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역사 - '공무도하가'에서 '사랑의 발명'까지
신형철 지음 / 난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3-28.인생의 역사-신형철

 

다시 읽은 신형철의 책은 역시 신형철이라는 생각을 하게 합니다. 문학과 글에 대한 사랑을 바탕으로, 특유의 독특한 감성으로 책을 써내려가는 문학평론가 신형철의 책은 읽을 때마다 저에게 깊은 감성을 남겼습니다. 이번에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시에 관한 신형철 평론가의 책을 읽으며 생각해봅니다. 나라면 저 시들을 어떻게 생각했을지. 신형철 평론가의 시에 관한 글마다 저의 또다른 생각들이 더해집니다. 각 글마다 작은 서평들이 쌓일 정도로. 그걸 다 적을수는 없고 여기에 한 가지만 적어보겠습니다.

 

공무도하가

 

그대 강을 건너지 마오

그대 끝내 건너 강을 건넜구려

물에 빠져 돌아가셨으니

그대여 어찌해야 하리오.

 

백수광부의 아내는 백수광부가 강에 몸을 던지지 못하게 하고 싶었으리라. 강에 몸을 던지지 못하게 하려는 백수광부 아내의 의지는 시의 첫 연에 절절히 담겨 있다. ‘그대 강을 건너지 마오라면서. 하지만 백수광부는 강에 몸을 던지고 아내는 예상치 못한 일에 절망하여 부르짖는다. ‘어찌해야 하리오라면서. 참사를 막으려는 자의 욕망과 그것이 벌어지고 나서의 당황스러움의 간극. 이 간극이 빚어내는 격차가 이 시의 특징이다, 문제는 이 시에는 백수광부와 백수광부 아내의 입장만 담긴 게 아니라는 것이다. 참사를 목격한 곽리자고와 곽리자고의 이야기를 듣고 이 노래를 지어부르는 곽리자고의 아내 여옥의 입장도 이 시에 담겨 있다. 곽리자고는 참사를 눈앞에서 지켜보는 사람으로서, 백수광부가 죽으리라고는 생각하지 않았을 것이다. 첫 연의 백수광부 아내의 입장은 곽리자고의 입장과 따라서 등치된다. 그리고 참사가 벌어지고 나서의 당황스러움도 곽리자고와 백수광부 아내의 입장은 비슷한 부분이 있다. 다른 게 있다면 감정의 강도. 백수광부 아내의 입장에서 삶을 함께 보낸 남편의 죽음은 창자가 끊어지는 슬픔이었을 것이다. 그에 비해 곽리자고는 제3자의 입장에 있을 뿐이다. 다만 그는 자신의 눈앞에서 벌어진 일이 안타깝고 슬플 뿐이다. 곽리자고의 아내 여옥은 어떠한가. 여옥의 입장에서는 어떠한가. 여옥도 자신의 남편이 죽은 건 아니다. 하지만 여옥은 곽리자고의 이야기를 듣고 백수광부 아내의 입장으로 되돌아가서 노래를 지어 부른다. 자기 자신의 일은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기 자신이 겪은 것처럼. 여기서 여옥은 제3자가 아닌, 당사자의 경험으로 향하는 발길을 내딛는다. 타인으로서 타인이 아닌, 당사자의 입장으로 향하는 발걸음을 내딛는다는 건, 어쩌면 기적을 향한 발걸음과 다를 게 아닐 것이다. 우리는 완벽하게 다른 사람이 될 수 없으니까. 완벽하게 다른 사람이 된다는 건 기적이라고 할 수 있으니까. 그러니까 <공무도하가>를 보고 문학은 타인이 되려는 기적을 이루려는 인간의 염원이 담긴 장르라고 할 수도 있다. 여옥의 발걸음이 놀라운 건, 자기 자신의 삶에서 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여옥의 발걸음은 이 시를 읽는 독자에게도 전해진다. 천 년이 넘는 시간을 건너뛰어 나에게도 전해진 여옥의 발걸음. 2023년을 사는 나도 여옥의 발걸음을 따라 백수광부와 백수광부 아내의 이야기로 가닿는다. 나도 곽리자고처럼 그들을 바라보고 슬퍼하고 안타까워한다. 여기서 시간은 사라진다. 이게 기적이 아니고 무엇이란 말인가. 그러니 <공무도하가>는 내게 시간을 넘는 기적을 선사하는 시처럼 다가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