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건 & 호킹 : 우주의 대변인 지식인마을 8
강태길 지음 / 김영사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이건&호킹:우주의 대변인-강태길

 -우주는 심연이다. 망망대해처럼 펼쳐진 무한한 우주의 어둠을 보고 있노라면, 심연을
들여다보는 공포감이 느껴진다. 무한하고 끝없는 어둠만이 가득했더라면 우리에게 우주는
공포 그 자체였으리라. 그러나 우주에 점점이 박힌 별들이 환상적인 빛무리를 우리에게
선사함으로써, 우주는 어둠의 심연이 아니라 우리가 꿈꾸고 상상할 수 있는 검은 캔버스가
되어버렸다. 인류는 과거부터 그 검은 캔버스에다 자신들만의 상상력으로 멋드러지고,
이상한 그림을 그리고, 자신들만이 알 수 있는 이야기들을 만들어내서 사람들에게 전파시켰고,
그것은 신화,종교,예술,철학,과학,정치,사회 같은 인류 삶의 전방위 영역에 영향을 끼치며
지금까지도 우리 삶에 전해내려오고 있다. 

현대에 들어 이 검은 캔버스를 덧칠하는데 있어 가장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은 누가
뭐라고 해도 과학일 것이다. 수학적인 공식과 계산,증명과 가설,이론으로 무장한 합리성의
화신 같은 과학이 무한한 우주를 설명하는 최일선에 서 있는 것이다. 동시에 이 말은 이제
우주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과학적인 사고와 과학적인 언어를 이해해야 한다는 말에 다름 아니다.
사는 것도 힘들고, 삶의 무게에 찌들린 이들에게 이 말은 어찌보면 우주에 대해서 관심끄고
살라는 말처럼 들린다. 
 

하지만 <세이건&호킹>에 나오는 두 과학자는 '그렇지 않아.'라고 말하며 우리의 귀에 우주에
대한 신비를 소곤거리며 우주를 이해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양자장론과 일반 상대성이론을
섞어 말하며 우주 기원의 신비를 밝혀나가는 스티븐 호킹이나 우주의 아름다움을 대중의
언어로 설명해주는 칼 세이컨은 우리가 우주에 대한 관심이 조금이라도 있고, 그것에 관해
알고자 잠시의 노력을 한다면 누구나 우주의 신비를 이해할 수 있다고 말한다. 

잠시 삶의 무게를 내려놓고 이 얇은 책에서 흘러나오는 우주의 대변인 두 명의 이야기를 듣고
있노라면 깨닫게 된다. 저 어둠의 심연인 우주가 우리 삶의 근원이자 토양인 무한하고 신비한 
세계라는 사실을. 그 잠시간의 여유가 우리 삶을 더욱 더 신비롭게 만든다는 사실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