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현암사 동양고전
시모무라 고진 지음, 고운기 옮김 / 현암사 / 2003년 9월
평점 :
절판


책을 들여다봅니다. 제목은 <논어>. 그런데 저자가 '시모무라 고진'입니다. 엥? <논어>의 저자가 시모무라 고진이라는 일본 사람이라고. 이건 무슨 일이지? 궁금해서 펼쳐 읽어봅니다. 아... 책을 읽다가 이 책의 원제가 <논어>가 아니라 <논어 모노가타리>라는 것을 알고 이해가 됩니다. <논어>를 일본인인 시모무라 고진이라는 사람이 자신만의 방식으로 해석해서 자신만의 방식으로 편집한 책이 <논어 모노가타리>라는 것이죠. 그것도 단순한 해설서가 아니라, 일본의 고전 <겐지 모노가타리>를 연상시키는 방식의 이야기 형식으로 <논어>를 풀어 쓴 책입니다. 이야기 형식으로 풀어 써서 그런지 이 책은 술술 잘 읽힙니다. 짧은 문장 속에 잠시 숨을 쉬던 공자와 그의 제자들의 삶이, 이야기 형식 속에 자신의 입장과 생각을 선명하게 드러내며 생생히 살아 움직이게 됩니다. 생생히 살아 움직이는 공자와 그의 제자들의 삶을 들여다보고 있으니, 매력적이라는 말을 할 수밖에 없게 됩니다. 살아 움직이며 자신의 이상을 전파하기 위해 노력하다 실패하는 인간 공자.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상적인 인간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하는 공자. 그를 사모하고 따르며 그를 좇아가지만 그에 미치지 못하는 제자들. 이상적인 인간상을 갈구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전개되는 생생한 생명력을 가진 그들의 대화. 고정되지 않고 때에 따라서, 사람에 따라서 변화하는 공자의 가르침. 이 모든 것들이 이야기 형식이라는 한 줄에 꿰매어져 우리 앞에 드러나고 있으니, 매력을 느낄 수밖에 없는 것이죠. 물론 이 때의 공자는 시모무라 고진이라는 필터를 통과한 공자의 모습이기 때문에 현실의 공자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공자의 모습이 현실과 차이가 있다고 해도, 우리에게 무언가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저는 그런 차이가 크게 문제가 된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다 읽고 나니, 현실에만 집착하는 제 모습이 부끄러워지네요. 현실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 조금 더 이상을 추구하는 인간이 되는 것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것도 멋있어 보여서요. 현실에 집착하는 소인이 아니라 이상을 추구하는 군자가 되는 것도 좋은 일이기도 하구요. <논어>의 말을 따르면 그게 '도'에 맞는 생활일 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