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학, 생각의 기술
박종하 지음 / 김영사 / 201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고백하건데, 저는 수포자입니다.(수포자: 수학 포기자) 수학이 너무 싫었어요. 딱히 국어를 좋아하지는 않았지만, 수학과 과학이 싫어 인문계에 지원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수학적인 두뇌를 따로 있다고 하더니, 저에게는 아예 그런 뇌가 형성되다가 말아 버린 건지, 아니면 퇴화해버린 건지. 학창시절 수학시간은 머리가 아픈 시간이었고, 수학 점수는 항상 메엠메엠~ 양소리를 내거나 가가 여겨 고고 규규처럼 한글 놀이하다가 끝나버렸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만큼 수학은 어렵고 복잡해서 포기하게 만드는 그런 학문이라는 고정관념이 틀에 박혀 버리지 오래였어요.
그렇게 학교를 졸업하고, 덧셈, 뺄셈, 나눗셈, 곱셈만 할 줄 알면 세상사는데 큰 지장은 없더라고요. 하지만 다음 세대는 부디 저처럼 수포자로 살지 말았으면 하는 바람이 있었어요. 비록 저는 포기했지만, 분명 수학에 흥미와 재미를 느끼는 누군가가 더 많아지는 세상을 소심하게 꿈꿔 보았죠.
얼마 전 초등학생 수학문제집을 들여다보다가 이게 수학문제인지 국어 문제인지 헷갈렸던 기억이 있어요. 지문이 긴 논리적인 문제는 수능에서나 만나볼 수 있었는데요. 이제는 창의성이다 뭐다 해서 수학을 단순한 수식을 대입해 풀기보단 '생각'을 해야 풀 수 있겠더라고요. 어른도 멈추고 있던 두뇌를 이러 저리 굴려보게 되는 재미있는 문제가 많았습니다. 사실, 우리나라처럼 주입식 교육, 외우는 시험문제가 문제지 사실 수학은 생각하는 학문인 거예요. 답을 찾기 위해 언어, 과학, 수학, 미술, 다양한 문야를 총동원해야 하는 생각의 결정체인 거죠.
수학은 단순히 문제를 풀고 답을 찾는 것에 그치지 않고 생각의 확장을 도와줍니다. 거의 모든 분야와 맞닿아 있는 수학은 그 원리를 찾다 보면 근원이 같기도 합니다. 수학적인 사고를 기르기 위해 개념을 생각하고, 생각을 연결하며, 다양한 방향으로 생각해보고, 패턴을 발견하는 일련의 일들은 한 단계 위해서 관조하고 미지의 것을 탐험하는 행동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수학뿐만이 아닌, 모든 분야에서 "왜?"라는 질문을 던지지 않는다면 모든 것은 사라지고 말 것입니다. 당연하다고 받아들이지 말고 항상 왜 그럴까는 사고의 확장을 습관처럼 해보는 건 어떨까요? 바쁘고 귀찮다는 핑계로 모든 것을 피동적이고 수동적으로 살아온 건 아닌지 반성하게 만드는 책이었어요. 앞으로 더 이상 수포자가 나오지 않는 세상을 꿈꾸며! 《수학,생각의 기술》이 수학을 두려워하는 모든 이에게 조금 친근한 수학을 만들어 주었으면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