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매혹당한 사람들
토머스 컬리넌 지음, 이진 옮김 / 비채 / 2017년 9월
평점 :
절판

남북전쟁이 한창이던 1861년~ 65년 즈음, 버지니아 주 (남부연합)의 마사 판즈워스 여자 신학교에서 벌어진 매혹과 탐혹, 그리고 광기의 심리를 그린 '토머스 컬리넌'의 장편소설 《매혹당한 사람들》. 1966년 첫 소설인 《매혹당한 사람들》을 발표해 평단과 독자의 긍정적 평가를 받으며 1971년 '돈 시겔' 감독에 의해 영화화 되었는데요. 46년 후인 2017년 '소피아 코폴라'감독이 리메이크하며 또다시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영화 <매혹당한 사람들>은 '소피아 코폴라'감독에게 칸 영화제 감독상의 영광을 안겨준 작품으로 영화 감상전.후 영화를 깊게 이해하는 가이드가 될 것입니다.
소설 《매혹당한 사람들》은 크게 두 가지 전쟁이 보입니다. 첫째는 흑인 노예해방과 복합적인 이유로 시작된 남북전쟁이고, 둘째는 북부 연합군인 탈영병 '존 맥버니'로 인해 혼란스러운 상황으로 치닫는 매혹 전쟁입니다. 고립된 숲 속, 여자신학교를 배경으로 영화의 주요 인물을 천천히 살펴보면, 매혹시킨 사람 매혹당한 사람의 경계가 모호해짐을 알 수 있죠. 전쟁으로 인한 상처와 개개인의 상처가 맞물리며 다수의 여자들이 한 남자를 두고 판타지를 만드는 욕망이 충돌합니다. 그 밀고 땅기는 눈치 전쟁과 이간질, 질투심은 총성 없는 전쟁터를 방불케 합니다.
원제 'The Beguiled'는 '구슬리다, 마음을 끌다'란 뜻으로 폐쇄된 공간에서 성(性) 적 매력으로 자석처럼 끌릴 수밖에 없는 욕망을 보여줍니다. 각자의 매력을 어필하는 경쟁심, 질투. 그리고 신분상승을 꿈꾸는 불한당과의 농밀한 스릴이 복합적으로 움직이는 거대한 욕망덩어리 자체기도 합니다. 탐스러워 보일 정도로 예쁜 겉모습을 하고 있는 과일도 가끔 속이 익지 않아 떪은 맛의 입안 가득 퍼지는 것처럼. 서늘한 마음과 들끊는 욕망의 이중 공간이 바로 판즈워스 여자 신학교가 아닐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