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경 강의 1 : 주남·소남 ㅣ 고전완독 시리즈 1
우응순 강의, 김영죽 정리 / 북튜브 / 2022년 2월
평점 :
2.시경 강의1-우응순
멍하니 앉아 있다 시계룰 들여다본다. 11시 10분. 순간 깜짝 놀란다. 아 어제부터 하루에 하나씩 책 리뷰를 쓰기로 했지. 허겁지겁 컴퓨터에 앉아 글을 쓰기 시작한다. 어떤 책 리뷰를 써야 하나. 맞다. 이틀 전에 읽은 책이 있지. 그 책 리뷰를 쓰면 되겠다. 조급함에 일단 키보드의 글자부터 누르기 시작한다. 뭐, 쓰다보면 글이 나오겠지 생각하며.
<시경>은 사서삼경에 속하는 책이다. 성리학의 국가였던 조선에서 주자가 정립한 사서삼경은 너무나도 중요한 책이었다. 하지만 성리학이 아닌 자유민주주의와 자본주의를 핵심으로 내세운 한국에서, 더군다나 SNS와 디지털 경제가 급속히 퍼진 2022년의 한국에서 사서삼경 중 하나인 <시경>을 강의한 <시경 강의>라는 책을 읽는다는 것은 무슨 의미가 있을까. 누가 뭐라고 해도 거기에는 보편성을 내세울 수밖에 없다. 아무리 오래전에 쓰인 책이고, 오래전 사람들의 삶을 담고 있다고 해도, 그들의 삶과 우리의 삶에는 서로 이어지는 보편성이 있다는 것. 그들도 사랑하고 슬퍼하고 행복해하고 괴로워하고 일하고 노래하고 기뻐한 사람이었다는 점. 2022년을 살아가는 우리도 그들처럼 사랑하고 슬퍼하고 일하고 노래하고 기뻐하고 있다. 고대인과 2022년의 현대인이 같은 인간이라는 점에서, 우리가 그들과 같은 인간으로서의 보편성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경>에 나오는 고대 노래를 읽을 의미가 있을 것이다. 기술적으로 봤을 때 우리보다 확실히 열악한 상황에서 살았을 그들의 삶에게서, 우리가 배울점이 분명히 있을 것이다. 먼저 삶을 살다간 선인들에게서, 삶의 선배로서 무언가 배운다는 의미에서.
그들의 삶에서 무언가 배우기 위해서 <시경>을 읽는다는 것에 있어서 우리가 넘어야할 것이 있다. 바로 독해력. 누가 뭐라고 해도 사서삼경은 고전이고, 과거의 가치와 삶을 반영하여 과거의 언어로 기록된 책이다. 말을 줄여쓰고, 책도 거의 읽지 않고, 유튜브 같은 이미지 매체에 길들여진 현대인들에게 2000년 전의 삶과 가치관을 전하는 사서삼경은 넘어서기가 쉽지 않다. 아무리 고대인들과 현대인들이 인간이라는 보편성을 공유한다고 해도, 과거의 방식대로 기록된 과거의 텍스트를 읽는 건 지난한 일이다. 그나마 <시경>은 사서삼경 중에서 노래를 다룬다는 점에서 가장 딱딱하지 않고, 공감의 가능성이 가장 큰 텍스트라는 점에서, 내 개인적으로 사서삼경 중에서 가장 쉽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여기서 쉽다는 말은 사서삼경 중에서 쉽다는 말이지, 책의 난이도를 따지면 결코 쉬운 책이 아니다. 결국 <시경>을 읽는다는 건, 그 어려움을 넘어서서 고대에 가닿는 것이다.
다행인 건, 우응순의 <시경 강의>라는 책이 나와있다는 점이다. <시경 강의>는 내가 지금까지 읽은 <시경> 해석서 중에서 가장 친절하고 꼼꼼한 책이다. 저자인 우응순의 강의를 실제로 꼼꼼하게 기록하여 풀어낸 <시경 강의>는, <시경>에 나오는 고대 노래의 한자한자를 친절하고 세밀하면서도 꼼꼼하게 풀어내며, 고대 노래를 터럭 한 올이라도 빠뜨리지 않고 알려주려고 노력한다. 그러면서도 노래의 맥락과 배경설명도 충실히 하고 있다. 해석에 있어서도 주자의 교화주의적인 해석을 알려주고, 그러면서도 그 해석에 얽매이지 않고 지금 현실에 맞는 해석도 알려준다. 주자를 넘어서면서도 존중하는 올바른 거리두기의 느낌으로. 동시에 저자인 우응순은 우리 스스로 한자를 해석할 수 있다면서 열린 해석의 가능성도 알려준다. 여러모로 <시경> 초심자에게 유용하게 도움이 될 수밖에 없는 이 책을 읽으며, 나도 <시경> 초심자로서, 저자의 실제로 들려오는 듯한 강의 목소리를 책에서 읽어내며 <시경> 구절구절들을 넘나들고 있다. 이왕 이렇게 된 거, 한번 맘먹고 <시경>이라는 텍스트를 저자의 도움을 받아 정복하고 싶다. 기회는 언제나 오는 것이 아니기에, <시경 강의>의 도움만 있다면 충분히 가능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