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전쟁 - 투자인가? 투기인가? 암호화폐의 거짓과 진실
에리카 스탠포드 지음, 임영신 옮김 / 북아지트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암호화폐 전쟁-에리카 스탠포드


 

11리뷰 쓰기 3일째. 시계를 본다. 벌써 1050. 다시 허겁지겁 의자에 앉아 컴퓨터를 들여다본다. 이번에도 이틀 전에 읽은 책 리뷰를 쓰기로 한다. 어제처럼 쓰다 보면 써지리라 여기면서.

 

2017, 2018년은 암호화폐 버블의 시기였다. 사람들은 암호화폐가 황금알을 낳는 거위라고 여긴 채 무수한 돈을 쏟아부었다. 그 당시 모두가 암호화폐로 일환천금을 벌 수 있다고 생각했다. 누구라도 암호화폐에 투자하기만 한다면 부자가 되는 게 가능하다 여겼다. 그건 일종의 광기였다. 눈이 벌건 상태로 암호화폐에 돈을 집단적으로 넣기만 하면 된다는 광기. <암호화페 전쟁>은 그 당시 일어났던 말도 안 되는 암호화폐 사기극을 집중적으로 조명한 책이다. 책은 그 당시의 광기의 현장으로 독자들을 안내하며, 돈 벌려는 욕망에 미친 사람들이 미친 사기극을 벌이는 미친 사기꾼들에게 넘어가는 현장을 생생하게 알려준다.

 

생생한 암호화폐 사기극을 보면, 사람들이 무언가에 씌었다는 말밖에 떠오르지 않는다. 무언가에 씌이지 않고서야 저런 거에 넘어간다고? 저게 가능하다고? 물론 가능했다. 사람들이 진짜로 씌었기 때문에. 마르크스가 물신이라 부른 것의 변형된 형태라고 할 수 있는 돈귀신, 일확천금 귀신, 한탕 귀신에 씌인 인간들은 돈을 벌 것이라며 여기며 부나방처럼 사기라는 불꽃에 뛰어든다. 책은 초반부에 ICO부터 시작한다. ICO는 기업이 신규 암호화폐를 발행하기 위해 돈을 모으는 방식으로, 백서를 공개하고 일반 투자자들로부터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모으는 것을 말한다. 당연하게도 그 당시에는 암호화폐 시장은 미지의 영역이었고, 그에 따라 관련법도 전무했다. 따라서 말도 안 되는 온갖 ICO들이 남무한다. 어떤 이는 암호화폐로 섹스를 중개해주겠다 하고, 어떤 이는 연애를 이루게 해주겠다 했다. 어떤 이는 암호화폐로 사람들을 구원에 도달하게 해줄 수 있다. 이 외에도 무수한 말도 안되는 주장들이 넘쳐났다. 가장 황당했던 건, 이 돈으로 사람들에게 아무 도움도 안 줄 것이며 자기 소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던 사람도 돈을 모을 수 있었다는 점이다.^^;;

 

그래도 위의 사건들은 황당하긴 하지만 액수로 따지면 크지 않았다. 하지만 그 이후부터 등장한 건 액수 단위가 달라진다. 암호화폐 여왕으로 불리며 희대의 사기극으로 유명한 원코인을 만든 주역 루자 이그나토바는 5조를 들고 사라졌다. 아직도 잡히지 않은 채로. 비트코인을 넘어설 것이라 주장하며, 구글을 믿지 말라고 외치던 그녀는 고전적인 피라미드 방식을 이용한 폰지 사기로 돈에 눈 먼 이들의 돈을 들고 세상 어디간로 떠나갔다. 돈을 빼앗긴 이들의 절망과 한탄을 먹은 상태로.

 

원코인부터 시작한 사기극들은 말도 안 되는 이자를 약속한 비트커넥트 코인, 중국에서 시작되어 170억 달러 먹튀로 유명해진 플러스토큰, 거래소 운영자가 죽은 것처럼 보였지만 살아 있을 걸로 의심되어 부활 사기처럼 보이는 캐나다의 쿼드리가 거래소 사건, 부실한 운영으로 연속 해킹당해 막대한 피해를 초래한 마운트콕스 거래소 사건, 채굴기가 사라지는 마법을 부린 클라우드 채굴소 비트클럽네트워크 사건, 유명인을 이용한 시장조작으로 사람들을 울린 펌프앤드덤프 사기 사건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마지막에 책의 저자는 암호화폐의 유용성을 갑자기(??) 말하며 책을 마무리한다.

 

사람들의 욕망이 없었다면 위의 사기극들은 불가능했으리라. 돈을 벌겠다는, 일확천금을 마련하겠다는, 남들 다 같이 돈 버는데 나도 뒤질 수 없다는 욕망이, 욕심이 사람들의 눈을 멀게했다. 욕망 때문에, 사람들은 말도 안 되는 것들을 무시한 채 돈을 사기꾼들에게 건넸다. 그리고 그들은 돈이 사라지자 절망 속으로 추락해간다. 집단적으로 귀신에 씌인 듯한, 집단 광기의 무서움을 실감하면서 생각해본다. 현명한 투자 이전에 그 당시 암호화페 열풍은 투자도 무엇도 아닌 광기 그 자체였다고. 아무런 법도, 역사도 없는 그 당시 암호화폐 시장은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 수준이 아닌, 크레이지 리스크 크레이지 리턴이었다고. 그런 크레이지한 상황에서 돈을 버는 건 크레이지한 사람 아니면 힘들었을 거라고. 그리고 사람들을 미치게 만드는 것이야말로 마르크스가 말하는 물신 그 자체라고. 어디 다른 글에서 적은 것을 다시 쓰며 이 글을 마친다. 물신은 죽지 않았다. 자본주의가 계속되는 한, 물신은 불사조처럼 살아나고 또 살아나며 사람들을 홀리고 미치게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