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악마의 바이올린
조셉 젤리네크 지음, 고인경 옮김 / 세계사 / 2010년 1월
평점 :
품절
바이올린 하면 아름다운 선율! 서정적인 매력과 갱쾌함이 어울려 떠오른다.
또한, 연주자의 연주 솜씨에 따라 따뜻하고 서정적인 표현이 다양하게 느껴진다.
하지만, [악마의 바이올린]이란 제목은
사람이 아닌 영적인 존재 바로 악마라는 것이 두려움을 주고 있다.
이 책은 일반적으로 음악적 상식이 약하고 바이올린에 관해 아는 바가 매우 부족한 상태에서 읽게 되어
처음에는 다소 지루함을 느끼기도 하지만 사건이 전개 되어가면서 부터는 매우 흥미진진하다.
조셉 젤리네크는
필명으로 책을 펴내는 음악가로써 광범위한 음악적 지식을 활용하여
음악을 소재로 한 소설을 펴내
[10번 교양곡]에 이어 [악마의 바이올린]이란 제목으로
우리들에게 신선한 즐거움을 주고 있다.
이번 [악마의 바이올린]은
바이올리니스트 지네트 느뵈와 니콜로 파가니니라는 실제 인물과
허구의 인물을 병합하여 멋진 픽션으로 독자로 하여금 혼돈을 자아내면서
클래식 음악과 함께 살며시 베어드는 두 방향의 로맨스를 그리고 있다.
사건은 명기 스트라디바리 바이올린에 관한 비화, 이에 드리운 악마와 저주의 미스테리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영매가 등장되고 그녀에 의해 사건의 실마를 찾게 된다.
영매와 함께 향수의 근원지를 찾고 오다 알게되는 파가니니의 비화와
일본 무사들의 할복 의식에 이르러 다양한 지식을 아울러
스릴과 서스펜스를 갖춘 추리소설 형식으로 우리의 가슴을 뛰게 하고 있다.
[악바의 바이올린]의 줄거리는 이렇게 시작된다.
페르도모 경위는 아들과 함께
아름답고 훌륭한 바이올리니스트 라라사발의 멋진 연주회를 보기위해
국립 오디토리움의 콘서트장을 찾았다.
음악회의 에티켓을 몰라 바짝 긴장을 하며 보던 경위는 라라사발의 연주에
감탄하다가 공연을 망칠뻔하리 만큼 빠져 들었다. 그러다 연주회 1부가 끝나고
잠시의 휴식시간이 주어진때 라라사발의 죽음으로 악마의 바이올린 이야기는 펼쳐진다.
그녀의 죽음으로 인해 사건은 시작되었고,
사건을 담당한 살바도르 경위가 뜻밖의 죽음을 맞아 페르도모는 사건을 맡게 되었다
페르도모 경위는 그 연주회때 만난
라라사발의 연인 첼로 솔리스트 안드레아 레스칼리오를 비롯 그곳에 있었던
사람들을 중심으로 사건을 헤쳐 나간다.
그러다가 살바도르가 영매를 통해 사건을 해결했었다는 사실을 알게되고
그 또한 본의 아니게 그 영매의 도움을 받게 되면서
사건의 현장에서 영매가 어떤 강한 힘에 의해 쓰러지고 그리고 깨어나서 알게된 사실
냄새...바로 향수냄새...
이렇게 해서 사건의 실마리는 찾게된다
......
그리고 무서운 악마의 영혼이 깃든 명기 스트라디바리 바이올린의 행방은 묘연하다.
책을 다 읽고 서평을 쓰게 되면서
나는 이 소설의 아웃트라인을 좀더 선명하게 잡을 수 있었다.
제법 수준이 있는 소설이다.
외국 소설이여서 이름을 비롯하여 명칭들이 다소 어려웠지만
음악적 소설의 즐거움이 있었다.
이런 소설을 읽고 재미를 느끼고 서평을 쓰면서
나는 내가 격이 높아진 느낌으로 우쭐해지기까지 했다.
음악적 수준이 지극히 약함을 느끼고, 바이올린에 관한 지식도 문외한이였음을 깨달았으면서도.....
그러나, 음악적 역사에 대한 얕은 지식이나마 배우는 계기가 되었다.
바이올린에게도 여러 이름이 있다는 것도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되었으니까.....
앞으로는 음악적인 정보에 귀를 귀울이며
눈을 크게 떠서 바라보고 생각하는 등 많은 관심을 가져야겠다.
그러면서 지금 바로 인터넷 검색을 하며 바이올린에 대해 알아본다.
- 현이 넷이다.
- 현악기중 가장 높은 소리를 낸다.
- 네 현은 네 옥타브 이상의 음역을 가지며 모든 반음과 미분음도 낼 수 있다.
- 현에 송진를 발라 마찰을 강하게 한다.
끝으로
책과 함께 부록으로 딸려온 CD를 들어보아야겠다.
책을 다 읽은 후에 들어보게 되어 악마의 바이올린으로 켠 연주가 아닐까 살며시 겁이 나기도 하다.
이밤 다소 두려움 마음을 가다듬으면서 컴퓨터 디스크란에 살며시 CD를 넣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