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잃은 개 1 - <논어> 읽기, 새로운 시선의 출현 리링 저작선 2
리링 지음, 김갑수 옮김 / 글항아리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논어>의 구성을 잠시 따라해서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잡담 편>
그날 나는 <집 잃은 개1>을 열심히 읽고 있었다. 리링이 특유의 꼼꼼함과 전문지식으로 세밀하고 꼼꼼하게 파고들어가서는 자신만의 독특하고 현대적인 관점으로 <논어>를 해석하는 이 책에 큰 흥미를 느껴서 정신없이 읽어내려가다가 목이 말라서 방을 나와 냉장고로 가서 물병을 찾았다. 냉장고 물병을 꺼내는데, 근처의 식탁에 앉아 어떤 싸가지 없는 나이어린 친척 여동생의 언행에 대해 말하고 있는 부모님의 이야기가 들려왔다. 그 얘기를 듣다 나는 나도 모르게 외쳐버렸다. "참으로 예의범절에 어긋나는 사람이로다." 아뿔싸!! 내 입에서 '예의범절'이라는 말이 나오다니!! 살아 생전에 '유학'에 관심을 가진적도 없고, 별로 좋아하지도 않는 내 입에서 유학적인 언어의 전형인 '예의범절'이라는 말이 나오다니!! 방에 돌아와서 반성을 하면서 왜 이렇게 됐는지 생각해봤다. 결론은 <집 잃은 개1>때문일 수밖에 없었다. 내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내가 읽은 책은 내 정신에 스며들어 영향을 미친다. <집 잃은 개1>와 나의 관계도 마찬가지다. <집 잃은 개1>에 깃들어 있는, 공자와 <논어>와 유학과 리링의 사상과 개념과 생각이 내 정신에 스며들어 나를 변화시켰고, 나는 거기에 따라 나도 모르게 말을 내뱉어버린 것이다. 책이 미치는 영향은 이렇듯 무섭다. 책을 읽는 사람의 의도와 상관없이 독자의 몸과 정신을 변화시켜버리기 때문에.

<독서 편>
글자 수 1만5836자의 <논어>. 고고학,고문헌학,고문자학의 '삼고'의 권위자인 리링은 <논어>에 들어있는 1만5836자 한글자 한글자를 죽간과 백서, 금석문의 언어와 꼼꼼하게 비교 분석하면서 자신만의 관점과 현대적인 관점으로 해설을 한다. 그는 철저한 고증과 실증에 기반을 두고, 공자에 대한 근거없는 윤색, 신격화를 거부하며 <논어>를 읽어내려간다. 그에게 중요한 것은, 절대로 오류를 범하지 않는 성인 공자나 진리의 책으로서의 <논어>가 아니다. 그는 <논어>에서 제자들과 끊임없이 대화하면서, 세상과 관계를 맺으면서, 드러나는 '인간 공자'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 모습은, 때로는 시대의 한계에 갇힌 양상으로, 때로는 시대를 뛰어넘어 인간들에게 가르침을 주는 모습으로, 때로는 정치 지도자들에게 선택받지 못하는 실패한 정치가의 모습으로, 누구도 차별하지 않고 가르침을 주고 사람에 따라 다른 방식의 가르침을 내리며 제자들을 더 좋은 방향으로 이끄는 뛰어난 스승의 모습으로, 은자들에게 무시당하면서도 세상에 나아가서 자신의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이상에 따라 세상을 바꾸려는 불가능에 도전하는 인간의 모습으로, 세상의 풍파에 시달리며 힘들어하는 인간의 모습으로, 마지막까지 자신의 이상을 포기하지 않는 강한 의지를 가진 인간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우리는 그 수많은 인간 공자의 모습을 보면서 공자만의 매력을 충분히 느낄 수 있다. 철저한 고증과 실증을 통해 드러난 모습이 공자의 인간적인 매력이라는 것은, 시대를 뛰어넘어 우리의 삶에 '무언가'를 전해줄 수 있을 정도로 공자 삶의 힘이 만만치 않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이것은 리링이 자신의 사상과 이 시대의 현실을 토대로 <논어>를 해석하면서 중간중간 책에서 모습을 드러내는 해석상의 독특함과 맞물리며 독자를 이상한 균열로 이끈다. 시대의 한계에 갇히면서도 시대를 뛰어넘을 수 있는 무언가가 있는 것이 공자와 <논어>라는 모순적인 현실로.

<해석 편>
해석이라는 건 언제나 해석을 한 사람의 관점을 전제로 할 수밖에 없다. 해석자가 어떤 삶을 살았고, 어떤 시대를 살았고, 어떤 생각과 사상과 가치관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른. 그건 아마도 해석이 언제나 해석자의 삶에 기반한 '현재화된 해석' 일 수밖에 없다는 말에 다름 아니다. 리링도 마찬가지다. 그의 해석이 이전의 신격화한 해석과 다른 부분이 있다면, 그의 삶의 사상과 가치관이 이전의 신격화한 해석을 하는 해석자들과 다르기 때문이다. 이 말을 다르게 해보면, <집 잃은 개>를 통해 리링이 선보이는 일종의 해석적 투쟁(??)은, 이전의 신격화된 해석을 하는 해석자들의 삶과 리링의 삶의 투쟁으로도 볼 수 있다. 신화와 신격화에 매달리는 삶과, 신화와 신격화를 거부하며 인간적인 모습을 찾으려는 인간의 투쟁. 동시에 그 투쟁은 위태로운 면이 있다. 이전의 신격화한 해석자들과의 해석적인 투쟁과 더불어 실증적인 고찰을 통해 <논어>에서 인간 공자의 모습을 찾으려는 연구대상과의 투쟁 모두를 포괄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리링이 위태로움을 넘어서려면, 책을 읽는 우리의 도움이 필요하다. 우리가 그의 책을 읽고 그를 지지한다면, 그의 해석은 독자의 마음에 살아남아 독자의 삶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형태로 생존할 것이기 때문이다. 반대의 경우라면 리링의 해석은 사그라질 것이다. 여기까지 글을 쓰고 나는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본다. 너는 어디에 서 있는가? 리링의 해석을 지지하는가? 아니면 반대하는가? <길 잃은 개1>을 다 잃은 지금의 시점만 놓고 본다면, 나는 리링의 해석을 지지한다. 신화와 신격화보다는, 인간 공자의 모습을 찾는 게 매력적으로 보이기 때문에. 2권을 잃으면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아직까지는 나는 리링을 따라 공자의 사상을 둘러보며 같이 걸어나갈 예정이다. 그게 현재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모습이라고 생각하기에. 이것이 <집 잃은 개1>에 대한 나만의 현재화된 해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