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 말이 돌아오지 않는다 민음의 시 101
김경후 지음 / 민음사 / 200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8620.그날,말이 돌아오지 않는다-김경후

 

 

나는 분명 시를 읽었다. 분명 시를 읽었는데, 시는 나를 그냥 스쳐 지나갔다. 시로 쓰여진 언어는, 그게 시라는 것만 알 수 있을 뿐, 뭉쳐져서 무슨 말을 하는지 알 수 없었다. 암호해독과 같은 고투를 거쳤지만, 눈 앞에 놓인 시라는 암호는 해독이 되지 않았고, 암호해독에 실패한 나는 이 시들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지 고민이 되었다.

 

 

알라딘에 들어가시 이 시집의 소개글을 읽는다. '시편들은 하나같이 언어에 저항하는 시인의 발자취를 보여주고' 있다는 말이 보인다. 언어에 저항하고 있다라... 언어에 저항하고 있다면 기존에 쓰이는 언어의 사용, 용법, 맥락에 저항하여 자신만의 언어 사용법을 만들어낸다는 말인가? 그렇다고 한다면 자신만의 언어 사용법이 있기 때문에 그걸 이해하지 못하는 이들은 소통의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고 이해하기가 쉽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소개글을 더보니,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것보다는 시인의 상상력과 시적 일탈을 보여주기 위한 시임이 강하게' 드러난다고 적혀 있는데, 의미전달 보다는 자기 자신의 상상력과 시적 일탈을 보여주기 위한 시가 읽기 어려운 것은 당연지사. 내가 이해 못했다고 크게 잘못된 일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이 시집을 이해 못했고, 읽는 게 힘들고 괴로웠다. 내가 왜 이 시집을 읽어야 하는지도 고민할 수밖에 없었고. 시집에 나오는 시들의 분위기가 어딘가 괴이하고 이상한 것도 시 읽기를 힘들게 했다. 그로테스크라는 말을 붙을 수 있을 정도의 시들 앞에서 나는 힘들고 괴롭게 시들을 다 읽고 책을 덮었다. 책을 덮어서 다행히라는 말과 함께. 하지만 그럼에도 시는 시에 불과하다. 시에 불과하기에 좌절 없이 나의 시 읽기는 지속된다. 동시에 시는 시라서 읽을 가치가 있음과 함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