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의 이발소
사와무라 고스케 지음, 박정임 옮김 / 피니스아프리카에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8332.밤의 이발소-사와무라 고스케

이 연작 단편집은 두 번의 질적 도약을 거친다. 시작은 일반적인 의미의 추리소설로부터 시작한다. 무언가 이상하고 말도 안 되는 일이 일어날 것 같지만, 파들어가보면 인간들이 저지르는, 우리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일들로 구성된 사건임을 알 수 있는 추리소설. 거기서 사건들은 추리소설이라는 장르가 근대적 인과론의 구조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알려준다.

그러나 어느 순간부터 이 연작 단편집은, 추리소설의 범주에 갇히는 것을 거부한다. 쇠렌 키에르케고르가 말했던 '목숨을 건 도약'처럼, 이 책 속의 소설들은 추리소설인 척은 하지만 추리소설이 아닌 것 같은 추리소설의 영역에 도달한다. 거기에는 비현실적이고 초현실적인 요소들이 등장한다. 기이하고 몽환적이며 현실이 아닌 것 같은 그 요소들은, 책 속의 소설들을 '추리소설의 목숨'을 걸고 추리소설이 아닌 지점으로 도약시킨다. 책을 읽는 독자는 당황하면서 깨닫게 된다. 내가 읽은 추리 소설이 아닌 추리소설이 아닌 지점으로 넘어갔다는.

마지막에 도달하면 책은 모든 것을 하나의 이야기 속에 포함시킨다. 전혀 하나의 이야기처럼 보이지 않는 것들이 하나의 이야기로 맞추어지면서 소설은 이 이야기들이 하나의 이야기이자 하나의 세계 속에 모아진다는 사실을 천명한다. 나는 여기서 신의 그림자를 느낀다. 모든 것을 자기의 의도 속에 품고 하나로 만드는 신. 그러나 이 책은 서양작가의 책이 아니기에 '신의 그림자'는 흐릿하게 느껴지는 정도에 그친다. 기독교 문화권이 아닌 일본 작가이기에 가질 수 있는 한계랄까. 일본 작가가 추리 소설이라는 서양의 문학장르를 가지고 왔는데, 추리소설에는 신의 그림자가 묻어 있기에 일본작가가 추리 소설을 쓰면서 그것이 딸려 왔다고나 할까. 이 소설에서 느껴졌던 '신의 그림자'를 '이야기 창조자'라는 단어로 바꾸면 더 정확할 것 같다. 책의 저자 사와무라 고스케는 이야기 창조자로서의 역량을 십분 발휘하여, 이 소설집 자체가 '이야기 창조자의 이야기 창조'를 다룬 소설임을 넌지시 알려준다. 불완전한 인간이 시도하는 이야기 창조의 이야기, 이야기 창조의 추리소설 버전으로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