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운슬러 민음사 모던 클래식 64
코맥 매카시 지음, 김시현 옮김 / 민음사 / 2013년 11월
평점 :
절판


카운슬러-코맥 매카시 

 

1. 

아마도 너는, 네가 <카운슬러>를 읽을 줄은 몰랐을 것이다. 너에게 코맥 매카시는 우울함과

어두움과 절망과 폭력과 죽음과 피와 미국적인 장광설이 난무하는 악몽 같은 소설을 쓰는

작가로서, 그의 소설을 몇 권 읽고 '기분 더러워지는 경험'을 하고 다시는 그의 작품을 읽지

않으리라는 다짐을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너는 그 다짐을 깨고 <카운슬러>를 읽었다.

여기에는 진짜 '운명'이라는 말만큼 적합한 단어가 없을 것이다. 이 운명은 너에게, 운명이

너의 마음 속에 남긴 잔상들을 기록하라는 압력을 가했다. 너는 거기에 굴복해서 이 글을

쓰게 됐다. 그런데 이 글은 운명의 강요로만 쓰여진 것은 아니다. 너는 이 글을 쓰면서 너에게

남겨진 '악몽'의 느낌을 덜어내려는 의도도 가지고 있다. 운명이 강요했든, 자기 자신의 의도

때문이든, 일단 글을 쓰게 됐으니 너는 더 이상 멈출 수 없다. 너는 글이라는 주사위를 던져야

한다. 지금 당장 시작하라. 

 

2. 

책을 읽은 것에 대해서. <카운슬러>는 <배철수의 음악 캠프>가 아니었다면 읽었을 리가 없는

책이다. <배철수의 음악 캠프>에서  흘러나온 이 책에 대한 배철수의 얘기는 나로 하여금 이

책에 대한 호기심을 품게 했다. 호기심을 품으니 어떤 식으로든 끝장을 보 싶었고, 그것이

<카운슬러>의 독서로 이어졌다. 읽고 나서, 떠올린 건 호기심이 항상 좋기만 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호기심이 창조의 원천이 되는 것도 사실이지만 동시에 재앙의 원천이 되기도

한다는 점을 생각해볼때, 나에게 이 책은 대한 호기심은 창조의 원천 보다는 재앙의 원천에

가까웠기 때문이다.

 

제목에 대해서. 왜 제목이 <카운슬러>여야만 했을까? 내용은 카운슬링과 아무 상관이 없는데.

책에는 주인공으로 나오는 '변호사'의 의미를 담아서 책의 제목이 이렇게 정해졌다고 했는데,

그렇다고 한다면 조금 더 '변호사'에 가까운 제목을 쓰면 됐을 텐데. 그랬더라면 내가 읽지

않았을 텐데. 괜히 '카운슬러'라고 해가지고 호기심만 더 키웠다.  

 

책에 대해서. 코맥 매카시의 책을 읽을 때는 나는 일단 '기분 더러워질' 각오를 한다. 그 각오

없이는 나 같은 사람에게는 그의 책이 읽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는 코맥 매카시의 

책을 읽을 때 기본적으로 거의 재미에 대한 기대를 하지 않는다. 약간의 기대가 있다면

'스타일이 달라졌을까?' 정도. 제목 때문에 더욱 스타일의 변화가 있지 않을까 했던 <카운슬러>

는 결국 '역시나'로 끝나버렸다. 책 가득 펼쳐진 죽음,살인,피,폭력,선과 악의 명확한 구분,

낭만과 온기라고는 한 조각도 찾아볼 수 없는 냉혹하고 가혹한 인간들과 세상,작가 특유의

장광설,지나치게 미국적인 스타일과 세계관까지, 어느 것 하나 나랑 맞는 것은 없었다. 정말

이렇게까지 나랑 맞지 않는 사람도 있을까 싶을 정도였다. 하지만 이렇게까지 극단의 세계관을

구축하고 그 스타일을 유지하고 책을 써나는 것도 대단하다는 생각은 들었다. 다만 그가 구축한

문학적 세계가 나랑 전혀 맞지 않는다는 점이 비극일 뿐.  

 

책을 읽고 나서. 코맥 매카시의 책에 대해서는, 나의 기준에서는 '기대치'라는 말을 없애버려야

할 것 같다. 대신에 나는 그의 책에 대해서는 '실망치'라는 말을 쓰기로 결심했다. 코맥 매카시는

나를 언제나 실망시켜왔고, 최소한 그 점에 있어서는 나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았다. 그러니

나는 언제나 나를 실망시키는, '실망치' 가득한 그의 책을 다시 읽고 싶은 생각이 없다. 이번에

는 배철수가 아무리 떠들어도, 전혀 읽을 생각이 없다. 그러나 세상의 운명이란 어떻게 될 것인지 알 수 없는 법이기에, 나는 코맥 매카시의 책을 절대로 읽을 리 없다고 장담할 수는 없다.

벌써부터 재수없게 또다른 운명에 이끌려 코맥 매카시의 책을 읽을 생각을 하니 등골이

오싹하고, 소름이 끼친다. 하나의 책이 한 인간에게 이 정도까지의 영향을 끼칠 수 있다니...

이것도 놀라운 능력이라면 놀라운 능력이다. 어떻게 보면 나는 이 책을 통해 코맥 매카시에게

제대로 된 카운슬링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그의 책을 읽을 때마다 오물 뒤집어 쓴 기분을

느꼈던 나를 배려해서, 그는 <카운슬러>라는 시나리오 책을 통해, 나를 카운슬링 해주며

'내 책 읽지마!'라는 진단을 내렸고, 나는 거기에 대해 '네' 라는 대답을 한 것이다.  

 

끝으로. 나의 판단 착오로 오물 한번 제대로 뒤집어 썼으니 그 오물을 씻어 내리기 위해 다른

책을 찾아 읽을 생각이다. 정말, 진심으로, 오물 뒤집어쓴 나에게는 코맥 매카시의 책이 아닌

다른 책이 필요하다. 내가 바라는 것은 오직 그것 하나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