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그는 모임 시간을 착각하고 있었다. 오후 7시에 시작하는데 6시에 시작하는 걸로.
부랴부랴 집을 나서서 지하철을 타고 거의 다 도착할 즈음에야 그는 시간이 7시라는
사실을 알아차렸다. 허탈함보다는 안도감이 들었다. 시간이 더 남은만큼 더 여유로울 수 있을 것 같아서.

모임 장소에 들어가서 음식을 먹고 준비해둔 음악을 들었다. 음악속에서는 세상을 떠난 프레디 머큐리가 감성적인 목소리로 ‘엄마 내가 사람을 죽였어요.’라고 외치고 있었다. 자신을 낳아준 엄마에게 내가 사람을 죽였다고 외치는 자식의 심정은 어떠한 것일까? 그리고 그 자신의 고백을 들은 엄마의 심정은 어떨까? 결혼도 안하고 자식도 낳지 않은 내가 알 수 있는 감정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적어도 그들의 마음이 찢어지리라는 것 정도는 추측할 수 있었다.

음식 먹고 준비해둔 음악을 들었는데도 당연히 시간이 너무 많이 남았다. 하는 수 없어서 읽고 있던 책을 집어들었다. 현대에 생존한 철학자 중 가장 급진적인 회의주의자이자 근대의 인간중심적 시각을 가장 철저하게 비판하는 영국 철학자 존 그레이의 <꼭두각시의 영혼>. 책을 펼치자 존 그레이는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 브루노 슐츠, 자코모 레오파르디, 에드거 앨런 포, 메리 셸리,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스타니스와프 렘, 필립 K. 딕, 스트루가츠키 형제, 디어도어 포이스 같은 작가들의 문학작품과 아즈텍 문명, 중세 유럽, 데카르트 같은 근대 사상가들, 20세기 미국과 이탈리아를 오가며 인간이 인간을 넘어선 존재가 될 수 있다거나 인간이 세상을 유토피아로 만들 수 있다는 생각의 위험성을 다시한번 각인시키며 자유에 대한 나의 고정관념, 인간중심주의적 시각을 파괴시켜버린다. 흠, 역시 존 그레이의 책들은 나의 사유를 깨부수는 도끼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는군.

<꼭두각시의 영혼>을 읽다가 불안한 마음에 <침묵을 삼킨 소년>을 펼쳐서 훑어본다. 읽은지 상당한 시간이 지난 책인데도, 감당할 수 없는 정념의 파토스가 밀려온다.
“마음을 살해한 건 용서받는데 몸을 죽인 건 왜 안 되지?”
“마음이랑 몸이랑 어느 쪽을 죽인 게 더 나쁘냐고?”
“만약 두 번 다시 네 목소리를 듣지 못하고 널 만질 수도 없게 된다면, 내가 얼마나 괴로울까... 병이나 사고로 네가 사라진대도 견딜 수가 없어. 하물며 누군가에게 살해당했다면...”
“나는 유토만이 아니라, 유토를 소중히 여기는 사람들의 마음까지 죽인 거네...”
“계속 생각해야지. 앞으로도 꾸준하게 계속. 그 사람들의 마음을 조금이라도 풀어 주기 위해서 뭘 해야 할지, 무엇이 가능한지. 아빠도 같이 고민하겠지만, 아빠도 언젠가는 죽어. 엄마도 마찬가지야. 너 혼자 남더라도 계속 생각해야 해.”
‘요시나가가 일어서서 닫힌 문을 향해 걸어갔다.
이제 더 이상 널 혼자 내버려 두지 않아.‘
쉽게 읽히고 무언가 생각할 거리를 줄 수 있는 책이라고 판단해서 추천했는데, 사람들은 어떻게 읽었을까? 궁금함과 더불어 불안감이 나를 찾아왔다. ‘모든 건 사람들이 말하는 시간속에 들어있겠지’라는 생각으로 사람들을 기다리며 나는 시간을 떠나보내고 있었다.

2번 생략

3.
내 것이 되지 못한 경험은 완벽하게 체화할 수 없다. 하지만 무수하게 많은 간접경험들을 한다면 비록 그것을 완벽하게 체화할 수는 없을지라도 그 근처에 가닿거나 어느 정도의 준비를 할 수 있는 것 아닐까. 이것이 비록 책 읽는 자의 변명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나는이 말에 일만의 진실, 일말의 진리, 일말의 희망이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겪지 못했지만, 우리가 겪은 것처럼 경험을 하고, 공감을 하며, 자신의 감정의 파고를 만들 수 있다면 우리가 진짜 그런 일을 겪을 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다른 이가 그런 일을 겪는다면 예전보다는 더 그들에게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마도 우리가 이렇게 된다면 과거보다 더 나은 존재가 된 것이 아닐까. 여기에 인문학 모임을 하는 의의가 있을 것이다. 지금보다 더 나은 존재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린다는 측면에서. 나는 2월 2주 인디고 수독 모임에 참여한 이들이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인문학과 삶의 가능성을 엿보는 시간을 가졌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나 자신이 그랬기에. 부디 그들이 지속적으로 인문학과 함께하는 시간을 가지며 좋은 삶, 좋은 앎을 위한 발걸음을 계속 할 수 있기를 기원하며 이 글을 마치겠다. 나와 함께하며 자신만의 좋은 말들을 내게 전해준 시간의 벗들에게 감사하다는 말도 전하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