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위의 딸 (양장)
알렉산드르 세르게비치 푸시킨 지음, 이영의 옮김 / 새움 / 2017년 7월
평점 :
품절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슬퍼하거나 노여워 말라

힘든 날들을 참고 견뎌라

기쁨의 날이 오리니


마음은 미래에 사는 것

현재는 언제나 슬픈 법

모든 것 순간에 지나가고

지나가 버린 것 그리움 되리니


-알렉산드르 세르게예비치 푸시킨-

한국인이라면 이 시를 한 번 정도는 들어봤을 것 같습니다. 수많은 격언 혹은  책과 영화, 드라마 대사 등 인용구에서 봐왔을 유명한 싯구. 혹시 누구의 시인 줄은 아셨나요? 필자는 유시민의 책 《청춘의 독서》에서 러시아의 시인이자 소설가였던 '알렉산드르 세르게예비치 푸시킨'을 접했습니다. 푸시킨의 대표작이 아닌 이 시가 어떤 경로로 한국인에게 사랑받았는지는 알 수 없으나.  1825년 푸시킨이 어머니 영지에 가 있었을 때 자주 어울리던 지주의 딸 '옙프락시야 브리프'의 앨범에 적어 준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푸시킨의 시와는 또 다른 재미와 위트, 풍자 그리고 메시지를 숨기고 있는 로맨스 소설 《대위의 딸》은 그런 의미에서 더욱 회자되는 책이기도 하지요. 《대위의 딸》은 러시아의 장교인 '표트르 안드레이치'가 카자크 거주 지역으로 배치되어 기지 사령관인 대위의 딸과 사랑에 빠진다는 로맨스를 빙자한 정치소설입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유쾌한 소설 같지만 《대위의 딸》은  러시아 농민 반란을 주제로 농노제도, 차르의 전제정치를 비판하는 내용이 풍자적으로 펼쳐지고 있는데요. 대략적인 줄거리는 이렇습니다.


어른스러워지길 바라는 부모의 성화에 못 이겨 '벨로고로드 요새'로  군 복무를 하러 간 귀족 '표트르 안드레이치'는 그곳의 '미노노프 대위'의 딸과 사랑에 빠집니다. 둘 사이를 갈라놓으려는 '시바브린'의 이간질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은 결혼을 결심하지만 이내 러시아의 소수민족 '야이크 카자크 족'의 반란으로 혼란 속으로 들어가게 되죠. 자신을 스스로 임금이라 부르는 참칭 황제 '푸가초프'로 인해 사랑하는 연인 '마샤'는 부모를 잃고 고아가 됩니다.


세상에 의지할 곳이라곤 결혼을 약속한  '표트르'밖에 없는 상황. 표트르는 포로가 되었지만 우연히 푸가초프에게 베푼 선의로 구사일생으로 목숨을 건지고 연인도 구합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반란이 진압된 후에는 푸가초프와 내통했다는 혐의로 체포당해 반역죄를 선고받는데요. 결국 '마샤'가 여제 예카테리나 2세에게 청원을 해 두 사람은 무죄로 판명되고 행복한 삶을 살게 된다는 동화 같은 이야기 입니다. 두 남녀의 로맨스가 거대한 러시아의 역사와 얽힌  드라마틱한 대서사시기도 하죠.

 

 


▲ 체포된 푸가초프

(http://terms.naver.com/imageDetail.nhn?docId=1826230&imageUrl=http%3A%2F%2Fdbscthumb.phinf.naver.net%2F2349_000_1%2F20130208105119276_SB7PZ50XM.jpg%2F32_i2.jpg%3Ftype%3Dm4500_4500_fst_n%26wm%3DY&categoryId=43027&mode=simple|&query=&authorId=&authorId=)



"나는 그를 보자 소름이 오싹 돋았다. 나는 아마 평생 그 사내를 잊지 못할 것이다. 그의 나이는 칠십이 넘어 보였는데, 얼굴에는 코도 없고, 귀도 없었다. 머리는 완전히 빡빡 밀었고, 턱에는 턱수염 대신 흰 털 몇 가닥 달려 있을 뿐이었다. (중략)

그의 입안에는 혓바닥 대신 작은 나무 조각이 매달려 있었다. "

P105-106


《대위의 딸》이 오래도록 사랑받는  고전인 이유는 인간의 존엄성, 참혹했던 내전의 아픔을 비유했기 때문인데요.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포로의 코와 귀를 베고 혀를 자르는 행위는 참혹했던 러시아 정부의 야만성을 상징합니다. 소수민족이 많은 러시아가 그들을 포섭하는 과정이  잔인하고 폭력적이었다는 것이죠. 이에 푸시킨은 의미심장한 문구를 소설 속에 남깁니다.

"젊은이들이여! 만일 나의 수기가 그대의 손에 들어간다면 이것을 반드시 기억하시라. 가장 확고한 최선의 개혁은 온갖 강제된 변혁을 통해서가 아니라 자연스러운 풍속의 개선에서 온다는 사실을. " 

P107

푸시킨의 비유는 소설 속 인물들을 다루는 법에서도 드러나는데요. 절대악과 선인이 구별이 없는 인물들을 배치해 인간적인 면을 부각시킵니다. 모두들 그럴만한 사정이 있었고, 우리는 그런 세상을 부대끼며 살아갈 수밖에 없는 팍팍한 현실을 이야기 하고 있는 것이지요.



또한 황제의 검열이 심했던 탓에 있지도 않은 '뽀뜨르 안드레예비치 그리뇨프'의 수기라고 밝히는 가짜 편집자의 설명이 추가되어 있죠. 종종  '독자들은 흔히 옛날 소설가들이 말하듯, 그것이 무엇인지 다음 장에서 알게 되리라'라는 말을 써가며 주의 환기를 여러 번 시도합니다.

이는 흔히 연극이나 영화에서 '소외 효과', '소격 효과'라  불리는 브레이트의 연극 형식과 비슷한데요. 러시아의 형식주의자인 '쉬클로브스키'의 '낯설게 하기'에서 유래한 개념으로 관객들이 연극에 몰입되기 보다는 일정한 거리를 두어 사회 비판과 다른 시간을 유도하는 효과와 맞닿아 있죠.



러시아의 역사에서  감정이입,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이유는 우리나라도 푸가초프의 반란과 비슷한 일들이 수도 없이 많았기 때문일 것입니다. 또한 푸시킨의 삶을 관통하는 역사가 녹아 있는 이유기도 하고요.  뼈대 있는 러시아의 귀족 가문 출신이며 책 속의 표트르처럼 프랑스 출신 가정교사에게 불어로 교육받고, 귀족학교에 다니던 촉망받는 젊은이였습니다. 하지만 프랑스에서 벌어진  대혁명에 사상적으로 고무 받고, 시골 영지에서 만난 평민과 농노들에게 문화적인 영향을 받아 깨어난 인물이기도 하죠.

 《대위의 딸》은 이 모든 상황이 집약적으로 들어가 있으며  러시아의 리얼리즘의 시작을 열었습니다. 훗날 톨스토이, 도스토옙스키, 고골 등으로 이어지는 러시아 문학의 지대한 영향을 미치면서 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