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멸세계
무라타 사야카 지음, 최고은 옮김 / 살림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편의점 인간》으로 깊게 각인된 '무라카 사야카'의 신작 《소멸세계》는 제목처럼 현 인류에게 가치 있다고 생각되는 관념들이 소설 속 평행세계에서 비정상이 되는 대혼란을 겪습니다. 성(性), 사랑, 결혼, 가족, 출산이란 가치에 균열을 내며 디스토피아적 인류의 미래를 상상하게 합니다. 하지만 또 모르죠. 100년 뒤 우리가 맞는다고 여기는 가치가 도저히 쓸모조차 없는 낡은 가치가 될 수도 있으니까요. 소설을 읽으며 내내 도저히 생각지도 못했던 상황에 적잖이 당황했고, 만약 이런 세계가 온다면 어떨까 암울한 생각마저 들었던 소설. 심히 정신건강에 좋지 않았던 소설이기도 합니다.

 


​"요즘 시대에 결혼은 아이를 갖고 싶거나 경제적 동반자가 필요하다거나 일에 집중하고 싶으니 집안일을 해줄 사람이 필요하다거나 하는 합리적인 이유로 결정하는 사람이 대다수였다. (중략) 가족이라는 시스템이 살아가는 데 편리하다면 이용하고 필요 없다면 이용하지 않는다. 우리에게 가족과 결혼은 그런 제도가 되어가고 있었다. "

P 82

 

 

소설은 제2차 세계대전으로 많은 남성들이 징집되면서 출산율이 하락한 일본의 평행세계입니다.  대안으로 성관계 없이 오로지 인공수정으로만 아이를 출산하는, 사랑도 육체적 욕망도 사라져가는 소멸하고 있는 세계입니다. 결혼 또한 원하는 조건의 상대를 프로그램에 넣기만 하면 매칭해주는 시스템이 배우자를 골라줍니다. 당연히 결혼은 필요와 불필요의 문제. 라이프 스타일과 가사노동 분담, 경제적 지원, 정자와 남자를 기증해 가족을 이루고 싶다면 가능한 일이 되었습니다.


 

오로지 가족은 (종족 번식이란) 인간 본능에 따라 내 인생이 얽혀 있고,  노후의 외로움을 달래기 위한 도구로 전락한 상황입니다. 얼마나 끔찍한가요. 연애와 욕망은 밖에서 해결하고 돌아오는 게 관례, 부부 사이는 남매 사이와 같아서 가족끼리의 잠자리는 불결하다고 느끼는 세계. 그래서 이혼 사유가 되는 사회가 되었지요.


 

"내가 널 낳은 건...... 사랑했기 때문이야. 하지만 아무도 이해해주지 않았어. 태어났을 때부터 이 세상은 미쳐 돌아갔어, 나만은 정상이고 싶었지. (중략) 엄마는 말이지, 네가 이 미친 세상에 굴복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살아가도록, 무엇이 올바른 세상인지 어린 너에게 가르쳤단다. 네 영혼에 똑똑히 새겨 넣었어. 태어나서 처음 본 세상이 우리 영혼에서 지워지는 일은 절대로 없어. 지금은 이 세상에 물들어 있어도 언젠가 반드시..... "

P158-159

 

 

한편, 서로를 사랑한 부모님의 성관계(소설 속에서는 교미)를 통해 세상에 나온 주인공 '아마네'는 지겹도록 엄마에게 교육을 받고 자랐습니다. 엄마가 믿는 올바른 세상이란 사랑하는 사람끼리 자연스러운 관계를 맺어 아이를 출산하는 것. 하지만 딸 아마네는 미쳐 돌아가는 건 엄마의 구시대적 사상일 뿐 세상은 정상적으로 돌아가고 있다며 반박합니다. 엄마가 정상이라고 말하는 세상이 다음 세상으로 이어지고 있는 '도중'이라면, 예전과 다른 지금의 제도를 누군가가 심판할 권리는 없다고 여깁니다. 세상은 늘 도중으로 가고 있는 중이니까요. 과도기의 혼란은 언제나 존재하는 것뿐이라 믿습니다.


 

엄마의 저주가 통한 걸까요? 좀처럼 없어지지 않고 들끓는 성욕을 섹스와 마스터베이션으로 해결하며 애써 부정하려 하는 아마네. 하지만 부정하려 하면 할수록 진짜 섹스를 할 줄 아는 마지막 인류가 되어, 결국 무엇을 위한 행동인지 알 수 없을 지경으로 치닫습니다.

 

아마네는 그리스 신화 속 디오니소스와 닮았는데요. 대지와 포도주의 신, 풍요의 신으로 아버지 본능의 상징인 생식기 가까운 넓적다리를 자궁 삼아 태어난 디오니소스. 제우스가 인간을 사랑해 낳은 자식이란 점이 금기된 것을 통해 이 세상에 태어난 존재라는 점이 아마네의 혼란과 비등하게 느껴집니다.

 

 

어릴 적부터 엄마에게 세뇌되다시피한 남녀관계 속에서 다른 세계와의 사랑(애니메이션 캐릭터와의 관계)를 갈구하며 비정상이 된 아마네. 이 세계의 정상 범위에 들어가고자 발버둥 치지만 근본적인 위화감을 끊지 못하고 적당히 괜찮은 사람과 결혼해 가족을 만듭니다. 남편과 아내는 서로 사랑하지 않고 그래서 육체적인 관계도 갖지 않는데요.  실제로 아마네와 남편 사쿠는 가족이란  종교의 광신도가 되어가고 있었습니다. 가족이 있으면 뭐든지 이룰 수 있다는 맹신, 그것이 깨졌을 때의 혼란은 소설 곳곳에서 암시되고 있습니다.

한편, 아마네는 인공수정으로 태어날 아이와의 완벽한 가족을 꿈꾸 던 중 남편의 연애가 파탄 나며 제2막으로 치닫습니다.

 

그들은 일종의 실험 도시 '지바'로 삶의 터전을 옮기면서 더욱 가파르게 휘몰아치는데요. 이곳에서는 가족이란 개념이 아예 해체되고 모든 사람이 인공수정으로 출산하고 공동으로 양육합니다. 남편과 아마네는  '가족 공동체'란 의미로 함께 하자고 약속한 사이입니다. 모든 사람이 공동의 '아가'이고  '엄마'인 끔찍한 세상.  우리들만의 정자와 난자로 우리만의 아이를 갖자는 의미는 퇴색해진지 오래. 인공 자궁으로 출산에 성공하자 남편은 태도를 바꿉니다. 남편은 실험에 성공한 최초의 남자로 유명세를 떨치며 인류의 대를 잇는다는 고양심에 한껏 들떠 있습니다.

 

결국 아마네는 지바에서 목격한 충격적인 현실을 통해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를 무너트립니다. 인간뿐 아니라 이 세상에 존재하는 생명체가 모두 괴물일지 모른다는 논리로 해서는 안될 일까지 벌이게 되죠. 모두가 똑같아지는 균일화된 소멸 사회에서 균열을 내기 위해 발악하는 주인공의 모습은 억누를수록 튀어나오는 본능의 무자비함을 느끼게 합니다.


 

얼마 전 정부가 내놓은 가임 여성 분포도 '대한민국 출산지도'는 한국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여성을 한 인간으로 보지 않고 자궁을 가진 아이 낳는 기계로 여긴다며 많은 이들의 분노를 샀는데요. ​ 《소멸세계》 속 평행 사회처럼 자궁의 공동화가 이뤄지다면 남성도 출산할 수 있는 시대가 올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때가 되면 여성만의 상징, 모성의 본능이란 개념도 흐려질까 싶습니다.

 

 

생각하면 할수록, 이해해보고자 하면 할수록 섬뜩한 느낌이 지워지지 않습니다. 인류가 지구상에 등장한 후 진화와 문명을 거듭하며 사라진 수많은 가치관을 떠올려볼 때  인간은 불안을 동반하는 존재 같습니다. 과학문명의 발달로 더러운 욕망 없이 깨끗하게 자손을 번식할 수 있는 사회. 과연 사랑 없는 세상이 행복할 수 있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