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세이스트 2009.11.12 - 통권 28
에세이스트사 편집부 엮음 / 에세이스트사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에세이스트 28호(11,12월)는 초대수필의 첫장에서부터
비교적 강하게 단시간 동안 계속되는 감정에 빠져들게 한다
사연마다, 저자들의 표현이 마치 지금 내눈앞에 펼져진 풍경이나 생활처럼 느껴지게 하고
세상을 향해 앞장서서 나아가지 않으면 안되는 경쟁심이나 조급함에서 잠시나마 벗어나게 해 준다
저마다 결코 낯설지 않은 감정을 그대로 표현함으로 새로운 세계에 다녀온 듯하다
에세이스트를 몇번 읽고 나니
하루 일과를 적듯 편안하게 글을 쓰는 마음이 통하게 된다면 누구나 수필을 쓸 수 있을 듯 참 편하게 느껴진다
이 속에서 수필가 서로가 서로를 외면하지 않고 관심을 기울일 수 있다면 더욱 좋겠다
또한, 에세이스트 수필전문 잡지를 통해
독자가 신인수필가를 비롯하여 여러 유명하신 수필가들과의 친밀한 만남의 장이 될 수 있으면 한다
이번 28호 에세이스트를 읽고 나는
문제작가 신작특집에서 에세이스트의 발행인 겸 주간인 김종완님에게 내마음이 확 꽂혔다.
'좁은 공간에서 살아남기'를 보면
명색이 잡지사이고 출판사이므로 직원을 채용해야 했던 문제에서 비롯되었다.
좁은 공간에서 일해야 하는 조건에서 여러 직원의 교체가 있었고,
결국 잡지 체제가 흔들린다는 이유로 가족을, 딸을 직원으로 채용함에 있어 일어난 상황들을 다룬이야기이다.
너무나 가까운 사이이기에 너무 쉽게 부딪혔다가 쉽게 풀어지기를 반복한 감정들의 표현이
너무나 절절하게 와 닿는다
딸아이가 아예 내려가 버렸을때 김종완님은 두마음이였을게다.
강한 해방감!! 해방감에서 오는 평화, 그러나 평화만이 남아있지 않았을 깊은 여운을 느낄 수 있다.
또하나
'나의 치사함에 대하여'에서는
가진것이 없기에 버릴것도 없고 욕심을 낼것도 없다.
그것이 세상의 물건이던지, 사람의 마음이던지 아무것도, 그 무엇도 없었기에 청렴결백하게 살수 있었고,
원천적인 고통에서조차도 제외된 존재였기에
시험을 당하거나,유혹을 당할 기회마저 박탈당했다고 한다.
오직, 이런 하나님께 감사 할 뿐이라고......그러면서 다른사람을 가슴으로 용서치 못한 자신을 본다.
자신의 치사함을 바라보면서 자기 자신을 용서치 못하고 있고,또 그런 자신을 신께 용서를 구하고 있다.
이번호 에세이스트 여운속에서
김종완님은 평론가의 입장을 벗어나 글쓴이가 되어 용서를 구하고 있었다
...
...
수필은 문학의 최고봉이라!
많은 분들의 정서와 생활과 사연들이 담겨진 한 권의 책 에세이스트!
객관적 사물을 있는 그대로 정확하게 재현 하려는 태도가 엿보인 수필가들의 모음집 에세이스트!!
에세이스트는 격월간 수필전문지로 최고라 말할 수 있다.
우리는 한국수필의 정수를 담아 영구 보존의 가치를 꿈꾸는 잡지이기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