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몽을 파는 가게 1 밀리언셀러 클럽 149
스티븐 킹 지음, 이은선 옮김 / 황금가지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인 '스티븐 킹'의 공포를 파는 가게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한때 단편이 주는 압축의 이미지와 간결의 묘미에 중독된 적이 있었습니다. 장편의 긴 호흡과 방대한 이야기가 지겨워 단편을 읽기 시작했는데요. 하나씩 이야기를 읽어 내려갈 때마다 느껴지는 쾌감,  '이게 끝이야?'라고 반문하듯  상상하게 만드는 열린 결말이 자꾸만 끌리더라고요.

 

 


 

《악몽을 파는 가게》는 '스티븐 킹' 본인이 직접 쓴 자전적인 논평이  단편 앞에 수록되어 있다는 점이 특별합니다. 작품 구성의 에피소드나 소소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요. 죽음과 공포 앞에서도 유머러스함을 잃지 않는 여유로움이 스티븐 킹 공포 소설의 인기 비결이 아닐까 생각해 봤습니다.


 

 《배드맨과 로빈, 격론을 벌이다》는 이야기의 뮤즈가 거의 완제품을  들고 스티븐 킹을 찾았다고 회고합니다. 도로 위에 아슬아슬하게 충돌할 뻔한 대형 트럭의 운전사들의 모션을 보고 재미있는 이야기를 떠올렸을 겁니다.  그 상황을 보고 트럭의 운전사가 내려 서로 치고 받으면서 싸우기 시작했다면 어땠을지 상상했고, 그 후 식당에서 정신이 나간 노인을 돌보는 50대 남자를 보고 부자지간이란 결론에 이르러  《배드맨과 로빈, 격론을 벌이다》를 완성했다고 말합니다. 따로였던 두 상황이 기가 막히게 이어지며 스산하고 통쾌한 블랙 코미디에 삶과 죽음의 느슨한 경계를 맛보았습니다.

이와 비슷한 블랙 유머는 레이먼드 카버의 단편을 읽을 직후에 쓴 《프리미엄 하모니》에서도 여지없이 발휘됩니다. 한치 앞도 알 수 없는 죽음은  방금 전까지도 아내와 설전을 벌이던 한 남자가 돌연사 한 아내의 사체와 아내가 아끼던 개의 사체를 마주했을 때의 당황스러움과 희열의 교차를 다룬 블랙 코미디입니다.

 《우르》는 아마존 킨들에 관한 이야기인데요. 흰색의 킨들 속에 핑크색 캔들이 배달되며 미스터리 한 일들이 일어납니다. 엘렌과 크게 다툰 후 그녀의 마음을 돌려보려는 생각으로 전자책을 읽는 킨들을 주문합니다. 하지만 킨들은 좀 이상한데요. 킨들 속 작가들의 출생연도와 사망연도 다르고, 우리에게 미공개된 작품도 검색 되는 데다가 실제 일어난 사건들도 다르고요. 대체 어찌 된 일일까요?

​"돈 올맨을 설득한 것은 우르 17,000에 있는 <윌리엄 셰익스피어 작품집>이었다. 돈의 요청에 따라 이 책을 다운받고 보니(이 우르에서는 셰익스피어의 사망연도가 1616년이 아니라 1620년이었다.) 못 보던 희곡 두 편이 들어 있었다. 하나는 <율리우스 카이사르> 직후에 집필한 것처럼 보이는 <햄프셔의 두 여인>이라는 희극이었다. 다른 하나는 1619년에 집필한 <런던의 까만 친구>라는 비극이었다. 웨슬리는 이 작품을 열어서 (마지못해 하며) 돈에게 킨들을 건넸다. "

P406


아마존 킨들은 일종의 평행 세계를 이어주는 기계인 겁니다. 셰익스피어와 레이먼드 카버, 스콧 피츠제럴드, 마크 트웨인의 미공개 작품을 나만 읽는다면? 주인공 웨슬리처럼 몇 날 며칠을 밤새워 읽기에 전념할 것입니다.  《우르》는 스티븐 킹의 오랜 친구이자 사업 파트너인 '랠프 비시낸자'가 제안한 킨들을 소재로 한 주문 제작 소설을 제안한 데서 출발합니다. 자신은 기획화된 글을 써보지 못할 깜냥이라 생각했지만 금전적인 혜택이 쏠쏠하니 스티븐 옹도 돌아섭니다.  

"일꾼이 그 삯을 받는 것은 마땅하다는 옛말도 있는데 나는 지당하신 말씀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좋아서 글을 쓰긴 하지만 좋아하는 마음이 생활비를 해결해 주지는 않는다. "

P362


이야기의 제왕인 '스티븐 킹'의 미출간 신작들을 모은 최신 단편집 《악몽을 파는 가게》 1,2권 중 1권에 담긴 죽음을 소재로 한 10편의 이야기를 읽었습니다. 과연, 정년도 없는 프로 이야기꾼!   특히 2권에 실린 《부고》는 2016년 에드거 상 단편 소설 부분에 수여되는 '최고 소설상'을 받았는데요. 안타깝게 1권만 읽은지라  《부고》는 따로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야말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이야기는 누구도 따라올 수 없습니다. 단편이든 장편이는 스티븐 킹의 글을 읽는다는 것은 어떤 의미에서 축복인지도 모르겠네요. 하지만 경고하지만 공포나 미스터리 장르를 썩 좋아하지 않는 분들에게는 추천하지 않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