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스트 2009.7.8 - 통권 26
에세이스트사 편집부 엮음 / 에세이스트사 / 2009년 7월
평점 :
품절


격월간「에세이스트」는
21세기 한국 수필문학의 새로운 발전을 모색하기 위해 탄생된 수필전문지이다
수필의 새로운 물결에 많은 작가분들이 참여해 주시고
우리 독자들은 새로운 수필의 세계로 여행을 떠나게 되었다.
나와 「에세이스트」격월간 수필전문지와의 만남은 신선한 새로움이였고
여러 작가들과의 만남의 장이되었다
 「에세이스트」의 특징을 보면
우리나라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들의 대표작들을 독자들이 선별한 후
평론가의 엄선으로 엮어낸 한국의 명수필 전문지라는 것이다
여기에는 초대수필을 비롯하여 장편수필, 중편수필등이 있고
이달의 에세이 1,2,3이 있으며 신인상 당선작들이 있다
또한 촌평과 평론등이 있다는 점이다

 나는
나이가 사십줄이 되었어도 책이 좋아서 읽게 된 지는 얼마 되지않았다
그래서 소설을 읽어야만 다음의 이야기가 궁금하여 마음을 빼앗기고 정신을  집중해서
책을 읽을 수 있었는데
요즘은 에세이나 비소설등 나의 계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책들에게 시선을 두게 되었다
특히, 계기가 된 네이버 ㅇㅇㅇ라는 책카페를 만나면서 부터 다양한 장르의 책을 읽게되었고
다소 부담스런 일이지만 서평이란걸 쓰게 됨으로써
정말 큰 만족감을 느끼고 있다. 내것으로의  소화라고나 해야할까?
「에세이스트」26 2009넌 7,8월호도 여기서 만나 읽게 되었는데
정말 생활속에서 느끼고 느꼈던 인생의 묘미와 감성을
어찌그리 적절하게 잘 표현해 주셨는지 감동의 감동이 아닐 수 없다
삶을 그린 이야기들의 묘사가 어쩌면 이렇게 아름다울 수 있겠는가!
꽃보다 아름다운 글들의 표현이다.
같은걸 보아도 같지 않은 마음의 시선,
같은걸 느껴도 전혀 다른 각도의 표현으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언어들로 각자의 그릇의 양과 질에 따라 표현됨들이
무지개빛 보다 더 여러 색깔을 지닌 아름다운 언어들의 조합이라 말 하고 싶다

 나에게는 
얼마전에 고인이 되신 김태길님의 추모특집 글들이
가슴에 찌르르 전기처럼 전해져왔다
'뒷모습'에서 숫기없는 사내가 여자들의 뒷모습을 바라보면서
신발이 바뀌고 스커트나 바지를 입었을때와는 걸음걸이 자체가 다르다는 것들을
느끼는 감정은 너무나 순수했다
역시 배움이 많으신 분들의 언어적 표현이나 사고는 순수할 수 있음을 알 수가 있다
특히, 고 김태길님의 근엄과 온화의 모습은 절제된 열정으로 우리에게 다가왔다
'고목'에서 나는 나무처럼 늙어 가면서 도리어 진가를 더 할 길 없는 사람이 되지는 말아야지
하는 깨달음이 있었고
'3남3녀'에서는 고 김태길님에게 나는 완전히 매료되었다
기대에서 어긋나기를 연달아 세번씩 겪으시면서도 서운한 감정의 표현은 아름답기까지 하다 
그중에서 셋째아이를 만나기까지의 기대심리의 묘사를 보자면
산부인과 의사가 산모의 여러가지 증상으로 보아서는 남자 같다고 한 것에 대해서는 서양과학이요,
대학 총장을 능가하는 권위가 감도는 관상쟁이의 위풍당당한  태도에서 나오는 예언은 동양철학이라.
이 서양과학과 동양철학이 이구동성으로 보증한 바에 아들임을 확신하여 만만의 준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셋째아이는 딸!
 하늘이 무너지는 서운함을 뒤로하고

......

그는 "순산이면 다행이지 그 무엇을 바라느냐"고 산모가 있는 안방으로 건너갔다.

  여기서 나는
나의 여리고 부족한 시선으로 바라봄에 있어서
말없이 받아주는 을 본다
나도 이런 사랑을 받고 있음을 느끼기 때문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갈급함을 느끼는 연유는 무엇이란 말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