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뒷세이아 - 그리스어 원전 번역 원전으로 읽는 순수고전세계
호메로스 지음, 천병희 옮김 / 도서출판 숲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뒷세이아-호메로스 

 

트로이 전쟁은 끝났다.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살아남은 그리스의 영웅들 대부분은 고생을

겪으며 어렵게 자신의 고향으로 돌아가서, 전쟁이 아닌 일상으로서의 운명을 살아간다. 트로이

전쟁 내내 인간들의 세상에 적극적으로 관여했던 신들은, 과거만큼의 관여는 제하며 조용히

지내고 있다. 더 이상 전쟁의 법칙은 통하지 않는다. 지금 이 세계를 지배하는 건 일상의 법칙

이자 평범한 생활의 법칙이다. 여기에 치욕스럽게 살아남기 보다는 영광스럽게 죽기 원하는

영웅은 필요하지 않다. 필요한 건 죽기 보다는 살기 위해 힘쓰며 일상을 이루어나생활인들

이다. 여기서부터 <오뒷세이아>는 시작한다.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살아남았지만 유일하게

고향으로 돌아오지 못한 트로이 전쟁의 영웅 오뒷세우스의 돌아가기 위한 몸부림으로부터.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한 영웅 오뒷세우스에게 아직 일상의 법칙은 적용되지 않는다. 그는

초라한 행색이지만 여전히 영웅이다. 영웅의 성향을 가진 그에게 고향으로 돌아가야 하는

운명은, 자신의 영웅성을 실현시킬 절호의 기회이다. 호메로스는 이걸 놓치지 않았다. 그는

생활인이 되지 않은 영웅 오뒷세우스의 귀향 이야기를 몰락해가는 문학 장르인 서사시를

통해 들려준다. 영웅들의 이야기에는 아직도 서사시가 다른 어떤 문학 장르보다 적합하기 때문

이다. 하지만 오뒷세우스의 귀향 이야기는 <일리아스>와 다르다. 많은 영웅들이 등장

하고, 그들의 이야기가 마지막까지 이어지다가 결말에 미래의 영웅들의 활약상이 열려 있게

되는 <일리아스>와 달리, 오뒷세우스의 귀향 이야기에는 영웅도 한 명이고, 주도적으로 나서서

영웅을 돕은 신은 아네테 여신뿐이고, 영웅이 생활로 돌아가는 것이 결말로서 준비되어 있다.

아무리 영웅의 귀향를 미루어도 그가 일상으로 돌아간다는 결말이 바뀌는 것은 아니다.

오뒷세우스가 돌아간 이후의 이야기가 현재까지 전해지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까지 생각해볼때,

<오뒷세이아>의 결말은 서사시라는 문학 장르가 그리스의 문화적 전서 사라진다는 사실을

예언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마지막의 오뒷세우스가 자신의 영웅성의 표출을 포기하고 

자신이 복수를 저지른 이들의 가족들과 아테네 여신의 중재로 평화롭게 화해하는 장면은 신들도

잠잠해지고, 영웅들도 일상으로 돌아온 세계에서, 영웅들의 이야기를 노래하는 서사시라는 문학

장르가 사라지고 일상을 노래할 다른 문학 장르의 등장해야 함을 얘기한다. 그건 서사시라는

꿈이 깨졌다는 의미로 내게 다가왔다. 꿈이 깨진 걸 느낀 순간. 나도 일상으로 돌아가야 함을

깨달았다. 오뒷세우스라는 영웅과 함께한 백일몽의 끝에서, 오뒷세우스가 자신의 일상으로

돌아간 것처럼 나도 나 자신의 일상으로 돌아갔다. 여기가 호메로스의 두 편의 서사시와

함께한 모험의 끝이라고 되뇌면서.

 

*고대 그리스에서 서사시의 몰락은 교훈시의 등장으로 이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