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베라는 남자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최민우 옮김 / 다산책방 / 201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투덜투덜, 깐깐, 데면데면, 까칠까칠... 오베라는 남자를 표현한 부사 혹은 형용사에요. 동네에서 소문난 원리원칙 주의자 오베는 평생을 이런 단어들과 친하게 지냈어요. 어김없이 6시 15분 전에 일어나 동네 시찰을 다녀야 직성이 풀리는 오베, 앞뒤 옆 위아래 다 막힌 59세 스웨덴 아저씨 오베는 이제 질기고도 재미없는 삶을 끝내고자 마음먹었습니다. 그런데.. 옆집에서 도와달라고 하질 않나, 괜한 고양이와 개싸움에 끼어들게 되질 않나.. 자꾸만 꼬여가네요. 이런 오베(OVE)는 오늘 안에 아내의 곁으로 떠날 수 있기나 할까요?
소설 《오베라는 남자》는 스웨덴 소설이라는 점에서 《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의 '요나스 요나스'를 생각나게 합니다. 고집불통 직진 본능의 100세 할배와 대적할 수 있는 강력한 적수로 59세 오베가 나타났다는 것!! 북유럽 소설들은 특유의 냉소적이고 위트 있는 문제가 한국인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아왔죠. 《오베라는 남자》가 데뷔작이라는 '프레디릭 베크만'도 왠지 대박 예감이 벌써부터 드네요. 왜냐고요?? 오베라는 남자, 한 동네에 살면 골 때릴 것 같은데.. 은근 끌린다니까요. 하.. 이 까칠한 매력.
까칠한 매력만 있다면 진정한 매력남이 아니죠. 아버지에게 물려 받은 강직하고 곧은 성품은 어린 나이에 부모님이 돌아가시고 혼자가 되지만, 오베에게 살아갈 원동력과 힘이 됩니다. 위기의 순간에서 발휘되는 본성이 그때마다 오베를 도와 주죠.
"아니! 이 주변에 멀쩡한 데라고는 망할 아무 데도 없어!"
“내가 원하는 건 컴퓨터야! 빌어먹을 평범한 컴퓨터!”
오베는 부모님이 돌아가시고 한 줄기 빛처럼 다가온 아내를 여의고 아내의 곁으로 가기 위해 계속해서 시도를 합니다. 세상에서 가장 튼튼한 고리를 박겠노라고 다짐하지만, 옆집에 이사 온 멀대와 임산부 가족들에 의해 사사건건 방해받죠. 자신만의 원리원칙에서 벗어나면 참을 수 없는 남자 오베는 아내 곁에 가려는 때까지도 모든 일을 마쳐놓고 시작하는 완벽주의자기도 합니다. 가까이하기에는 버거운 오베, 하지만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오베에게 정이 가는 건 뭐죠?
책장을 덮을 무렵, 오베의 이런 욕을 더 듣고 싶은 건 저 뿐인가요? 까칠하지만 속 마음은 따뜻한 남자 오베. 인생은 꼬일 대로 꼬여버린 실뭉치를 하나하나 풀어가는 작업을 평생 하는 것 아닐까요? 오늘도 꼬여버린 하루라고 짜증 나있다면 《오베라는 남자》와 함께 해보세요. 결코 평탄하지 않은 오베라는 남자와 함께 킥킥거리면서 읽다 보면 흑흑거리면서 울게 될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