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미안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4
헤르만 헤세 지음, 전영애 옮김 / 민음사 / 200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3-1.데미안-헤르만 헤세


2023년에는 제가 읽은 책에 대한 서평을 빠짐없이 쓰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역시... 다짐은 다짐일 뿐, 새해가 시작된지 며칠이 지나지 않았지만 다짐은 사그라들고, 의욕은 사라졌습니다. 왜 그렇게 글쓰기가 싫은건지... 글쓰기 싫어하기가 지속되다보니 아예 글쓰기에 대한 의욕이 사라집니다. 그냥 글에 대한 건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은 정신적 상태가 도래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일이 일어날줄 예상이라도 했던건지 2022년에 의도적으로 글을 쓸 수 밖에 없는 상황들을 만들어놨습니다.^^;; 강제적으로 글을 써야 하는 상황이기에 글을 써야 합니다. 없는 의욕을 끌어올려 컴퓨터 앞에 앉아 키보드 자판을 두드립니다. 


자, 이제 글을 써봅시다. 그런데... 그런데... 역시나 떠오르는 건 없습니다. 읽은 책이 있지만 읽은 책 서평을 쓰기가 싫어집니다. 그냥 포기해버릴까? 포기하는 건 너무나 쉬운 일이죠. 하지만 지금까지 항상 쉬운 일만 해왔기 때문에 이번에는 쉬운 일이 아니라 어려운 일을 선택해봅니다. 다시 글을 쓴다는 어려운 일을 선택한 것지요. 자, 다시 글을 써봅니다. 최근에 읽은 책이 아니라 과거에 읽은 책들을 떠올려봅니다. 어떤 책에 대한 글을 써볼까. 일단 철학책? 아, 생각만 해도 머리가 아픕니다. 사회과학이나 자연과학책? 음, 글을 쓰려고 생각하니 뭔가가 부족하다는 생각이 나네요. 자료의 도움이 없으면 글을 쓰기가 어려운 느낌이라고 할까. 예술이나 역사책은? 아, 그쪽 글들은 뭔가가 아쉽네요. 어쩔 수 없이 과거에 읽은 고전들을 떠올려봅니다. 그래, 나에게는 고전들이 있었어. 특히 문학의 고전들.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게 내가 사랑하는, 잊을 수 없는 막스 데미안이네요.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 알은 세계다.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깨뜨려야 한다. 새는 신에게로 날아간다. 신의 이름은 압락사스. 


글을 쓰기 싫어하는 나는 지금까지 나를 지배한 세계, 나의 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내가 새로운 나로 태어나려면, 글을 쓰기 싫어하는 나라는 나의 알을 깨뜨려야 합니다. 지금 내가 앉아서 글을 쓰는 건, 나의 세계를 깨뜨리는 행위입니다. 그리고 내가 글을 쓰면서 추구하는 건, 지속적으로 글을 쓰는 나의 이상이 되려는 행위이죠. 그걸 신이나 아프락사스라는 이름에 비유하는 건 말이 안 되는 건 같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추구하는 이상이기에 나의 이데아 정도로는 말할 수 있습니다.


한 사람 한 사람의 삶은 자기 자신에게로 이르는 길이다. 길의 추구, 오솔길의 암시다. 일찍이 그 어떤 사람도 완전히 자기 자신이 되어본 적은 없었다. 그럼에도 누구나 자기 자신이 되려고 노력한다. 어떤 사람은 모호하게 어떤 사람은 보다 투명하게, 누구나 그 나름대로 힘껏 노력한다. 


우리의 삶은 언제나 무언가가 되기 위한 과정에 있습니다. <데미안>에서 말하는, 선과 악의 양면성을 모두 포괄하는 총체적 인간이 되기 위한 과정으로서의 삶은, 우리가 그걸 원하는 한 언제나 그 과정으로서 존재합니다. <데미안>에서는 그 과정을 ‘자기 자신에게로 이르는 길’ 혹은 ‘자기 자신이 되기 위한 과정’으로서 표현합니다. 그걸 지금의 나에게 적용해보면, 지금의 글을 쓰기 싫어하는 나는 글을 쓰는 내기 되기 위한 과정에 위치합니다. 지금의 나는 미래의 글을 쓰는 걸 자연스럽게 하는 내가 되기 위한 노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비록 나에게는 그 과정을 돕는, 싱클레어의 친구 막스 데미안이 없지만, 스스로의 의지와 노력으로 글을 쓰는 나기 되기 위해 노력해 볼 것입니다. 2023년은 글을 쓰는 새로운 나가 되기 위한 시간이 될 것입니다. 아니, 너무 확신은 하지 않을께요. 그저 새로운 나기 되기 위한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그렇게 기원해볼께요. 그 기원의 끝에 글을 쓰기 싫어하는 지금의 나가 산산이 부서지기를 바라며 글을 마치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