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반역실록 - 12개의 반역 사건으로 읽는 새로운 조선사
박영규 지음 / 김영사 / 2017년 8월
평점 :
'반역, 쿠데타, 역모, 암살 ' 등등 듣기만 해도 미간이 찡그려지는 부정적인 단어로 느껴집니다. 하지만 어떤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역적'일 수도 '영웅'일 수도 있는데요. 역사를 제대로 읽어내려면 한 쪽만의 관점에서 생각하지 않고 상대편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는 다각화된 시선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한 예로 '안중근' 의사는 우리나라 역사의 대단한 인물이지만 일본의 입장에서 생각하면 테러리스트일지 모릅니다. 우리나라의 독립을 이룬 광복절이 일본에서는 전쟁 패망일이기 때문입니다.
역사란 수많은 사람들과 인과관계가 얽혀 있는 복잡한 기록입니다. 하지만 역사는 승자의 입장에서 기록되며 사실 패자의 입장은 조명되지 않아 알기도 쉽지 않은데요. '한 권으로 시리즈'의 박영규 저자의 조선사 외전이라 봐도 무방한 《조선반역실록》 은 12개의 반역사를 통해 조선의 진짜 모습을 들여다봅니다. 특유의 물 흐르듯이 써 내려가는 역사가 막힘 없이 책장을 넘기게 되며, 최대한 객관적인 입장에서 서술하려 한 흔적이 엿보입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흥미를 끄는 주제는 바로 고려를 버리고 새로운 나라 조선을 세운 '이성계'와 아버지를 도와 건국에 공을 세웠으나 형제들을 죽여 피바람을 몰고, 왕위를 차지한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 '이방원'일 텐데요. 필자가 상상하는 이성계는 어진으로 만나볼 수 있는 북방을 지키는 장수의 이미지와 잔혹함이었습니다. 하지만 《조선반역실록》 읽은 후 드는 느낌은 사랑하는 부인이 죽고, 몸도 허약해진 뒤 아들 이방원에게도 밀려나 다시 용상에 오를 기회를 엿보는 인간 그 자체였습니다.
아버지는 본능적으로 아주 먼 시대부터 자식을 경계했다고 합니다. 머지않아 자신의 자리를 차지하고 권위에 도전할 경쟁자로 여겼던 거죠. 특히나 왕위를 위한 권력 싸움은 아들이라고 해도 다를 것이 없었는데요. 지금도 아버지는 아들에게 권위적이고 무서운 존재지만 그 아래 세대인 손자에게는 살가운 이유. 바로 왕위찬탈의 DNA에서 조금은 벗어난 궤도기 때문이란 속설로만 봐도 알 수 있죠.
이방원 또한 사실상 왕이 되기 어려운 운명이었지만 정해진 운명을 따르지 않고 새롭게 개척한 21형 인물입니다. 당시 조선의 가장 큰 가치인 '효(孝)'와 '충(忠)'을 거스른 천하의 불효자이지만, 현대에 태어났다면 엄청난 혁신가였을지도 모릅니다.
이방원은 당나라 이세민과 평행이론의 운명을 지녔는데요. 이세민은 당고조 이연의 차남으로 건국 과정에서 많은 공을 세우지만 왕이 되고 싶어 동생들을 제거해 태자 자리를 차지, 결국 황태자의 자리까지 올라갑니다. 이방원과 마찬가지도 친족을 피의 숙청으로 정렬하지만 당나라의 기반을 닦고 국력을 강화해 '정관의 치'라는 말로 후대까지 정치적 모범이 되었습니다. 이방원도 태자를 내쫓고 형제를 죽여 왕위를 차지했으나, 즉위 후에는 조선 왕조의 초석을 다지고 국력을 강화한 점을 인정하기에 매우 닮았다고 할 수 있죠.
그 밖에도 단종을 내쫓고 왕위를 찬탈한 수양대군, 자신의 꽤 때문에 역적으로 몰려 죽었던 허균 등 우리가 알지 못한 영화보다도 재미있는 조선 반역사가 펼쳐집니다.
《조선반역실록》은 승자의 입장에서 서술된 역사가 얼마나 큰 편력을 갖게 하는지 여지없이 보여줍니다. 역사는 양날의 검처럼 반역자는 항상 악인으로 등장합니다. 큰 세력의 반대편에 섰다는 이유로 본인은 물론 가족이 해를 입는 경우도 많았죠.
21세기에 쓰이는 반역사는 '반역'이란 말조차 수정되어야 할지 모릅니다. 어떤 입장을 취하느냐에 따라 승자와 패자, 혁명과 폭동은 언제든지 바뀔 수 있는 것이니까요. 또 하나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역사는 시대와 나라를 떠나 끊임없이 반복된다는 것입니다. 근현대사에 다시 재조명되어야 할 광주의 역사, 일제의 역사 등은 아프지만 다시 파헤쳐 봐야 할 소중한 역사입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라고 말한 윈스턴 처칠의 말이 기억나는 하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