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늦기 전에 들어야 할 죽음학 강의 - 행복하게 살기 위해 꼭 필요한 공부
최준식 지음, 김호연 그림 / 김영사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탄생 준비'는 철저히 하지만, '죽음'에 대한 대비는 소홀히 하기 십상이다. '죽음'이라는 단어는 듣는 순간 우울해지고, 슬퍼지기 때문일텐데. 즐거운 인생을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공부인 '죽음 공부'에 대해  생소하지만 다정한 길라잡이가 되줄 책 한권을 소개한다.

《너무 늦기전에 들어야 할 죽음학 강의》는 반대로 '잘 죽는 법', '죽음을 준비하는 자세','삶에 목적을 찾는 법'에 관하여  중요하게 이야기 하는데,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다. ​대체 죽음을 준비하는 자세가 왜 필요한 것일까? 큰 의구심이 들던 찰나,  '해외 여행'을 비유하여 설명해주어 이해가 빨랐다.

우리는 해외여행을 가기전 만반의 준비를 한다. 해외는 전혀 모르는 지역이기 때문에  철저한 준비를 해가야 하는 곳이다. 그러나 저자는 해외여행과는 비교도 할 수 없게 생소한 '사후 세계'에 대한 공부는 생소하다는 점을 안타까워 한다. 즉, 죽음에 대비하라는 것은 자신을 되돌아보고, 더욱 의미 있는 삶을 살기 위한 필수 과목이라고 설명한다.  죽으면 끝이라는 생각하는 사람, 인간은 죽어서 어디로 가기는 가는 것 같은데.. 사실 지금 당장 먹고 살기도 빠듯한데, 어떻게 죽음을 준비하라는 건지 의심만 드는 사람, 누구든지 이 책을 접해 보면 '죽음'에 대해 유연한 사고를 갖게 될 것이다.

흔히들 누군가를 저 세상으로 떠나보냈을 때, 슬퍼하는 모습을 오랫동안 보이지 말라고 한다. 떠나는 사람이 좋은 곳으로 가지 못하고 맴돌기 때문일텐데, 《너무 늦기전에 들어야 할 죽음학 강의》에서도 비슷한 이야기가 나온다.

 

나는 사라지지 않습니다

내 무덤 앞에서 울지 마세요.

나는 그곳에 없습니다. 나는 잠들지 않습니다.

나는 천의 바람, 천의 숨결로 흩날립니다.

나는 저 넓은 하늘 위를 자유롭게 날고 있습니다. ​

 

모두가 '죽음'에 대처하는 자세는 비슷 할 것이다. 지금의 삶이 괴롭든, 행복하든 이승을 떠나 당장 눈 앞에 보이지 않는 어딘가로 떠난다는 게 쉽지 않다.  모두가 두렵고 피할수만 있다면 피하고 싶은 일이다. 이 책을  접하기 전 필자도 마찬가지였다. 종교를 가지고 있지 않은 터라 감정이입이 힘들었지만, 서로의 종교를 떠나 되로록 담백하게 담아내려고 노력한 저자의 노고가 보인다. 기독교, 불교, 힌두교, 원불교 등 각각의 종교에서 이야기 하는 사후 세계를 치우침 없이 소개해 준다. 어디에도 정답은 없다. 자신에게 맞는 종교를 믿으면 되는 것이고, 받아들일 수 없으면 자신만의 죽음을 준비하는게 정답에 가깝지 않을까.

흔히들 '호상(好喪)'이라고 말하는 죽음이 누구의 입장에서 '호상'인가. 과연 죽은 사람은은 행복한 죽음이였을까? 이승에서 아무 미련 없이 떠날 수 있을까 생각해 보았다. '호상'이라는 단어는 남아있는 사람들이 만들어 낸 이름표 같은 것이다. 필자는 내가 없는 세상에서 나를 기억해줄 사람들은 누가 있을지 관계 정리와 깊이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게 되어 즐거웠다.

​나이가 들고 많이 아파서 죽음을 준비하게 되면 시간도 없고, 갑자기 세상과 이별하게 된다. 갑자기 떠난 여행, 공부하지 않고 보는 시험 보다는 '예행연습'이 주는 든든함과 막연한 두려움을 없애보자는게 《너무 늦기전에 들어야 할 죽음학 강의》활용법일 것이다.  현재의 삶을 되돌아 보고 죽은 후 후회없이  준비해 보는 지금부터의 인생은 어떨까?

태어나는 순서는 있어도 죽는 순서는 정해지지 않다. 좋은 죽음을 맞이하는 우리들의 자세! 《너무 늦기전에 들어야 할 죽음학 강의》에서 도움 받아보는 것은 어떨까.

뱀발> 《너무 늦기전에 들어야 할 죽음학 강의》을 읽고 사후세계와 임사체험에 존 더 알고 싶다면, 두 책을 추천한다.

《나는 천국을 보았다》​/ 이븐 알렉산더/ 김영사

《신의 흔적을 찾아서》​/ 바바라 해거티/ 김영사☞ http://blog.naver.com/doona90/601989153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