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일기 - 우크라이나의 눈물
올가 그레벤니크 지음, 정소은 옮김 / 이야기장수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3-25.전쟁일기-올가 그레벤니크

 

전쟁 첫째 날 내 아이들의 팔에 이름, 생년월일, 그리고 내 전화번호를 적어두었다.

아이들뿐만 아니라, 내 팔에도 적었다.

혹시나 사망 후 식별을 위해서.

무서운 사실이지만 그 생각으로 미리 적어두었다.(p.96)

 

바로 앞에 쓴 서평에서 저는 앞에 읽은 책에 대한 최악의 평가를 했습니다. 그 책을 읽은 내가 잘못이라고. 그 책을 선택한 내가 바보라고. 별점 평가에서 별 한 개를 주었지만, 솔직한 심정으로는 별 한 개도 아까운 책이었다고. 너무 뻔한 내용에 뻔한 주장인데, 마치 자신은 뻔한 주장을 하지 않는다는 듯이, 무언가 대단한 주장을 한다는 듯이 말하는 것이 너무 마음에 안 들었다고. 인터넷 공간을 조금만 뒤지면 누구나 할 수 있는 메시지에다, 정치학이나 정치철학, 정치이론 다루는 책을 읽으면 자주 나오는 이야기를 하면서 마치 무언가 자신만이 할 수 있는 이야기를 한다는 듯이 너무너무 별로였다고. 내가 비판하는 사람의 주장은 진부하다고 말하고, 자신의 주장의 진부함은 깨닫지 못하는 한국 지식인의 오만함이 너무 잘 드러내는 책이었다고.

 

어휴~~ 쓰다보니 너무 많은 독설이 나오네요.^^;; 참아야지. 쉼호흡 한 번 하고. 휴우~~ 제가 전에 서평을 쓰면서 이런 말을 한 적이 있습니다. 이 책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을 말하며 우크라이나 인들의 실존의 무게감을 말하는데, 이 책으로는 우크라이나인들의 실존의 무게감을 느낄 수 없다고. 그런 뒤에 저는 덧붙였습니다. 우크라이나인들의 실존의 무게감을 알려면 우크라이나인들이 쓴 책을 읽어봐야 한다고. 여기서 저는 <전쟁일기> 서평을 쓸 수 밖에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전쟁일기>는 우크라이나인이 겪은 전쟁의 경험이 생생하게 남겨진 책이기 때문이니까요.

 

먼저 전쟁이라는 말의 무게감을 한 번 생각해봅니다. 제가 쓴 전쟁이라는 말은 참 피상적입니다. 이 때의 전쟁이라는 말은 뉴스 보도에 나오는, 인터넷의 동영상에 나오는, 책의 문장 속에 나오는, 영화의 한 장면으로 등장하는, 게임 속에서 가상의 게임 캐릭터가 경험하는, 딱 그 정도의 무게감 밖에 없습니다. 그건 제가 전쟁을 실제 삶으로서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제가 쓰는 전쟁이라는 단어의 무게감은 실제 삶의 무게는 없는, 가상의 간접경험 그 이상 이하도 아니니까요.

 

그에 비해 <전쟁일기> 전쟁이라는 단어의 무게감은 무겁고도 무겁습니다. 우크라이나의 그림책 작가였던 저자 올가 그레벤니크는 35년간 평화롭게 지내던 삶에서, 하룻밤 사이에 폭격 소리를 들으며 전쟁이라는 삶의 현장으로 달려가게 됩니다. 기존에 가지고 있던 모든 삶의 안전함이 사라진, 남편과 아이들, 함께 지내는 개, 자기 자신의 목숨도 언제 죽을지 모르는 삶으로의 급전직하. 평온함이 아닌 불안이 지배하는 삶. 눈앞에 건물이 무너져 내리고, 사람들이 죽어 나가고, 그리고 언제 죽을지 모르는 삶. 제가 상상할 수 없는 삶의 나날을 저자는 단순하고도 인상 깊은 그림과 짧은 글들로 생생하게 남깁니다. 마치 생생한 전쟁의 호흡을 전하는 것처럼.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자신이 사랑하는 조국 우크라이나를 떠나서 폴란드를 거쳐 불가리아로 가서 정착하게 된 저자. 성인 남자는 국경을 넘을 수 없어서 남편을 우크라이나에 두고 온 저자의 불안함은 이루 말할 수 없습니다. 저자는 언제 끝날지 알 수 없는 전쟁의 나날 속에서 그림 그리고 글을 쓰면서 자신의 삶의 기록을 남겼고, 그 기록은 이렇게 머나먼 이국의 저라는 사람에게도 와 닿았습니다. 전쟁이 평범한 이의 삶을 얼마나 망가뜨리는지 생생하게 전하며.

 

<전쟁일기>를 읽으며 위에서 적은 것처럼 제가 말하는 전쟁이라는 단어가 얼마나 무게감 없고, 피상적인지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물론 실제 겪은 것은 사람만이 전쟁을 말해야 한다는 말은 아닙니다. 하지만 저는 실제 전쟁을 겪은 사람이 느끼는 전쟁이라는 단어의 무게감과 전쟁을 겪지 못하는 이가 말하는 전쟁이라는 단어의 무게감의 차이를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너무나 현격한 차이가 존재하니까요. 그래서 이 서평 이전에 혹평을 했던 책을 쓴 저자가 과연 우크라이나인의 실존의 무게감이라는 단어를 쓰면서 그 말의 무게감을 얼마나 생각했을지 궁금해집니다. 진부하기 그지 없는 주장을 하면서 마치 자신은 진부한 주장을 하지 않는다고 말한 그 저자는 진짜 우크라이나인에게 닥친 전쟁이라는 삶의 무게감을 파악하고 있었을까요. 아니면 그저 자기 주장의 정당성을 위해서 아무 생각없이 말을 했을까요. 자세하게 알 수 없지만, 자기 주장의 진부함을 전혀 깨닫지 못하는 걸 보며 아마도 자기가 말하는 단어의 무게없음을 깨닫기가 쉽지 않으리라고 생각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