이지 틀린 것이 아니다. 서로의 문화를 존중하고 열린 마음으로 받아들인다면
세상은 지금보다도 더욱 아름다워질 것이다. 선조들이 그랬듯 지금 당장 창문을 열고 버선발로 나가 세계인들과 우리 문화로 소통해 보자.
(p.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