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보이는 사랑의 나라 문학과지성 시인선 2
마종기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8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8543.안 보이는 사랑의 나라-마종기

 

 

한문이라는 낯선 타자...

 

 

제가 원했던 것은 아니지만, 어느 순간부터 계속 이어지는 글을 쓰는 것 같습니다. 처음에는 마음 속에 담아 두었던 글을 쓰자는 의도로 시작했지만, 쓰다 보니 계속 뭔가 이어지네요. <, 만들어진 위험>의 리뷰를 쓰는 척하며 제 안에 있던 이야기를 했던 게 계속 이어지니 신기하네요. 무한히 이어지는 이야기의 힘에 홀린 듯한, 나도 모르는 어떤 에너지의 끌림에 따라서 계속 글이 써지는 듯한...

 

 

이 글도 마찬가지입니다. 무언가 계속 써야 한다는 느낌이 들어서 쓰게 됐네요. <, 만들어진 위험>에서 '유일신의 공백상태'로 지냈던 제 삶을 고백하고, <신을 옹호하다>에서 제게는 너무나 낯선 '유신론'을 만난 걸 이야기했습니다. 하지만 제가 만난 낯선 타자는 '유신론'만 있는 게 아닙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최근에 만났던 낯선 타자 이야기를 이 글에서 한 번 해보려합니다.

 

 

시작은 시읽기였습니다. 한때 저는 시를 열심히 읽었습니다. 창비,문지,문학동네,민음사,실천문학,문예중앙에서 나온 시들을 쭈욱 읽어왔죠. 그러다 어느 순간부터 ''를 끊었습니다. 마치 뭔가에 중독된 사람이 자신을 중독시킨 물질을 끊는 것처럼. 제가 왜 시를 끊었는지, 시의 ''자도 쳐다보지 않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하나의 흐름이 흘러갔다 지나가는 것처럼, 시를 읽는 흐름이 사라져간 것일 수도 있죠. 그러나 중독이 뭔지 아시는 분들을 아실 건데요, 사실 진짜 중독 상태가 되면 중독을 불러일으킨 물질을 끊는 건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중독자에게 중독물질을 끊는 건, 단지 잠시 중독된 물질을 멀리하는 것에 불과하다는 말입니다. 시를 끊은 저에게도 비슷한 일이 일어났습니다. 아예 없이 잘 살다가 어느 순간 갑자기 ''가 그리워지는 거에요. 다시 시를 읽어야겠다, 언젠가는 읽어야겠다 하는 식으로. 말은 많이했습니다. 실행은 하지 못했죠. 해야지 해야지 하면서 계속 미루다가 최근에야 시집을 펼쳤습니다. , 얼마나 좋던지. 어떤 만화에 나오는 장면처럼, 책에서 강렬한 빛이 흘러나와 눈이 부시는 경험을 했다고 해야하나? 제가 읽은 시집에서 마법의 힘이 흘러나오는 것처럼.^^;;;

 

 

새롭게 시집을 읽기 시작하면서 제 나름의 계획을 세웠습니다. 시집들을 한 번 순서대로 읽어보자 식으로. 그래서 저는 문학과지성 시인선을 1번부터 읽기 시작했습니다. 문학과지성 시인선의 1번 시집인 황동규 시인의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는 문제없이 잘 넘어갔습니다. 다음으로 문학과지성 시인선의 2번 시집인 마종기 시인의 <안 보이는 사랑의 나라>를 펼쳤습니다. 문제는 여기서 발생합니다.

 

 

펼칠 때부터 뭔가 불안했습니다. 글자 모양부터, 인쇄의 느낌이 확 예전 느낌이 나는 거에요. 고전적이라서 매력적인데 하는 생각으로 아무생각 없이 읽는데... 읽는데...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불행히도 제가 읽지 못하는 한문들이 눈앞에 마구 나타나기 시작한겁니다. 몇 글자가 나타난 건 괜찮았는데, 읽다보니 한문이 시야를 가득 채우더군요. 한문이 이어지고 이어지고 또 이어지니, 도저히 어찌할 줄을 모르겠더군요. 추측해보건데, 저는 최근의 판본이 아니라 예전 판본을 저도 모르게 읽은 것 같습니다. 독자가 한문을 당연히 읽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시인이 써내려간 무수한 '한문의 바다'가 펼쳐지는데, '한문세대'도 아니고 한문과 친해져본 적이 없는 저는 그 한문의 바다 앞에서 방향을 잃고 방황하는 난파선을 탄 기분이었습니다. 그야말로 시의 언어라는 형태로 나타난, 낯설고 이해할 수 없는 한문이라는 타자 앞에 선 상황.

 

 

<신을 옹호하다> 리뷰에서도 썼지만, 저는 가라타니 고진의 주장을 따라서, 타자라면 제가 이해할 수 없고 낯선 존재라는 생각을 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타자의 정의대로라면, <안 보이는 사랑의 나라>에서 나타난 무수한 한문들의 더미는 타자가 맞습니다. 타자가 맞으니, 저는 이 책을 읽으며 타자와 함께한 경험을 한 셈입니다. 물론 타자는 이해하기 쉽지 않고 낯선 존재이지만, 저는 소통 시도를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책을 끝까지 다 읽었으니까요. 이해도 못했고 뭘 읽었는지도 모르지만, 일단 읽었습니다. 읽었긴 했는데, 책을 읽은 게 아니라 눈앞으로 종이가 스쳐 지나간 기분입니다. 분명히 눈앞에 글자가 보이는데 안 보이는 상황이라고 할까요. , 제목이 딱 맞네요. 시집 제목에 들어간 '안 보이는' 이라는 단어처럼 저는 시집을 봤지만 안 본 것이니까요.ㅎㅎㅎ 어쨌든 봤지만 안 보이는 시를 읽은 경험을 한 저는 이 시집을 다시 읽어야 할 것 같습니다. 한문더미가 아니라 한글이 많은 시로서. 그때서야 이 시집과의 제대로 된 만남이 이루어질 겁니다. 그리고 역시 타자와의 만남은 너무 어렵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