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 샌델 지음, 이창신 옮김 / 김영사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짜라의 독서파일 01-나는 왜 이 책을 읽다 잠이 왔는가?

몇주간 글을 쓰지 않았다. 그 가장 큰 이유는 글을 쓰고 싶지 않다는   

나의 심각한 게으름때문이었다.
게으름이 뇌를 좀 먹고, 신경 전달을 방해하고,   

근육의 움직임을 막아버렸기에 나는 글을 쓰지 못했다.
그러나 오늘만은 글을 써보려고 한다. 게으름이 지금도 내 뇌와 근육을 방해하고 있지만
오늘만은 글을 써야한다는 의지가 게으름에게 승리를 거두었기에  

드디어 글을 쓸 기회가 찾아온 것이다.
(한마디로 위의 글은 글을 안 쓴 것에 대한 비겁한 변명이다.^^;;)
 

게으름의 방해를 뚫고 썼기에, 나는 거창하게 짜라의 독서파일이라는 이름을 붙어보았다.
이것은 앞으로 계속 이런 식으로 글을 써나가겠다는 의지표명이다.  

그러나 과연 내 의지대로 계속 써나갈지는
게으름이라는 고질병을 앓고 있는데다가, 감정의 기복도 심한 나이기에 심히 의심스럽다.
그러나 시작이 반이라는 말을 믿기에,  '작심삼일만은 안 돼!'라는 의지를 가지고 있기에  

최소한 세번 이상은 쓰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물론 더 이상도 쓸 수 있다.  

게으름의 습격만 없다면...

각설하고, 나는 오늘 독서파일 첫 번째 글로 최근에 화제를 모으고 있는 책,  

정의란 무엇인가에 관해 쓰고자 한다.
뜨겁다 못해 폭발 직전의 인기를 모으고 있는 이 책을 독서파일 첫번째로 정한 이유는
뭔가 심각하거나 심오하거나 철학적이거나 관념적이거나 의미심장한 이유때문은 아니다.
내가 이 책에 관한 글을 독서파일 첫번째로 정한 이유는  

내가 이 책을 읽다가 잠이 왔기 때문이다.
책을 읽다 잠이 왔다는 그 사소한 이유 때문에, 나는 이 책에 관한 글을 쓰려는 것이다.
그래서 이 글의 제목도 '나는 왜 이 책을 읽다 잠이 왔는가?'로 정했다.
책을 읽다 잠이 온 이유에 관한 내적인 고찰이 주제이기에,  

이 글은 서평이나 리뷰와는 전혀 거리가 멀다.
정의에 관한 도발적인 문제제기나 정의로운 신념을 설파하거나 고취시키는  

고상한 목적과도 거리가 멀다.
나는 그저 내가 왜 이책을 읽다가 잠이 왔는지 알려주고 싶을 뿐이다.
오직 그것이 목적일 뿐이기에, 무엇을 생각하든 기대이하가 될 것이 뻔하기에,  

이 글을 읽으라고 말하지는 않겠다. 다만 '이 이상한 인간은 이 책을 이렇게 읽었구나'라는  

정도만 생각해 주었으면 한다.
책을 비평하거나 비판할 지식도,능력도,글빨도,철학도,역사의식과 창조적 생각도  

없는 인간이기에 이런 식의 글을 쓸 수 밖에 없음을 알려드린다.
그럼 이제부터 한번 글을 써 보려고 한다.

잠이 온 이유

1.육체적 원인- 그렇다. 잠은 지극히 육체적인 행동이다.  

육체적인 행동이기에 잠이 왔다는 건, 거기에 합당한
육체적인  원인이 분명히 존재함을 의미한다.  

그걸 의식하고 이 책을 읽었을 때의 내 육체적 상황을 생각해봤다.
그러니 잠을 잘 수 밖에 없는 육체적 원인이 떠오른다.
당시 나는 밤마다 미드와 헐리우드 블럭버스터와 일본 애니와 한국의 예능 프로와  

한국 드라마에 빠져 있었다.
보통은 적당한 수준에서 보다 말지만 이 책을 읽기 전날만은 무리를 했다.
대중적 상상력의 바다에서 헤엄치다 벌어진 이 무리한 행동은  

내 뇌가 그때 정상이 아니었음을 분명히 보여주며,
그 다음날 기회가 있을 때마다 수면이라는 늪속으로 내가 빠질 수 밖에 없게 만들었다.

그리고 그날 점심에 먹은 라면도 한 몫을 했다.  

최근 급격히 나빠진 위장이라는 장기가 점심때 먹은 라면의 소화를 거부한 것이다.
예상치 못한 위장의 저항으로, 내 내장기관에 쓰이던 에너지 대다수는 위장에 쓰였다.
식곤증보다 더 무시무시한 위장으로의 에너지 집중은 나의 체력 소모를 과하게 했고,
거기에 뇌가 퍼 뜨린 수마의 유혹까지 더해져 나의 육체는 '정의란 무엇인가' 뿐만 아니라
'여자란 무엇인가'라는 책을 읽는다고 해도 잠이 올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과연 육체적 원인만 잠이 오게 했을까? 아니, 그렇지만은 않다. 

2.내용적 원인

1)칸트
나는 칸트 평전을 돈 주고 사서, 줄을 그어가며, 메모를 해가며 읽었다.  

구토끼를 참으며 순수이성비판을 읽다가 gg쳤으며 

(사르트르의 소설 구토에 나오는 주인공이 부러웠다.), 그린비의 리라이팅 클래식에서  

간신히 순수이성비판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었다.  

가라타니 고진의 트랜스크리틱에서는 칸트의 새로운 가능성을 봤으며,  

그 외의 각종 철학 입문서와 다른 학자들의 강의를 통해서 칸트를 만나고 또 만났다.

 



그래서 칸트는 내게 너무나 익숙하고, 진부한, 이름이 되어버렸다.
단계로 보면 이렇다.

칸트를 만나다.-아, 칸트 형님은 위대한 철학자이십니다.
칸트를 만나다.-칸트는 독일 관념론의 대표적인 철학자로, 아직까지도 많은 영향을 끼친다. 

칸트를 만나다.-칸트는 뛰어난 철학자다.
칸트를 만나다.-칸트의 철학은 뛰어나지만 분명히 문제점이 있다.
칸트를 만나다.-칸트의 말대로 살기는 너무나 어렵다.
칸트를 만나다.-아,이제 칸트 지겹다.
칸트를 만나다.-칸트에 대한 언급하고 싶지 않다.
칸트를- 칸트 그만 말해!!
칸-그만 말하라고
ㅋ-고마해라!!! 

이런 상황에서 나는 '정의란 무엇인가'에서 다시 칸트를 만났다.  

몸은 잠을 원하고, 마이클 샌델은 역시 칸트의 이성과 도덕에 관해 말하고,  

나는 읽다가 정말 힘겹고도 힘겨웠다. 이러니 잠이 안 올수가 있겠는가!!

2)존 롤스
서양 철학에서 정의하면 존 롤스다. 존 롤스하면 정의다.  

정의하면 존 롤스고, 존 롤스하면 정의다.
이말은 거짓이 아니다. 진짜 서양 철학에서 정의하면 존 롤스고, 존 롤스는 정의다.



그러니까 '정의란 무엇인가'에서 존 롤스가 나올 것을 예감했다.
그런데 진짜 나오니 머리가 노래지기 시작했다.
다시한번 말하겠다. 서양 철학에서 존 롤스는 정의고, 정의하면 존 롤스다.  

그러니 존 롤스는 정의고, 정의하면 존 롤스다. 그러니까 존 롤스는 정의고...

 
*이 감상문은 미완성인데, 언제 다시 끝까지 쓸 수 있을지 알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