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비들
김중혁 지음 / 창비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좀비들-김중혁 

이번에는 살아있는 시체들인 좀비들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살인,살인 하다가 그 다음이 시체이야기라니..
이러다가 다음에는 해부이야기 하고, 그 다음에는 유령이야기 하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다시한번 말하는 데, 이런 순서를 특정한 의도를 가지고 계획한 것은 아닙니다.
그냥 쓰다 보니 저도 모르게 이런 식의 순서가 나왔습니다.
그러니 저를 이상하게 보지 말아주세요. 저는 살인이나 피 이야기에 질색하는
지극히 정상적인 인간입니다.^^;;

변명은 여기까지 하고, <좀비들>에 관한 본격적인 이야기를 시작해 보겠습니다.
<좀비들>은 김중혁이 처음으로 쓴 장편소설입니다. 
저는 이 작가의 단편집 두권을 읽은 기억이 있습니다.
<펭귄뉴스>와 <악기들의 도서관>이 그 책들인데요,
톡톡 튀는 상상력과 기발한 이야기 구성 능력에 감탄했었습니다.
특히 <악기들의 도서관>의 몇몇 단편들은 정말 기발하고 젊은 상상력이라는 사실을 실감하는
독서의 경험이었습니다.


그래서 김중혁이라는 작가가 내놓은 최초의 장편소설인 <좀비들>을
'김중혁이 만든 좀비 이야기는 어떤 것일까?'라는 기대를 하며 읽기 시작했습니다.
다 읽고 나서 제가 처음 가지고 있었던 질문은
'김중혁이 만든 좀비는 뭔가 다르다'라는 문장으로 변화되더군요.
 

그러면 김중혁이 만든 좀비는 어떤 점이 다른가?
가장 결정적인 차이점은 좀비들이 단순히 죽이기 위한 괴물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바이오 해저드><사일런트 힐> 같은 게임부터 <레지던트 이블 시리즈><나는 전설이다>같은
영화에 이르기까지의 좀비들은 죄다 흉측하고,사고능력이 없고,오직 인간을 잡아먹기 위해 존재하는 괴물들 입니다.
그것들은 느릿느릿 움직이며 사람들을 죽이고,공포심을 갖게 하는,
이해할 필요 없는 이물질로만 존재하며, 언제나 인간들에 의해 타도되어야 할 대상입니다.
그런데, <좀비들>의 김중혁이 이야기하는 좀비들은 오직 인간들을 죽이려하는 괴물들이 아닙니다.
그들은 분명히 죽었지만, 완벽하게 죽지 못한 존재로서 살아 움직입니다.
그들은 한때는 우리의 형제.자매.부모.자식이었던 존재들로서,
우리가 사랑했던 존재로서, 우리의 삶에서 사라졌다고 믿었던 과거의 존재들입니다.
그들은 우리가 망각하고 사는 죽음을 상기시키는 존재이고,현재만 보고 매달리는
우리에게 잊혀진 과거를 떠올리게 하는 존재들입니다.
'죽고 나면 그만이거든. ... 잊혀지고 나면 모든 게 똑같아지는 거고,
똑같아지고 나면 아무도 기억을 못해.'  

<좀비들>에서 좀비들은 미약하고,힘없고,무기력하고,불쌍하고,슬픈 존재들입니다. 
바라보고 있으면 애잔하고,처량하고,슬퍼지는 존재들이 김중혁의 <좀비들>인 것입니다.
소설에서 <좀비들>은 괴물이 아닙니다. 오히려 좀비들을 이용해서 다양한 실험을 하고,
좀비들을 마구 죽임으로서 막강한 군대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인간들이 더욱 괴물에 가까운 존재로 느껴집니다.

이렇게 김중혁은 우리의 고정관념을 뒤바꾸어 좀비들에게 슬픈 정체성을 부여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함으로서 좀비들을 죽이고,
기뻐하는 인간들과 그에 반대해 좀비들을 살리려 하는 인간들을 포함한
소설 속 모든 인간들의 삶까지 함께 쓸쓸하게 만들어버립니다.

어쩌면 김중혁이 말하는 대로 우리네 삶이란 겨우 힘없는 좀비 따위나 죽이며 만족을 얻는,
분명히 과거가 존재함에도 과거같은 것은 없다는 듯이 외롭고 쓸쓸하게 살아가는
그런 삶일지도 모릅니다.
그런 삶이 우리네 삶이라면, 우리는 이제 조금 생각을 바꿔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정체불명의 좀비가 나타나면
먼저 죽이려 하거나,무서워하지 말고,
먼저 저게 뭔지 관찰해보고 판단해 보는 자세를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요.
만약 우리가 그 정도의 포용력과 열린 자세를 가진다면,
우리네 삶이 조금이나마 덜 쓸쓸해지지 않을까요.
 

저 같은 경우는 그렇게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니까 좀비가 나타난다면 먼저 그게 어떤 존재인지 파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그러고나서 좀비가 위험하다면 미친 듯이 도망치겠습니다.
도망치고 나서 저를 구해줄 레지던트 이블의 밀라 요요비치 같은 여전사를 찾아보겠습니다.
(음, 이런 생각을 하니 웬지 덜 쓸쓸해지는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