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쏘시개
아멜리 노통브 지음, 함유선 옮김 / 열린책들 / 2004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리뷰

1.

한번 생각해보자.

전쟁이 벌어졌다.

그 전쟁의 영향으로 세상은 폐허로 변하고,

밖을 돌아다니면 폭력의 희생양이 될 뿐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건물에 머문다.

폭격이 자신의 건물에 떨어지지 않기를 바라며.

 

당연히 그 상황은 자원이 부족하다.

추위를 이겨내기 위한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난로를 때우기 위한 나무마저 거의 다 떨어졌다.

만약에 서재가 있다면 

책이 불쏘시개로 쓰일 상황이다.

 

자, 그렇다면 여러분은 어떤 책부터

불쏘시개로 쓸 것인가?

 

이 책에 담겨 있는 이야기가 바로 이것이다.

 

2.

무인도에서 읽을 책을 고르는 것만큼이나

힘겨운 불쏘시개용 책 고르기는

세 사람의 신랄한 논쟁으로 이어진다.

 

노통 특유의 독설과 언쟁으로 이루어진

논쟁은 어떤 해답을 이끌어내지 못하고

한 사람의 눈물과 분노,

다른 한 사람의 독선적 행동등을 유발한다.

 

결국 불쏘시개용 책 고르기는 해답이 없는 것이다.

각자가 서로의 논리가 있는 데다가

자신이 책에 대해 느끼는 감동이 다르기 때문이다.

 

저마다의 논리로 무장한 그들의 말다툼은

책 각자가 저마다의 생명력을 가지고

자신들만의 삶을 지니고 있음을 역설한다.

 

자기만의 운명과 삶을 지니는 책들.

그 책들 중에서 과연 어떤 책을

불쏘시개로 쓴 단 말인가?

 

3.

책이 타는 순간 자신이 느꼈던 감동과

환희의 세계가 사라지고,

우리의 흔적이 사라진다.

 

몇분,몇 시간의 따듯함을 위해

영원한 인류의 유산이 사라지는 것이다.

 

그것은 우리가 사라지는 것이다.

 

영화 투모로우에서는

비슷한 상황에서 사람들이 책을

불쏘시개로 쓰며 눈물을 흘린다.

 

노통은 눈물을 보이지는 않지만

우리에게 경고한다.

 

책이 사라지면 우리도 사라지는 것이라고.

인류라는, 사람이라고 불리는 우리가

사라지는 것이라고.

 

책이 사라지는 상황이 온다면

그것은 우리가 과거의 짐승같던 시절로

돌아간다는 의미이리라.

아니, 그것은 우리의 존재의미가 사라진다는

의미이리라.

 

책이 없는 세상.

그것을 상상이나 할 수 있을까?

 

4.

자, 다시 처음으로 돌아왔다.

이제 질문을 하나 던져보겠다.

 

여러분이 만약 이런 상황이라면

어떤 책을 가장 먼저 불쏘시개로 쓸 것인가?

 

*이 책은 그렇게 재미있게 읽히지는 않았다.

노통이 너무 사변적으로 떠들어댄다는 느낌이 들었기 때문.

대신 소재의 참신함과 상황적 특수성은

흥미로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