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화 - 1940, 세 소녀 이야기
권비영 지음 / 북폴리오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제강점기, 아픈 역사를 어루만지는 소설이 있습니다. 따스한 봄볕이 내리쬐는 주말 동안 묵묵하게 읽어내려갔던 소설은 일상의 작은 것도  감사하게 느껴졌습니다. 소설 《몽화》는  《덕혜옹주》와 《은주》로 질곡의 사회문제를 감성적이게 다루는 소설가 '권비영'이 신작입니다.  일본의 폐탄광을 살펴보다 그 앞에 무심하게 피어있는 꽃나무를 마주하는 순간, 그동안 마음속에 간직했던 씨앗을 피우고자 결심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마치 영화 <귀향>의 씻김굿처럼,  환란의 시대에 상처받은 영혼들을 달래주는 한편의 작품을 소설로 만나볼 수 있습니다.



도망치듯 만주로 떠난 아버지를 찾아 나선 어미니 탓에 이모집에 맡겨진 영실과 무풍지대에 살고 있는 부잣집 딸 정인, 출생을 비밀을 안고 기생집 화월각에서 살고 있는 은화. 이렇게 세 친구의 각기 다른 운명 속에서의 순탄치 않았던 인생을 담고 있습니다.


잔을 부딪치고 다정한 눈빛으로 서로의 손을 잡았다. 따스한 체온이 강물처럼 흘렀다.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난생처음 먹어 보는 술은 영실을 금세 취하게 했다. 정인과 은화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웃고 이야기하고 서로를 알아 가는 동안 영실은 우울했던 마음을 헹굴 수 있었다. 생각지도 않았던 꿈을 학인하고 친구도 얻으니 무엇이든 해낼 수 있겠다는 마음까지 갖게 되었다.

p9

1940년대 폐망의 전운이 감도는 일본은 조선인 학살의 만행이 깊어지고 있었습니다.  서로 다른 집안 형편 속 우정을 맹세한 세 소녀의 기구한 인생을 위안부와 강제징용이라는 가슴 아픈 역사를 더해 써 내려갑니다. 작가는 구구절절한 슬픔과 상처 대신, 세 소녀의 삶은 객관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는데요. 그래서 어쩌면  세 소녀와 주변 인물들이 다소 밋밋하다고 느껴질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작가의 관조적인 시선은 그 당시를 살아내야만 했던 인물들의 아픔을 오래 기억할 수 있도록 긴 여운을 주는 것 같습니다. 일제의 만행을 우리 역사가 잊지 말아야 하는 이유와도 같지 않을까 싶네요.

 


미리 보기 연재로 봤던 소설이라 뒷이야기가 궁금할 때쯤 《몽화》를 만났네요. 일제강점기 조선의 어수선한 모습과 신문물, 독립군, 창씨개명 등 익히 들어왔던 상황과 더불어 여인네들이 모여 '가투'를 하는 장면이 매우 인상적인데요. 으레 사람들이 모여하는 게임이나 화투쯤으로 생각했었는데. 망국에 대한 회고나 나라에 대한 근심, 왕에 대한 충성심을 주제로 한 시조들이 일정 비율 섞여 있어 식민지 현실에 대한 고민이 반영된 놀이가 있었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가투는 1920년대에 근대화를 위한 선진 문물의 수용이 가속화된 시기에 3.1운동에 의해 우리 민족을 대표하는 문학 장르인 시조가 자리매김하면서 생겨났다고 하더라. 1920년대 이후 가투 놀이의 주체가 부녀자 층으로 변화하는데, 그나마 요즘은 쉬쉬하면서 한단다. 그것도 권력의 그늘에 있는 아녀자들이, 흐흐흐.

P92 

위안부와 강제징용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몽화》는 '꿈'이라는 '희망'을 만들어 냅니다.  세 친구가 아지트에서 서로의 꿈을 묻는 부분에서 느낄 수 있듯이 《몽화》는 반드시 잊지 말아야 할 아픈 역사를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수천 번 망설였을 작가의 고뇌를 생각할 수 있었지요. 망국을 떠나  타국에서의 모진 고난을 겪었던 사람들.. 이제는  훨훨 털어버리고 다시 희망의 싹을 틔우고자 하는 몽환적인 끝맺음도 잊히지 않습니다.

억울하게 징용당한 이들, 영문도 모른 채 끌려가 험한 꼴을 당하고도 아직 돌아오지 못한 영혼들, 살아 돌아왔지만 분노와 멍울을 감추고 있는 사람들, 그 어떠한 말로 위로가 되겠습니까. 하지만 같이 나누고 어루만져 주는 것, 잊지 않고 기억하는 것은 작지만 큰 위로가 될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