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보그가 되다
김초엽.김원영 지음 / 사계절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이보그가 되다>는 소설책이 아니다. ( 사실 나는 작가이름만 보고 소설책인줄 알고 ㅠㅠ 샀다 )김초엽작가와 김원영작가가 같은 소재를 가지고 각자 글을 쓰고 묶은 굳이 정의하자면 사회적 메시지와 생각꺼리를 안겨주는 에세이 정도?

둘의 연결고리는 아마 장애를 갖고 있다는 것, 글로도 세상과 소통한다는 것.



장애를 보는 시선과 장애가 아닌 비장애자 중심으로 해석되고 개발되는 기술에 대한 문제점들, 그리고 극복되어야만 하는 대상으로 보여 지는 장애, 그래서 장애를 가진 이들에게 극복하기를 권하는 사회와의 불화를 이야기하고 있다.



아 빨리 좋은 기술이 나와서 혹은 의학기술의 발달로, 그 분들도 목소리를 낼 수 있기를 혹은 두 발로 달릴 수 있기를 바라는 것이 당연하다 생각했다. 수어로 이야기를 나누고 그들의 문화를 만들어간다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장애는 극복하고 고쳐져야 하는 것, 결핍이라 생각한 정상인만이 세상에 설 가치가 있다는 듯 나도 모르게 생각했나 보다. 은연중에 그런 편견을 보고 배우고 그런 태도가 올바르다 생각했다는 게 그리고 그런 생각들이 나쁘단 생각도 하지 못했다. 장애를 극복하고 성공하는 이들의 이야기만 읽고 들으며, 이 책에서 말하는 그런 감동포르노에 익숙해진 것 일까.



사이보그 하면 보통 인간을 대신해서 싸우는 로봇이나 아이언맨 등을 떠올린다. 나처럼 연식있는 이들은 소머즈나 육백만불의 사나이 정도? 육백만불의 사나이가 자신의 수족으로 쓰던 로봇다리를 임무를 수행하다가 잃었다. 그는 산재판정을 받을 수 있을까? 신체가 아닌 의족, 신체를 대신하는 기계들은 신체의 연장인가 아니면 그저 물건일 뿐인가. 최근엔 이 또한 신체의 연장으로 보는 판결이 대법에서 내려졌다고 한다.



이 책은 사실 나의 무지와 한심함을 일깨워줬다. 관심 없이 그저 이렇게 저렇게 행동하고 말하면 된다고 배워 온 세월 탓을 해 본다. 어릴 적 장애인과 관련된 독후감을 쓸 때면 언제나 느낀 점엔, 불쌍하다, 장애를 극복한 모습이 멋지다 등으로 마무리 되고, 그러면 선생님들은 그런 구절에 밑줄을 긋고 참 잘 했어요를 찍어 줬다. 그래서 그런 줄 알았다. 극복하는 장애, 그런 결핍 속에서도 일반인도 힘든 일을 해내다니 대단해. 장애인들의 극복과정이 비장애인들에게 감동을 주는 도구가 되는 순간은 감동포르노일뿐이라고 한다. 오만함과 정상인들만이 세상의 주인인 듯한 잘못된 시선을 가지고 커 온 나이다. 장애는 극복도 결핍도 아니다. 그저 좀 다르지만 나와 다르지 않은 것. 나와 동등하다는 것.



따뜻한 기술, 트랜스휴머니즘이 세상을 바꾸고 장애를 종식시킨다?



물론 25억이 있으면 유전적 질환으로 인한 장애를 한방에 고칠 수도 있고, 수천만원을 들이면 계단을 오르는 휠체어를 타고 조금 더 편한 삶을 영위하겠지. 그러나 모두에게 그런 금액과 혜택이 돌아가는 건 아니다. 보조기기의 가격은 점점 다양한 기능과 함께 가격은 올라가지만 장애인 일자리는 부족하고 정규직도 드물다. 그림의 떡 일뿐만 아니라 고만고만한 보급형을 사는 것도 부담이다. 언젠가 치료약이 나오겠지 와 치료약이 나왔지만 25억이란건 또 다른 절망이다.



그리고 그런 장애에 대한 확장으로 인공와우나 휠체어 등 보조 장비를 이용하는데에 대한 문제점과 이점을 논한다. 생활이 좀 더 편해지는 것도 맞고, 예전과 달리 소통도 가능하다. 하지만 여전히 세상의 많은 이들은 비장애인의 시선으로 장애인을 보며, 그들의 결핍을 비장애인의 시선으로 본다. 그래서 보청기는 기능보다 심미적으로 타인의 눈에 띄지 않는 것이 선호되며, 의족이며 휠체어도 장애인의 편리보단 비장애인의 시선에 맞춰지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또한 자신의 장애에 익숙해진 이들이, 보조기구를 통해 장애를 꼭 극복해야 하는지, 선택의 여부에 대한 담론도 있다.

약을 개발하고 도움을 줄 신기술의 개발도 중요하지만, 정작 지금은 좀 더 장애인들의 삶을 편하게 해 줄 서비스들 또한 필요하다. 사소하지만 비장애인들의 눈엔 아무 문제없는 일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며, 지금은 예전보다 장애인들의 참여로 IT와 앱 지식기반 사업 등에서 발전을 이뤘지만, 중증장애나 이러한 기기들을 접하지 못하는 장애인들에 대한 배려도 필요하다.



마스크를 쓰며 1년을 보냈고, 앞으로도 마스크를 써야 할 기간이 꽤 길 것 같다. 그저 마스크가 답답하고 불편하다고만 생각했다. 그러다 텔레비전에서 입모양 부분만 투명하게 하고 나오는 이들을 봤다. 뭐지, 웃기잖아 라고 생각했는데, 실제로 청각장애인들은 마스크를 쓰면서, 타인의 입모양을 읽지 못해서, 혹은 말소리가 부정확해서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마스크를 쓰면서 한 번도 그런 생각을 하지 못했다니, 나의 무심함도 그렇지만, 굳이 찾아 보지 않으면 장애에 대해 얼마나 주류언론이나 매체 등이 무심한지도 알 수 있다.

이 책에서 말하는 빨대 또한 그렇다. 빨대를 없애거나 종이나 옥수수등 친환경물질로 만든 빨대를 쓰는 것에 참 좋은 결정이라 생각했다. 빨대가 장애인을 위해 고안되었고, 실제 노약자나 장애를 가진 이들에게 빨대는 꼭 필요하며, 종이나 옥수수 빨대등은 흡입등의 이유로 장애인들에겐 더 고역이라는 것, 그럼 장애인들은 빨대를 챙겨다니면 되지 않냐고 하지만, 그것 또한 차별이다.

소머즈와 육백만불의 사나이는 장애를 최첨단 기술로 교체하면서 더 뛰어난 능력을 가지게 됐다. 그렇지만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엄청난 돈과 국가적 기술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그들의 최첨단 기계들은 무언가 전력원이 필요하고 기름을 치고 혹은 업그레이드를 하거나, 몸에서 분리해 고쳐야 할 경우도 있다. 빛 좋은 개살구. 모든 장애를 뛰어넘어 따뜻함을 선보일 것 같은 기술은 사실은 특정한 누군가에게만 주어질 것임을 그리고 그들의 말처럼 그렇게 획기적이진 않을 것임을 안다.

동정과 시혜와 자선, 장애인을 보는 시선이다. 장애라는 것 또한 그들의 정체성이라고 한다. 극복해야 할 것이 아니라 그저 나와 다른 누군가, 비장애인들의 도시가 아니라, 모두의 도시가 되기를, 서로 다르지만 같다는 걸 잊지 않기를.


댓글(5)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syche 2021-02-03 04:13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저도 제목만 보고 소설인 줄 알았네요. 깊이 생각해보지 않았던 부분들인데 꼭 한번 읽어봐야겠네요.

cyrus 2021-02-03 09:0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늘 저녁 7시 30분 알라디너 TV에 북토크 생중계를 해요. 책을 읽으셨으니 시간 되면 꼭 보셔요. ^^

미미 2021-02-03 09:1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오~저는 감동포르노라는 말이 와닿아요!
SF소설이라 생각하시는 분들이 꽤 많을듯. 저도 맨 처음 그랬어요^^;

scott 2021-03-05 15:2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미니님 이달의 당선!
추카~추카~*
오늘 태어난 개굴군 🐸도 추카!

mini74 2021-03-05 15:49   좋아요 1 | URL
경칩에 개구리보다 scott님이 더 바쁘신것 같아요. 봄처럼 기쁜 소식 알려주셔서 고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