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 간빙기 - 서윤후의 제4 간빙기 다시 쓰기 FoP Classic
아베 코보 지음, 이홍이 옮김 / 알마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3-30.4간빙기-아베 고보

 

*스포일러가 있으니 유의 바람.

 

A: 저는 아베 고보만 생각하면 항상 일본의 카프카라는 말이 먼저 떠오릅니다. 무엇보다도 카프카라는 단어에 꽂혀요. 저에게 카프카는 잊을 수 없는 인상을 남긴 작가거든요. 그러면 카프카가 저에게 어떤 인상을 남겼느냐? 카프카의 작품을 읽다보면 출구 없는 미로에 빠진 느낌이 들어요. 미로에 갇힌 것은 아는데 출구가 없어서 빠져나올 수 없는 느낌. <변신>을 생각해보면 알 수 있을 거에요. 어느날 갑자기 벌레가 된 주인공이 어떻게 자신이 처한 위기에서 빠져나올 수 있나요? 거기에 출구는 없습니다. 소설은 벌레가 된 주인공의 죽음으로 끝나죠. 저는 카프카의 작품들을 거의 이런 느낌으로 읽어냅니다. 다른 말로 하면 부조리의 느낌을 많이 받아요, 말도 안되고 빠져나올 수 없는 어떤 사건에 처한 이들이 겪는 부조리의 사건을 다룬 소설로서.

 

B: 아베 고보가 카프카와 비슷한가요?

 

A: 물론 카프카와 아베 고보가 똑같다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차이점이 있거든요. 하지만 유사점도 많아요. 아베 고보도 카프카처럼 부조리한 상황들을 잘 그립니다. 아베 고보의 대표작인 <모래의 여자>를 볼까요. 소설의 주인공은 곤충채집을 하러 어느 해안의 사구 마을에 갔다 모래에 갇혀 버립니다. 말도 안 되는 황당한 상황인데, 주인공은 몸부림치지만 모래에서 빠져 나오지 못합니다. 위에서 말한 카프카와 비슷하죠? 출구 없는 미로에 갇히 느낌의 부조리한 상황. 아마도 그래서 아베 고보를 일본의 카프카라고 부르는 것 같아요.

 

B: <4간빙기>는 어떤가요?

 

A: 일본 최초의 SF라고 불리는 아베 고보의 <4간빙기>도 카프카적인 느낌이 있습니다. 스포일러 느낌이라서 조금 꺼려지지만 이것에 대해서 말해볼께요, 일단 여기서는 이 작품을 저만의 방식으로 간략화하겠습니다. 저는 이 작품을 를 죽이는 작품으로 봅니다. 무슨 말이냐구요? 이 작품은 미래의 흐름을 따라가는 프로그램화된 가 미래의 흐름을 거부하는 현재의 를 죽이는 작품입니다. 나가 나를 죽이는 상황 자체가 말도 안되는 부조리한 상황이잖아요. 그래서 저는 이 작품도 카프카적인 부조리가 살아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B: 조금 더 자세히 말해주세요.

 

A: 소설은 우리가 살아가는 제4간빙기(빙하기와 빙하기의 사이에 얼지 않는 기온이 따뜻한 시기를 간빙기라고 합니다. 소설은 우리가 네 번째 간빙기인 제4간빙기에 살고 있다고 말합니다.)의 기후가 바뀌면서 해수면이 상승한다고 말합니다. 해수면이 상승하면 무슨 일이 일어나나요? 땅이 바닷물에 뒤덮이면서 우리가 살아가는 면적이 줄어들죠. 소설에서는 일군의 사람들이 그 변화에 맞추어서 수중인간과 수중동물들을 만들어냅니다. 그들은 미래를 예측하는 예언 기계를 통해서 미래를 파악하고 거기에 맞춰가려고 합니다, 그런데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일본의 예언 기계를 만든 프로그래머 . 그들이 파악하기에 는 예언 기계의 예언도 믿지 않고 미래의 변화의 흐름도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입니다. 그들은 의 정신적 데이터를 통해 프로그램화된 나를 만들어내죠. 이 미래의 흐름을 받아들인 미래적인 나는 현재를 살아가는 나가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미래의 흐름을 받아들인 이들에게 위협이 되기에 없애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래서 그들은 움직이죠. 나를 죽이는 방향으로. 그래서 이 작품은 나가 나를 죽이는 작품이 되는 겁니다.

 

B: 부조리한 상황이 맞군요.

 

A: , 부조리한 상황이 맞습니다. 미래의 나가 현재의 나를 너무나 잘 알기에 반드시 죽이려 하고, 거기서 벋어나려고 하지만 벗어날 수 없는 상황이 부조리가 아니라면 무엇을 부조리라고 해야할까요? 이건 미래가 현재를 죽이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현재에서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미래가 아니라, 현재와는 단절된 미래의 출현 속에서, 미래가 존속하기 위해서는 현재를 유지하려는 성향을 죽여야 하기 때문에. 변화하는 미래의 흐름에 탄 는 현재를 유지하려는 를 죽여야만 미래라는 삶을 살 수 있는 겁니다. 부조리하고 잔혹하지만 생존을 위해서는 어찌할 수 없는 부조리. 하지만 이 부조리는 카프카적인 부조리와는 다른 면이 있습니다. 카프카의 부조리는 부조리한 상황 설정만 하고 거기에 대해서는 거의 설명이 없습니다. 하지만 <4간빙기>의 부조리는 부조리한 상황 설정을 하고 거기에 대해서 이야기해줍니다. 죽기 전에 나는 기계가 전해주는 미래의 영상을 봅니다. 해수면이 상승하고 대지가 물에 잠기면서 수중인간들이 점점 더 미래의 대세가 되어가는 영상. 거기서 지상의 인간들은 설자리를 잃어가다 과거의 화석이 되어버립니다. 미래의 주역이 된 수중인간들은 과거의 환상으로서 지상의 인간들을 바라보죠. 그 영상을 보고 나면 부조리는 단순한 부조리가 아니라 설득력 있는 부조리가 됩니다.

 

B: 분명히 차이점이 있군요.

 

A: <4간빙기>에 그려진 부조리는 카프카적인 부조리와는 다릅니다. 그건 아베 고보식 부조리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아마도 <4간빙기>SF라는 형식을 통해서 아베 고보식 부조리를 펼쳐낸 소설이 아닐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