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령의 지의 최전선
이어령.정형모 지음 / arte(아르테) / 2016년 1월
평점 :
절판



《디지로그》이후 10년! 디지털과 아날로그에 대한 무한한 이야기를 들여주었던 '이어령'선생의 최신작이 나왔네요. 어느덧 팔순을 넘긴 노 교수의 한계는 끝이 없었습니다. 젊은이들과의 소통, 언어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해박한 지식, 인문학과 철학 디지털까지 섭렵하는 이어령 선생의 한계는 어디일까요? 문뜩 '나도 이렇게 나이 들고 싶다'라는 롤모델이 생겨버렸습니다.


 

《이어령의 지의 최전선》은 중앙일보 김형모 기자와 함께 주고받았던 내용들을 담고 있는데요. 대체로 유명한 석학이나 지식인들과 공동저자로 이름이 올려져 있다면  인터뷰 형식이나 대담 형식을 띄고 있는데, 이 책은 좀 특별합니다. 이어령 선생은 쉴새 없이 이야기를 하고 정형모 기자가 말을 글로 옮겨 놓은 형식에 주관적인 생각을 담아내는 2인칭 관찰자 기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워낙 재미있게 이야기하는 선생을 말투가 음성지원 되는 듯 생생한 현장감이  가득 담겨 있습니다.

 

 

 


언어에서부터 시작해, 인문, 사회, 과학, IT 등 해박한 지식인의 서재에는 무엇이 일을까 궁금합니다. 으레 무너져 내릴 것 같은 책 속에 파묻혀 지내는 이어령 선생이 떠오르는데요. 일곱 마리 고양이를 키우고 있다기에 찾아보니, 7대의 컴퓨터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7대나 되는 고양이들(컴퓨터)을 데리고 실제로 디지털과 아날로그적 삶 '디지로그'를 실천하고 있는 노 교수의 글쓰기 방법에 감탄이 절로 나왔습니다.


 

"책이나 도서관에 있는 것은 이미 누군가 생각한 것들, 즉 소트(thought)야. 과거분사지. 하지만 나는 지금 검색을 통해 싱킹(thinking)하고 있어. 싱킹은 think의 현재분사야. 질이 달라. (중략) 세계 도처에서 우리 DNA 정보에 한 번도 찍힌 적이 없는 놀라운 사건들, 변화들이 일어나고 있잖아. 싱킹, 그게 인문학자들이 해야 할 면역체라고."

p188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과거를 소트하는 인문학이 아닌, 현재를 싱킹하는 살아있는 인문학이 절실한 때입니다.

 

이미 디지로그는 우리 삶 여러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10년 전 디지로그를 예견한 것부터 시작해, 중앙일보에  '에볼라'에 대한 글로 '메르스'사태도 예견하게 됩니다. 사람들이 바이러스의 심각성에 둔화되는 이유를 문화 문명의 문제라고 지적하기도 했죠. 수억만리 떨어져 있는 중동의 역병이 어찌 이 나라에 급속도로 퍼져 많은 사상자를 냈는지 또 다시 생각해 봐야 했습니다. '국제화', '세계화'의 명(明)과 암(暗)은 이렇게 또 한번 역사의 큰 획을 긋고 지나갑니다.

 

​그 밖에도  기호학을 연구한 학자로서 언어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가 빠질 수 없는데요.  진주 목걸이를 하고 있는 중국의 부국과 함께 '아시아'란 말의 어원, 그 찜찜한 속뜻까지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테슬라'의 전기자동차를 통해 그의 사상도 배우고, 왼손잡이에 대한 오해, 띄어쓰기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말, 지정학적 요건 속에 한국이 취해야 할 자세도 들어볼 수 있었습니다.


 

 

평면의 지도를 찢고, 지도를 거꾸로 돌려봅시다! 위아래 좌우가 없는 둥근 지구본으로 보는 세계, 우리가 앞으로 가져야 할 바로 중심이 없는 다각화를 실천하는 한 방법입니다. 인터넷이라는 망망대해에서 못할 것이 무엇이겠습니까. 알고자 하면 그 길은 모두에게나 열려있지요.

이어령 선생은 예언가도 정치가도 아닙니다. 그저 지의 최전선에 있는 국경 없는 지식인단 일 뿐. 경계가 없는 국경의 끝에서 외롭게 싸우는 선생으로 인해 우리는 나이의 한계에 대해 감탄하게 됩니다. 선생은 우리들의 마음속에 노병이 아닌 24시간 싸우고 있는 전사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