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 '올더스 헉슬리'나  '조지 오웰'의 디스토피아적 세계관의 소설을 좋아한다. 거의 반세기 전에 벌써 이러한 시대를 예견한 '올더스 헉슬리'는 어떤 사람일까? 이미 《영원의 철학》은 네임밸류의 괴력을 입증해 보였는데, 아마존 장기 베스트셀러였으며 국내 최초로  완역본으로 드디어 국내의 독자들과 만날 수 있게 되었다.  올더스 헉슬리를 소설가만 알고 있는데, 양가 집안의 뛰어난 유전자를 골고루 이어 받아 종교와 과학, 예술분야까지 다재다능한 엄친아였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능가하는 천재성은 이미 지식인들 사이에서 몇 백년이 지났어도 불변하는 진리로 통하고 있다.

 

《영원의 철학》을 간단히 소개 하자면 전 세계 종교의 백과사전과도 같은 책으로 '종교의 집대성을 이룬 책' 혹은 '성경과 함께 신학자들의 필수 지침서' 정도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특히 인상 깊었던 점은 영국인임에도 불구하고  불교와 도교, 힌두교, 이슬람교 등 아시아의 종교까지도 섭렵하고자 했던  지칠 줄 모르는 헉슬리의 탐구정신이 엿보이는 책이다.

사실 책이 쉽지는 않다. 종교학과 철학이라는 큰 세계, 인문학이 가지는 중의성과 열린 세계관은 과학. 수학 처럼 딱 떨어지는 답이 없다. 그렇게 때문에 누가 옳다 그르다 판단 짖기 어렵고, 끊임 없는 논쟁이 몇 세기를 걸쳐 이어질 수도 있는 매우 중의적인 학문이다. 그래서 접근하기 어렵고 이해하기 어려운게 바로 인문학인 것이다.

 

가장 인상 깊었던 '12. 시간과 영원'을 살펴보자. 시간의 영원성과 신의 영원에 대하여 다룬다. 종교와 과학 우주 세계의 영원성에 대해 말하고 있는데, 종교, 과학, 예술등 주제를 넘나드는 헉슬리의 세계관을 가장 여실히 반영하고 있는 부분이다. 인간은 영원불멸의 신을 숭배한다. 우주에서는 시간의 영원성이 없다. 시간은 인간이 만들어 낸 것이다. 증명할 수 없는 것을 증명해야 하는 어려움에 봉착할 때 《영원의 철학》을 펼쳐보자.   명쾌한 해답은 없지만  모순 투성이인 우리 삶의 가느다란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면  작은 도움을 줄 수 있는   매뉴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에 쏟아진 찬사들



세상에 가장 필요한 책. 마스터피스!

- The New York Times 뉴욕 타임스

 

 

 

이 책은 문화, 종교, 영성에 대한 이해를 완전히 혁명적으로 바꿔놓았다.

- The Guardian 가디언, BangaloreBoy

 

 

 

 

 

헉슬리의 영원의 철학은 20세기 내내 종교적 이해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적절하게 받아들이면), 믿음의 개발에 더 인간적인 미래의 전망을 제공한다.

헉슬리의 통찰은, 출발점이 어디이건 종교적 활동을 이해하고자 하는 모든 사람이 결정적인 이해를 하도록 도울 수 있다.

- The Guardian 가디언, Bruce Chilton

 

 

 

종교적 믿음의 전반적인 역사.

- The Guardian 가디언

 

 

 

 

 

시간을 초월한 고전 - 윌리엄 제임스 <종교적 체험의 다양성>과 올더스 헉슬리 <영원의 철학>

- 허핑턴 포스트 The Huffington Post

 

 

 

 

 

세계의 위대한 종교들, 그 신비주의 사상가들로부터 헉슬리가 이끌어낸

종교 사상의 핵심적인 통합.

- Washington Post Book World 워싱턴 포스트 북 월드

 

 

 

 

 

올더스 헉슬리가 쓴 이 책은

영원의 철학에 대해 이제까지 쓰여진 가장 위대한 책 중 하나다.

- 아마존 리뷰

 

 

 

이 책은 다른 모든 작품들의 위대한 디딤돌이자 개별 탐구를 위한 좋은 출발점을 제시한다.

매우 포괄적인 추천 도서 목록을 포함한다.

- 아마존 리뷰

 

 

 

이 책을 사라. 읽고 또 읽으라.

장담하지만, 후회하지 않을 것이다.

아홉 번째 읽고 있지만 여전히 이 책을 사랑한다.

- 아마존 리뷰

 

 

 

"그가 Perennial Philosophy를 말한 것을 보고 보통이 아닌 사상가란 것을 알았습니다."

 

"앞을 내다보는 뚫린 눈을 가진 선배... 아마 인류의 앞날을 내다보면서 생각을 한다면 이들을 모르고는 될 수 없을 것이다."

 

"이 글을 썼던 때보다 지금 더 긴급히 그 가르침의 필요를 느낀다."

- 함석헌

 

출처 : 김영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