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어떻게 죽을 것인가 - 인간의 아름다운 소멸을 말하다 플라톤 아카데미 총서
강영안 외 지음 / 21세기북스 / 2015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영원히 사는 사람은 없죠. 불로장생의 꿈을 원했던 진시황도 어려질 수만 있다면 어떤 미용법도 불사하지 않았던 클레오파트라도 결국 다 죽었습니다. 떼려야 뗄 수 없는 생명과 죽음 앞에 인간을 무릎 꿇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세대교체야말로 종족 번식과 진화를 위한 가장 보편적인 방법일 텐데요. 그만큼 유한한 삶을 사는 인간이기에 욕망 또한 한계가 없습니다. 한계를 모르는 불만들이 모여 문명의 발전을 이뤘는지도 모릅니다.


《나는 어떻게 죽을 것인가》는 '죽음'이란 소재에 대해 각기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이 쓴 책입니다.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지에 대해 다양한 견해를 읽어볼 수가 있어요. 1부 '삶의 순간에 마주한 죽음'과 2부 '죽음의 숙고로 완성하는 삶'으로 나뉘어 있는데요. 철학, 신학, 인문학, 건축학, 의학, 과학, 공학의 분야에서 말하는 '죽음'에 관한 이야기. 단순히 부정적이고 무거운 내용이 지배적일 거란 편견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유용한 독서였답니다.


1부에서는 생명과 죽음을 연결 짓는 최재천 국립생태원 원장의 글이 흥미로웠어요. 흔히들 자연과학과 인문학은 동떨어진 학문이라고 생각하지만, 과학자도 인문학의 테두리 안에서 살아가야 하는 공생관계를 설명하는 부분이 공감을 주네요. '생명의 가장 보편적인 속성이 바로 죽음이란 것!' '닭은 달걀이 더 많은 달걀을 만들기 위해 잠시 만들어낸 매체에 불과하다'라는 말이 무척 충격적이었습니다.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에 대한 의문이기도 한 이 부분은 닭이 달걀을 낳는 게 아니고, 달걀이 닭을 만들어 낸 뒤 그 닭에게 더 많은 달걀을 만들어내도록 부추긴다는 뜻입니다. 유전자적 관점으로 볼 때 태초의 DNA 혹은 RNA가 계속 다른 종을 만들어 이어져 오고 있다는 건데요. 그렇기 때문에 생명과학 쪽에서 보자면 우리는 태초의 어떤 식물이 조상일 수도 있으며, 누가 누굴 죽일 수 있는 권한이 없다는 말입니다. 즉, 지구는 자연과 인간 모두가 유기적인 연결로 이루어진 것이라는 거죠.

'송과체'라는 척추동물의 뇌 가운데에 위치한 솔방울 모양의 지름 약 12밀리미터쯤의 내분기 기관에 주목한 데카르트. 오로지 인간에게만 존재한다고 생각했기에 데카르트는 "송과체는 영혼의 자리이다. 고로 인간만이 영혼을 가진다."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지구 상에서 가장 우월하다고 믿고 싶은 자만심을 보여주는 좋은 예기도 하죠. 하지만 인간은 우연히 만들어진 생물일지도 몰라요. 적자생존을 통해 강한 놈만 살아남았고, 계속 진화했고, 앞으로 유한한 지구에서 복작거리면서 살아갈 것입니다. 우주의 끝없는 영원성 앞에 인간은 그냥 티끌만도 못한 존재인데 말이죠.

2부로 넘어가면 죽음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게 만듭니다. '나는 누구인가'로 시작해 '어떻게 살 것인가'를 지나 '어떻게 죽을 것인가'로 이어지는 삼위일체. 서양에서는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해  죽음을 직시합니다. 그 후  흑사병이라는 사상 초유의 공포 앞에서 죽음을 정면으로 마주하고 다양한 예술과 철학으로 승화됩니다.


용타 스님은 "죽음은 벽인가, 아니면, 문인가?'라는 질문을 던진다고 합니다. 죽음을 생명 단절로 보느냐, 새로운 세계로 통하는 가능성으로 보느냐에 대한 깊은 성찰의 질문입니다. 이에 어떻게 대답할 수 있을까요? 현대에 가장 위대한 인물로 꼽는 '스티브 잡스'의 죽음에 관한 명언이 생각납니다. 그는 17살 때 '하루하루를 인생의 마지막 날처럼 살아라, 그러면 언젠가는 의인의 길에 서 있게 될 것이다'라는 글에 감명을 받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50대에 짧은 삶을 마감할 때까지 '죽음'이란 단어를 상기하며 하루하루를 마지막 날처럼 보내기 위해 열심히 노력한 천재이기도 합니다. 인생의 마지막 순간이 온다면 뭘 할 건가요? 3개월이라는 시한부 인생을 선고받았다면 버킷리스트에 무얼 적을지 생각해 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죽음을 두려워하지 말고, 정면으로 마주할 때 인간은 한층 더 성장할 수 있다는 걸 배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