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셰이프 오브 워터
기예르모 델 토로.대니얼 크라우스 지음, 김문주 옮김 / 온다 / 2018년 3월
평점 :
제90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13개 부분
노미네이트되며 올해의 감독상, 작품상, 미술상, 음악상을 수상한
영화 <셰이프 오브 워터>의 원작 소설을 만나보았습니다. 원작은 영화의 아쉬움을 달래고, 여운을 즐기며, 부족한 부분을 해석하기에
그만인 한편의 해설집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영화 관람 전보다 관람 후 코멘터리를 듣듯 읽어 내려가는
것이 영화의 감동을 만끽하기에 좋은 방법이란 생각도 듭니다.
영화와 소설은 오프닝 시점이
다른데요. 영화는 미 항공우주 연구센터(오컴)에 도착해 시작하지만, 원작 소설에서는 스트릭랜드가 아마존의 정글로 들어가 괴생물체 '데우스
브랑퀴아(Deus Branquia, 아가미 신)'를 찾아 헤매는 내용을 자세히 그리고 있는데요. 시대가 만들어 낸 악인 스트릭랜드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소설은 챕터 별로 나눠 다루지 못한
캐릭터의 뒷이야기와 심리 변화를 세밀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특히 영화에서 스트릭랜드의 아내로 짧게 나온 레이니 속마음도 읽을 수 있는데요.
겉으로 폭력적이지만 여린 남편을 보살피며 조국을 위해 헌신하는 60년대 여성상을 대변하기도 합니다.
소설 속 배경인 60년대는 미국과 소련이 한창 우주전쟁을 벌이던 시대입니다. 당시 미국은
중산층의 부상과 민권 운동이 본격화되고, 다수에 속하지 않는 소수자(장애인, 외국인, 흑인, 성소수자)를 나누는 이분법적 이데올로기가 휑휑하던
시대기도 한데요. 스트릭랜드는 한국전쟁 및 남미에서 겪은 트라우마와 가족을 지켜야 한다는 이중고를 괴생물체를 통해 해소하고자 하죠.
스트릭랜드는 미국을 상징하며, 괴생물체의 고통은 소외된 자들을 대변합니다.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은 멕시코 이민자
출신으로 세상의 변방, 일부가 되지 못한 이들을 꾸준히 작품 속에서 다뤘습니다. 이런 배경을 알고 있다면 형태도 종(種)도 다른 괴생물체에게
엘라이자가 사랑을 나누는 감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순간 놀랍게도 그녀는 괴생명체가 수컷이라는 사실을 알아차렸다. 무뚝뚝한 태도와
노골적인 시선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괴생명체도 자신이 암컷이라는 사실을 눈치챌 거라고 생각하자 왠지 기분이 아찔했다. 엘라이자는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기로 했다. 자신보다 힘없는 남자, 아니, 수컷은 처음 보았다. 엘라이자는 그에게 달걀을 가져가라고 고갯짓을 했다.
"
1960년대 시대상이 반영된 로맨틱한
분위기는 환상동화처럼 느껴집니다. 엘라이자와 괴생명체가 사랑을 시작하는 과정은 디즈니 <미녀와 야수>의 B급 변주 같은데요. 말이
통하지 않더라도 눈빛과 제스처, 터치를 통해 교감을 나누는 에로틱함이 소설 속에서도 고스란히 전해지죠.
엘라이자는 병적으로 구두에 집착합니다.
신발은 성(性) 적 욕망이자 엘라이자가 다른 존재임을 암시하는 오브제입니다. 흔히 '좋은 신발은 좋은 곳으로 데려다준다'라는 말이 있는데요.
점차 대담해지는
구두는 엘라이자의 심경 변화이자 다른 세상으로 떠날 것의 은유입니다.
사랑은 상대방을
독점하다시피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행복을 위해 보내 줄 수 있는 용기입니다. 외모에 구분 없이 품어주는 따스함이며, 조건 없는 희생입니다.
어떤 곳에 담기느냐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갖는 물과 사랑의 속성처럼 세상 어디에도 있지만 없는 것 같은 그들의 존재는 영원히 가슴속에 남아 숨
쉴 것입니다.
원작 《셰이프 오브 워터》를 통해 성공한
덕후이자 영화감독, 《스트레인》, 《더 폴》, 《나이트 이터널》의 뱀파이어 트릴로지의 작가이기도한 '기예르모 델 토로'의 기묘한
로맨스를 탐미할 수 있는 기회! 시각적인 한계에 부딪혀 스크린에 다 담지 못한 이야기보따리 같은 원작 소설에서는, 영화의 모티브가 된 삽화가
수록돼 특별함을 간직하고 싶은 독자들에게 선물 같은 책이 될 것입니다.
※ 영화
<쉐이프 오브 워터> 리뷰 바로가기
https://blog.naver.com/doona90/2212168586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