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몬스터 콜스 - 영화 [몬스터콜] 원작소설
패트릭 네스 지음, 홍한별 옮김, 짐 케이 그림 / 웅진주니어 / 2012년 3월
평점 :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927/pimg_7650201491747089.jpg)
이 글을 쓰기 위해서 용기가 필요했습니다. 영화의 감동을 이어가고 싶어 《몬스터 콜스》를 읽었는데요. 아직도 영화와 소설의 엔딩을 떠올리면 눈물부터 왈칵 쏟아져요. 진실을 알고 있지만 입 밖에 차마 꺼낼 수 없는 말, 진신의 이면을 극복하고 치유하고 싶은 상처가 있다면 오늘 당장 내면의 몬스터를 꺼내 보세요. 내가 아니라고 부인하던 흉한 모습의 몬스터도 내가 아껴주어야 할 우리의 또 다른 모습일지도 모르니까요.
올해 단 하나의 작품을 꼽자면 단연 《몬스터 콜스》라고 해도 좋을 것 같아요. 영화와 원작 모두 독립 작품으로 훌륭해 더 이상 말할 필요가 없습니다. 원작 《몬스터 콜스》는 2011년 영국 도서관 협회에서 시상하는 '카네기상'과 그해 가장 우수한 일러스트레이션에게 주는 '케이트그리너웨이상'을 동시에 수상한 이력이 있습니다. 평론가들과 작가, 편집자들 사이에서 화제가 된 도서입니다.
한가지 독특한 이력이 더 있어요. 원안자 '시본 도우드'가 전체적인 구상을 했지만 사망합니다. 이후 '페트릭 네스'에 의해 쓰인 소설로 죽은 사람의 아이디어를 이어받아 완성한 독특한 소설이죠. '페트릭 네스'는 감독 '후안 안토니오 바요나' 감독과 함께 후반부 시나리오 작업을 함께 하기도 했습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927/pimg_7650201491747090.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927/pimg_7650201491747091.jpg)
결국 몬스터는 코너가 불러낸 자아의 모습입니다. 진실을 차마 입밖에 꺼내지 못해 발만 동동구르는 상황을 몬스터에 이입해 행동하고 말해보는 대리행위인 거죠. 이로써 상처를 치유하고 성장하는 모습을 겪게 되는데요. 세 이야기를 통해 극복하는 코너를 모습은 소설의 가장 큰 메시지이자 어른에게도 공감되는 따스한 위로입니다.
"탐욕스럽고 무례하고 까칠하긴 했지만 어쨌든 병을 고치는 사람이었다. 그렇지만 목사는 뭐였나? 아무것도 아니었다. 치료의 절반은 믿음이다. 치료 약에 대한 믿음, 앞으로 올 미래에 대한 믿음. 그런데 믿음에 기대어 사는 사람이 역경을 맞닥뜨리자마자, 믿음이 가장 절실히 필요할 때 그걸 저버렸다. 목사의 믿음은 이기적이고 비겁했다. 그래서 딸들이 목숨을 잃고 만 것이다. "
P148
코너에게 더 이상 사랑하는 엄마는 없지만 연결고리를 가지는 외할머니가 있습니다. 세상은 이렇듯 단순하지 않으며 앞으로 순탄치 않은 역경이 매번 일어나는 우연의 집합체죠. 하지만 어떤 상황이라도 굳은 믿음이 존재할 때 우리의 삶은 단단해지고 살아갈 의미를 갖는다는 이치를 소설을 통해 배웠습니다.
영화 <몬스터 콜> 과 원작의 이야기
원작자가 직접 각본을 맡았기 때문일까요? 원작의 느낌을 잘 살리면서도 영화의 매력도 놓치지 않았습니다. 책 속에 밑줄 긋고 싶은 대사들도 영화와 비슷하고요. 몬스터가 들려주는 세 이야기를 애니메이션 처리 한 부분도 좋았습니다.
그래도 원작과 차이점을 찾아보자 합니다. 코너가 해리에게 괴롭힘을 당하는 계기는 아픈 엄마 때문인데요. 어릴 때부터 엄마끼리 친구였던 동급생 '릴리'가 코너 엄마의 소식을 학교에 퍼트리면서 시작됩니다. 이 일로 둘 사이는 멀어지게 되는데요. 후에 릴리의 진심을 알고 둘은 화해합니다. 영화에서는 릴리가 등장하지 않아요.
코너를 괴롭히는 해리는 우등생입니다. 코너와 폭력 사건이 일어나 해리의 부모님은 분노하지만 급우를 괴롭혔다는 기록이 남는 것을 우려해 선처하죠. 해리는 사실 진정한 악인도 선인도 아니며, 그냥 보통 사람인 것입니다. 앞에서 이야기 해온 것처럼 세상에는 이분법적으로 나뉜 사람보다는 여러 형태가 섞인 모순된 인간이 훨씬 많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