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석 평전
안도현 지음 / 다산책방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인이 들려 주는 시인의 이야기는 어떨까? 책의 서문에서 시인 안도현은 백석 시인의 평전을 쓰는 작업을 이렇게 회고하고 있다.

"'평전'이라는 형식으로  백석의 생애를  복원해 본다면 이것 역시

 그를 직접 만나는 방식이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 했다."

스무 살 무렵 백석을 알게 된 후 30년 동안 짝사랑 했다던 안도현 시인의 사심이 들어나는 대목이다. 시인이 사랑한 시인, 백석은 시인 안도현의 애정이 뭍어나는 시선과 끊임 없은 고증을 통한 사실들을 한 편의 영화 속 주인공으로 탄생 시켰다.

자, 지금부터  1930년, 경성으로 떠나보자.

#평범한 평전은 가라!

청년 백석을 직접 만날 수 는 없지만, 우리는 《백석평전》을 통해 백여년전 한 세상을 풍미 했던 시인 '백석'과 마주 할 수 있게 되었다. 백석은 1912년 평안북도 출생으로 평안도 방언을 사용한 토속적이면서도 아름다운 언어로 노래한 여러 시와 소설작품을 남겼다. 《백석평전》이 다른 평전과 다른 점은 '시인의 눈으로 바라 본 시인'이라는 것이다. 으레 인물의 생애를 연대기 순으로 나열한 평전과는 다르게 《백석평전》에는 '이야기'가 살아 있다. 철저한 고증과 대상에 대한 애정이 없고서는 불 가능한 일이다. 안도현이 말하는 백석은 책 속에서 숨 쉬며, 살아 있는 인물로 그려져 한편의 영화를 보는 듯 생생하게 독자들과 만남을 주선해고 있다. 백석'을 주인공으로 주변 조연들과의 에피소드를 통해 쉽고, 친절히 그 시절의 상황들을 역추적 해간다. 책을 읽다보면 마치, 그 시절을 다 보고 있노라는 착각에 빠지게 하는게 바로 《백석평전》의 매력일 것이다.

 

▲일본 아오야마학원 유학 시절의 백석.​

#백석을 노래하다!

백석은 당대 최고의 패셔니스타 였다. 많은 여인들과의 스캔들 또한 백석의 인기를 실감케하는 사건 중 하나일 터. 백석의 모던한 외모와 깔끔한 성격과는 달리 그의 시는 향토적 색채가 강하고, 특히 평안북도 방언을 사용 한다는 점이 오묘한 매력을 배가시킨다. 겉모습 뿐만 아닌, 일본 유학을 통한 탁월한 언어실력 또한 (일본어 특히, 영어에 능통) 모두가 부러워 하는 '모던보이'로서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장본인이였다.

백석은 외모만  '모던보이'가 아니었다. 일본 유학시절 습작기부터 그는 '가장 모던한 것'과 '가장 조선적인 것'을 어떻게 결합할 것인가를 고민했다. (중략) 그러나 백석은 단 한 편도 일본어로 된 시를 발효하지 않았다. 그는 모더니즘적인 시를 탐독하고 시론을 받아들였지만 조선 사람의 언어를 지키는 시인이고자 했다. 

p 51 ​

하지만 그 시절 민족주의적 성향을 드러내는 시인들 틈에는 백석은 최소한의 자존심을 내세웠다. 백석의 시라면 늘 등장하는' 평안도 방언' 은 향토주의에 매몰된 결과물이 아닌, 준비된 창작방법론이며 의도된 기획에서 나온 것이었다. 백석은 겉과 속이 다른 인물이였다.

 

 

 #아름다운 문학를 읽다!

안도현 시인의《백석평전》 의 재미는 책 속에 숨어 있는. 백석의 작품들일 것이다. 「사슴」,「가즈랑집」,「여우난골족」,「정주성」,「사생첩의 삽화」등 많은 작품들이 나오기까지의 배경과 상황을 이야기로 풀어써주어. 갑자기 시를 접했을때 느끼는 감정이입의 어려움을 덜어준다. 자연스럽게 백석의 생애를 따라가다보면, 이 작품이 나오게 된 계기와 버물어져 백석의 작품을 접하게 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일제치하와 한국전쟁의 역사 속에서 느꼈을 청년의 백석의 고뇌와 시련의 아픔을 백석은 작품으로 승화하고 있다. 월북 후 향년 85세로 생을 마감할 때 까지 수 많은 문학작품을 남긴 시인 백석! 누가감히 그의 삶을 재조명하고 평할 수 있을까? 아직도 재조명되고 연구되고 있는 '백석학'의 정점은 바로 '시인이 말하는 시인의 이야기' 로써 가능했다고 생각한다. 대상에 대한 사랑과 심도 있는 고증, 조각나 있는  삶을 한조각 한조각 정성스레 맞춰 세상에 백석을 완전체로 복원 시켜준 안도현 시인의 뚝심! 안도현 시인이 아니였으면 가능하지 않았을 책이다.

대한민국의 격동의 시절을 살다간 모던보이 '백석'의 삶과 지인들, 문학작품이 궁금한 독자에게 추천한다.한편의 영화를 보는 것보다 더욱 생생하고 감동적이며, 긴 여운으로 남을 그 시대의 주인공 '백석'이 책 속에서 독자들을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뱀발> 백석의 ​작품 모음집《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가 궁금한 분들은 클릭 http://blog.naver.com/doona90/6021176180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