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것도 괜찮겠네
이사카 고타로 지음, 오유리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4년 11월
평점 :
절판


소설 《골든 슬럼버》를 통해 처음 알게 되었던 일본의 추리 소설가 '이사카 코타로'가 10년간 썼던 산문들을 엮어 낸 산문집입니다. 원제가 참 재미있는데요. 《3652》는 10년이나 되는 해에 내는 것이니 365x10을 하고 그사이의 윤년을 더해 탄생한 제목이라고 합니다. 등단 10년만에 제안 받은 '에세이'는 이사카 코타로'를 뛸듯이 기쁘게 만들었죠. 그가 얼마나 무심한 듯 공들여 자신의 이야기를 해 나가는지 책을 보면 확인 할수 있습니다. '추리소설가가 왠 산문?' 이라며 반색하는 사람들이 있겠지만, 선혈이 낭자하는 범죄사건을 소재로 쓰는 사람도 누군가의 자식이며, 소소한 일상을 살아가고 있는 평범한 사람이라는 걸 일깨워 주는 책입니다.  

 

10년 동안 끄적였던 산문을 모아 놓았기 때문에 지금과는 사뭇다른 작가의 어린시절이나 예전의 상황들이 뒤죽박죽이지만 , 그 속에서 은근한 질서가 보입니다. 그 질서는 '다소 엉뚱함'이라는 것이죠. 완벽할 것 같은 추리 소설가에게 한쪽이 약간 모자라보이는 행동과 생각들은 반전매력을 느끼게 됩니다. 특히, 아버지에 대한 단상이 많은데, 한국사회에서 아들과 아버지의 좁혀지지 않는 거리와는 다르게 아들이 아버지의 행동을 주시하며 관찰자의 입장으로 이야기하는게 무척 재미있어요. (아버지의 내공이 대단하신 듯 ㅎㅎ)


역시 작가이기 때문에 커피숍에서 '아메리카노'를 주문하는 손님들의 모습도 그냥 지나치치 않습니다. 꼭 자유투 할 때와 똑같이 손님들이 차례대로 아메리카노를 주문하는 모습을 자세히 관찰하죠. 이 책에 등장하는 에피소드들은 소소한 일상은 작가 특유의 시점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점입니다. 그게 바로 《그것도 괜찮겠네》가 독자들에게 선사하는 즐거움이겠죠. 


다만, 한 에피소드가 끝날때 마다 'p.s'처럼 주석이 달리는 형식이 '무라카리 하루키'의 산문집들이 생각나게 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