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베개 현암사 나쓰메 소세키 소설 전집 3
나쓰메 소세키 지음, 송태욱 옮김 / 현암사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풀베개-나쓰메 소세키 

 

"이지만을 따지면 타인과 충돌한다. 타인에게만 마음을 쓰면 자신의 발목이 잡힌다. 자신의

의지만 주장하면 옹색해진다. 여하튼 인간 세상은 살기 힘들다. 살기 힘든 것이 심해지면 살

기 편한 곳으로 옮겨 가고 싶어진다. 어디로 옮겨 가든 살기 힘들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 시

태어나고 그림이 생겨난다. (...) 옮겨 갈 수도 없는 세상이 살기 힘들다면, 살기 힘든 곳을 어

느 정도 편하게 만들어 짧은 순간만이라도 짧은 목숨이 살기 좋게 해야 한다. (...) 

예술을 하는 모든 이는 인간 세상을 느긋하게 하고 사랑의 마음을 풍요롭게 하는 까닭에 소중

하다. 살기 힘든 세상에서 살기 힘들게 하는 근심을 없애고, 살기 힘든 세계를 눈앞에 묘사하

는 것이 시고 그림이다. 또는 음악이고 조각이다. 자세히 말하자면 묘사하지 않아도 좋다. 그

저 직접 보기만 하면 거기에서 시도 생기고 노래도 솟아난다."(p.15~16) 

 

<풀베개>의 첫부분은 이 소설이 나아가야 하는 방향을 명확하게 제시하면서 그 자체로 하나

의 굳건한 의미망을 형성하고, 책을 읽는 독자가 소설 속으로 빠져들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뭔가 화려하거나 아름답거나 독특한 표현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알기 쉬운 단어와 표현들로

문장들을 만들어, 책을 읽는 독자들에게 부드럽게 접근해서 조근조근 얘기하며 마음 속에 스 

며들게 만드는 이 부분을 읽고 나니 소세키 소설의 진가를 새삼 실감할 수 있었다. 첫부분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이 소설은 <풀베개> 이전의 두 소설인 <나는 고양이로소이다>와 <도련

님>과 다르다. 앞의 두 소설들이 한 사회와 인간이 만나서 빚어내는 풍경을 그려나가는 익살극

이자 풍자극이해학극의 느낌에 가깝다면, <풀베개>는 소세키 소설이 '사회와 인간'에서 

간 그 자체에 대한 관심으 로 들어가는 관문에 위치한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의 습과 행

동을 통해서 한 사회와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들의 모습을 그려내던 작가 소세키는, <풀베

개>를 통해서 자신이 '인간' 그 자체로 들어가는 과정임을 알려준다. 그는 이 과정을 형상화하기

위해 '예술'이라는 주제를 선택하고 자신의 예술론과 미학적 관점을 담아, 동양의 예술적 관점이

라고 할 수 있는 '인정'과 서양의 예술적 관점이라고 할 수 있는 '비인정' 사이를 방황하는 한 화가

의 얘기인 <풀베개>를 써냈다. 이는 작가 개인의 예술가로서의 고뇌가 짙게 됐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소세키가 이 작품을 통해서 예술가로서의 기본적인 입장을 정립한 것일까? 

확신할 수는 없다. 하지만 작품의 마지막 부보면 분명 소세키가 '무언가'를 얻은 것은 분명

하다. 그 '무언가'가 무엇인지는 이 작품 보다는 그 뒤에 쓰여진 작품들을 서 알 수 있을 것

이다. 결론적으로 <풀베개>는 아직 도래하지 않은 소세키 소설의 미래와 이미 도래한 소세키

소설의 과거가 예술이라는 접점에서 만나 빚어진 소설적인 관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관문 자체

도 충분히 아름답고 빛나지만 아직 도래 하지 않을 미래도 무척 궁금해지는 현실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란 소세키의 그 다음 작품들을 읽는 것밖에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